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omen with Disabilities

검색결과 122건 처리시간 0.031초

상지장애인을 위한 시선 인터페이스에서의 객체 확대 및 음성 명령 인터페이스 개발 (Object Magnification and Voice Command in Gaze Interface for the Upper Limb Disabled)

  • 박주현;조세란;임순범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24권7호
    • /
    • pp.903-912
    • /
    • 2021
  • Eye tracking research for upper limb disabilities is showing an effect in the aspect of device control. However, the reality is that it is not enough to perform web interaction with only eye tracking technology. In the Eye-Voice interface, a previous study,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 that the existing gaze tracking interfaces cause a malfunction of pointer execution, a gaze tracking interface supplemented with a voice command was proposed. In addition, the reduction of the malfunction rate of the pointer was confirmed through a comparison experiment with the existing interface. In this process, the difficulty of pointing due to the small size of the execution object in the web environment was identified as another important problem of malfunction. In this study, we propose an auto-magnification interface of objects so that people with upper extremities can freely click web contents by improving the problem that it was difficult to point and execute due to the high density of execution objects and their arrangements in web pages.

장애인 1인가구에 관한 연구동향: 체계적 문헌고찰을 중심으로 (Research Trends on Single-Person Households with Disabilities: Focusing on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 김보배;박수선
    • 산업융합연구
    • /
    • 제22권2호
    • /
    • pp.85-96
    • /
    • 2024
  • 본 연구는 장애인 1인가구에 관한 연구동향을 살펴보고자 체계적 문헌고찰 연구방법을 활용하였다. 이를 위해 KCI, RISS, KISS, e-Articl 총 4개의 데이터베이스에서 장애인 1인가구, 고령장애인 1인가구, 독거 장애인, 1인가구 등의 연관 검색어를 조합하였고 2023년 9월 30일까지 출판된 2,161건의 논문이 검색되었다. 5단계에 걸쳐 장애인 1인가구와 관련 없는 문헌을 배제하였고, 최종 13건의 문헌을 선정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로 장애인 1인가구 연구주제로 구분한 결과, 1인가구 관련 실태 및 관련 요인분석, 1인가구 관련 쟁점 및 지원방안, 1인가구 관련 사례연구 3개로 연구주제가 구분되었다. 둘째로 장애인 1인가구는 여성일수록, 연령이 높을수록, 소득이 낮을수록, 대인관계능력이 낮을수록, 건강이 나쁠수록, 미취업 상태일수록, 가족지원이 적을수록 삶의 만족도 수준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후속연구에 대한 제언과 사회복지의 실천적, 정책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정신장애인의 취업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The Phenomenological Study on the Employment Experiences of People with Psychiatric Disabilities)

  • 이금진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62권1호
    • /
    • pp.237-261
    • /
    • 2010
  • 본 연구는 정신장애인이 취업의 전 과정을 통해 어떤 경험을 하게 되며, 어떻게 자신의 역할을 가치화하고 궁극적으로 사회통합과정에 진입해 나가는지 심층적으로 이해하고자 하였다. 특정 현상의 본질적 모습을 참여자들의 삶과 연결하여 보다 생생하고 풍부하게 이해하기 위하여 현상학적 연구방법을 활용하였으며, Colaizzi의 분석방법을 통해 고유경험을 깊이 있게 기술하였다. 정신장애인의 취업경험에 관한 분석과 반성적 고찰을 통해 6가지의 주제묶음을 도출하였다. '좁은 문을 비집고 들어가기', '낯선 무대 위에 올려지기', '빠른 세상 속에 헛돌기', '버텨내기', '평범한 삶에 포개지기', '내 한계를 인정하며 한발 더 내딛기'이다. 참여자는 직업세계의 편견과 차별, 스스로의 기능적 제한을 경험하면서 사회적으로 성장하였고, 이를 통해 내재화된 환자역할에서 벗어나는 힘이 생기고, '장애'보다는 자신의 '능력과 노력'에 초점을 두어 자아를 통합하였다. 참여자들은 취업이 주는 정당한 고통이 자신이 지향하는 삶의 일부로 의미화하고, 한발 더 내딛어 세상에 합류하고자 하는 경험을 하였다. 본 연구는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해 정신장애인의 취업지원을 위한 실천적 개입방향을 제시하였다.

  • PDF

대학 학과 간 장애인평생교육 융합전공 탐색 비교과프로그램이 지적 및 발달장애 고등학생의 식당취업기술에 미치는 효과 (A Case Study on the Effect of the Extracurricular Program of Convergence Major in Lifelong Education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in Universities on Restaurant Employment Skills of High School Students with Intellectual and Developmental Disabilities)

  • 김영준;권량희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1권7호
    • /
    • pp.136-144
    • /
    • 2021
  • 본 연구는 대학의 학과 간 장애인평생교육 융합전공 탐색에 대한 비교과프로그램이 지적 및 발달장애 고등학생들의 식당취업기술 수행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는 데 목적을 두어 실시되었다. 연구 방법은 세 명의 지적 및 발달장애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사례연구의 절차로 구성되었으며, 구체적으로 단일대상연구 기법을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 연구 참여자인 지적 및 발달장애 고등학생들은 대학에서 사회복지학과 및 식품영양학과 재학생을 대상으로 실시된 장애인평생교육 융합전공 탐색 비교과프로그램을 통해 식당취업기술을 효과적으로 습득 및 유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대학의 장애인평생교육 융합전공 탐색을 위한 비교과프로그램은 지적 및 발달장애학생들의 식당취업기술을 비롯한 성인생활적응에 효과적인 콘텐츠라는 측면이 분석되었다.

여성 하지 지체장애인을 위한 바지 디자인 제언 (Suggestions for the Design of Trousers for Women with Lower Extremity Disabilities)

  • 이다현;서승희
    • 패션비즈니스
    • /
    • 제26권2호
    • /
    • pp.83-94
    • /
    • 2022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reality of clothes-wearing among physically disabled women and propose trouser designs. As a research method, an in-depth interview method was adopted for 10 women in their 30s and 50s with lower limb disabilities who could wear trousers and use wheelchairs. The study results identified the following factors that should be considered in the design of trousers. First, a semi-casual design that could hide physical deficiencies, was not different from ready-made clothes and enabled various looks was desirable. Second, the proper material would have little transformation in the form, have remarkable durability and laundry fastness, two-directional stretch, and hide deficiencies with a sense of thickness and density. Third, an "L-frame" pattern in a sitting position, and a straight fit were desirable. Finally, pockets can impose pressure according to their form, size, position, and sewing method, highlighted the need for a sewing approach to minimize seams in the fabric. For adjustment, an elastic band would be a good choice in terms of type, length, position, and material as it could satisfy both the convenience of putting on and taking off and comfort in wearing at the same time. Decorative design details can also impose pressure according to a sense of thickness, which means that they should be avoided in parts that are close to the body or can impose pressure according to posture.

장애인의 주관적 삶의 질: 삶의 만족도 구조모형의 성별 비교 (The Subjective Well-Being of People with Disabilities : A Gender Comparison to Structural Equation Model of Life Satisfaction)

  • 이지수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59권2호
    • /
    • pp.89-114
    • /
    • 2007
  • 이 연구는 장애인들의 주관적 삶의 질 관련요인을 밝히고, 그 구조모형에서 성별간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려는 것이다. 이는 젠더와 장애라는 이중적 불이익을 안고 있는 여성장애인의 삶의 질을 남성장애인과 비교하여 살펴봄으로서 여성장애인 문제의 보편성과 특수성을 함께 이해하고자 하는 시도이다. 연구결과, 장애인의 주관적 삶의 질을 상향모델과 하향모델의 통합모델로 설명할 수 있었다. 남녀 장애인 모두에서 장애의 심각성이라는 객관적 조건보다는 자존감, 사회적 지지 인식 등 상황에 대한 인식이 중요한 변수로 나타났다. 한편 여성장애인의 경우 객관적인 사회경제적 상태와 자존감이 삶의 만족도를 결정하는데 보다 중요한 변수였고, 남성장애인의 경우에는 사회적 지지가 보다 중요한 변수였다. 본문에서 연구결과의 이론적, 실천적 함의를 논하였다.

  • PDF

장애인의 재취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Analysis of the Impact on the Re-Employment of the Persons with Disabilities)

  • 김용탁;구인순
    • 재활복지
    • /
    • 제17권4호
    • /
    • pp.151-176
    • /
    • 2013
  • 본 연구의 목적은 장애인의 노동시장 재진입에 어떠한 요인이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장애인 재취업 지원 정책에 대해 제언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제4차 장애인 고용패널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분석대상은 1차~4차 패널 중에서 재취업자와 미취업자이다. 분석은 인적 요인, 장애요인, 편의요인, 사회적 요인 그리고 이전 직장 요인을 변수로 하였으며, 이 과정에서 전체 장애인과 남성 및 여성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재취업에 미치는 요인으로는 성별, 학력, 만성 질병 여부, 일상생활에서의 타인의 도움 유무, 일자리 차별 경험 그리고 고용 형태 등으로 나타났다. 남성과 여성을 구분할 경우 남성은 정신적 일자리에서 재취업에 유리하지만, 여성은 배우자가 없는 경우(미혼이 아닌), 고용서비스를 받은 경우 재취업에 유리하였다. 이러한 분석을 통해 여성에 대한 취업 지원 정책의 구체화, 장애인의 취업과 의료 및 보건분야와의 연계, 일자리 차별 해소를 위한 대책 마련, 그리고 괜찮은 일자리로의 진입을 도모할 수 있는 정책 등이 마련되어야 한다는 점을 제안하였다.

그림동화를 활용한 읽기활동이 시설거주 성인 지적장애인의 수용어휘와 표현어휘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Reading Activities Using Picture Fairy Tales on Receiving Vocabulary and Expressive Vocabulary of Adul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Residing in Facilities)

  • 류정미;김충명
    • 한국자연치유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48-55
    • /
    • 2021
  • 목적: 지적장애인은 수용어휘와 표현어휘의 사용에 취약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시설거주 성인 지적장애인에게 그림동화를 활용하여 읽기 교육을 지도한 후에 수용어휘와 표현어휘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는 것이었다. 방법: 연구대상은 거주시설에서 거주하는 20~40세미만의성인지적장애인 12명이다. 이들은 중재집단 6명과통제집단 6명으로나누어서 매회기 당 60분씩 총 12회기로 그림동화를 활용한 읽기 지도를 중재하였다. 결과: 그림동화를 활용한 읽기 활동을 시행한 중재집단에서는 수용어휘의 사용이 유의하게 향상되었고, 표현어휘의 활용도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통제집단에서는 모두 유의한 결과가 나타나지 아니했다. 결론: 본 연구는 장애인을 대상으로 그림동화를 활용한 읽기를 지도한 후에는 수용어휘와 표현어휘의 활용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었다. 이 결과는 이 분야의 연구에 기초가 되리라 평가한다.

서울 지역노동시장권 여성장애인 임금근로자의 이중차별적 임금격차 분석 (Decomposition of Wage Differentials for Women with Disabilities in the Seoul Local Labor Market of Korea)

  • 이영경;임업
    • 지역연구
    • /
    • 제32권2호
    • /
    • pp.45-59
    • /
    • 2016
  • 본 연구는 서울 지역노동시장권에서 여성장애인 임금근로자가 이중차별적 임금차별을 경험하고 있는지, 그리고 그 정도가 어떠한지를 실증적으로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 고찰을 바탕으로 지역노동시장에서 여성장애인이 겪는 이중차별 메커니즘을 파악하고, Oaxaca-Blinder 모형과 Juhn-Murphy-Pierce 모형을 이용하여 여성장애인이 겪는 임금격차를 보다 엄밀하게 분석하고자 하였다. 분석자료로는 1차(2008년)와 5차(2012년)의 장애인고용패널조사 자료와 11차(2008년)와 15차(2012년)의 한국노동패널조사 자료를 사용하였다. 임금격차 분해 결과에 따르면, 서울 지역노동시장권 내 여성장애인들은 장애와 여성이라는 조건으로 인해 이중적으로 임금차별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여성장애인이 가진 특성과 관측되지 않은 임금결정요소들의 시간에 따른 변화는 장애와 성별에 기인한 임금격차 수준을 전반적으로 감소시켰다. 여성장애인이 가진 특성변화에 따른 임금보상수준 및 관측되지 않은 노동시장 내의 임금불평등도 변화로 인해 성별임금격차는 감소했지만 장애임금격차는 오히려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학령 전 발달장애아 어머니의 시간관리행동과 시간관리만족도 및 양육스트레스와의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Time Management Behavior and Parenting Stress among Mothers of Preschool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 김유경;양심영
    • 가족자원경영과 정책
    • /
    • 제18권2호
    • /
    • pp.103-119
    • /
    • 2014
  • This study focus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ime management behavior and parenting stress of mothers with developmentally disabled children.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162 mothers whose children have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attend pre-school and social welfare centers for early education. This study investigates the time management behaviors of the participants, and whether these behaviors have an effect on their time management satisfaction and parenting stress.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1) The time management behaviors of the participants were lower than average, scoring 2.87 out of 5. The order of dimensional scores from highest to lowest were sequencing, planning, recording habits, evaluating, and setting goals. 2) Time management satisfaction and parenting stress for the participants exhibited a negative correlation. 3) Adaptation behaviors of the children and time management behaviors of the mothers were factors that had significant effects on the mothers' parenting stress. These results showed the importance of time management for mothers with developmentally disabled childre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