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22790/conservation.2022.27.0125

Scientific Analysis and Conservation Treatment of the Wooden Gamsil with Inscription of "Botajeon" in the Collection of the Dongguk University Museum  

Lee, Uicheon (Dept. of Conservation and Art Bank, National Museum of Modern and Contemporary Art)
Kang, Minji (Dept. of Heritage Conservation and Restoration, Graduate School of Cultural Heritage,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Cultural Heritage)
Park, Junghye (Jinsung Cultural Heritage Conservation)
Kim, Soochul (Dept. of Conservation Science, Korea Natioanl University of Culture Heritage)
Publication Information
Conservation Science in Museum / v.27, no., 2022 , pp. 125-146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The Wooden Gamsil with Inscription of "Botajeon" in the collection of the Dongguk University Museum was made in imitation of the wooden architecture style of the late Joseon period. The Gamsil had suffered exfoliation in the pigment and loss of components and thus underwent conservation treatment. Prior to the conservation treatment, the damage was classified by type and form, scientific analysis was carried out on the fiber and the species of wood, and portable X-ray fluorescence (P-XRF) analysis was conducted for the pigment component analysis. According to the analyses, Korea Pine(Soft pine) was used for most parts of the Gamsil, Manchurian walnut (Jugalns spp.) was used for the signboard, and the fiber used was identified as rice straw (Oryza sativa). The P-XRF identified white lead and zinc oxide in the white pigment, red lead in the red pigment, ultramarine blue in the blue pigment, and emerald green in the green pigment. For the conservation treatment, contaminants attached to the gamsil were removed by both dry and wet cleaning, detached parts were reattached in their original places, and lost parts were restored.
Keywords
Late Joseon Period; Wooden gamsil with Inscription of "Botajeon"; Scientific Analysis; Conservation Treatment;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5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박종민, 조선시대 유교식 감실(龕室)의 수용과 변용, 문화재 44, p56-69, (2011).   DOI
2 박상진, 목재조직과 식별, 향문사, 서울, (1987).
3 국립가야문화재연구소, 함안 성산산성 목제유물 수종분석, 국립가야문화재연구소, 창원, (2018).
4 김경식, 벼의 규소체 형태, 식물학회지 37, p53-67, (1994).
5 국립문화재연구소, 전통안료와 원료광물, 국립문화재연구소, 대전, (2018).
6 최현욱, 곽홍인, 신용비, 비파괴 분석을 통한 최치원 진영의 도상 및 채색재료 연구, 박물관 보존과학 24, p81-98, (2020).   DOI
7 신현옥, 조선시대 彩色材料에 관한 연구 : 의궤에 기록된 회화의 채색재료를 중심으로, 용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48-54, (2007).
8 조선왕조실록사전, http://waks.aks.ac.kr/rsh/dir/rview.aspx?rshID=AKS-2013-CKD-1240001&dataID=AKS-2013-CKD-1240001_DIC@00013366, (2022).
9 최영숙, 조선시대 목조감실(木造龕室) 조형 연구- 18세기 이후 조성된 왕실조성 감실을 중심으로, 조형디자인연구 16, p97-99, (2013).
10 조상윤, 김수철, 천안 성거산 위례성 출토 목어의 적외선 조사 및 보존처리, 박물관 보존과학 26, p19-24, (2021).
11 이의천, 이영주, 김수철, 대구근대역사관 소장 인력거 재질 분석, 보존과학회지 38, p133-144, (2022).
12 손병화, 김정훈, 남태광, 이광희, 박원규, 양평 지평향교 대성전 목부재의 수종 및 연륜연대 분석, 목재공학 39, p213-220, (2011).   DOI
13 이필우, 한국산 목재의 구조, 정민사, 파주, (1994).
14 박상진, 목재조직과 식별, 향문사, 서울, (1987).
15 국립문화재연구소, 문화재 과학적 분석 재질별 연구 사례, 국립문화재연구소, 대전, (2018).
16 국립민속박물관, 천연섬유와 모피 식별 아클라스, 국립민속박물관, 서울, (2005).
17 이창복, 신고 수목학, 향문사, 서울, (2007)
18 김수경, 허준수, 이한형 서민석, 한민수, 창덕궁 대조전 적의본의 채색안료 성분분석, 보존과학회지 29, p379-388, (2013).   DOI
19 오준석, 최정은, 이새롬, 삼국지연의도의 채색재료 분석, 삼국지연의도, 국립민속박물관, p133-173, (2016).
20 한민수, 이한형, 김재환, 휴대용X선형광분석기를 이용한 통도사 영상전 벽화 안료의 과학적 성분분석, 문화재 44, p132-149, (2011).   DOI
21 한국문화재보존과학회, 보존과학용어, 한국문화재보존과학회, 충주, (2011).
22 오준석, 최정은, 최윤희, 19~20세기 무신도 등에 사용된 구리-비소 녹색 안료에 대한 연구, 보존과학회지 31, p193-214, (2015).   DOI
23 오준석, 황민영, 야마토 아스카, 아라이 케이, 이새롬. 신구법천문도 채색 안료 비교 및 제작시기 추정, 보존과학회지 36, p351-367, (2015).   DO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