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etland type

검색결과 173건 처리시간 0.022초

낙동강 화포습지의 식생 구조 (Vegetation Structure of Hwapo Wetland in Nakdong-gang)

  • 오경환;손성곤;이팔홍;김철수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67-81
    • /
    • 2003
  • Vegetation structure was investigated in the Hwapo wetland around the Nakdong-gang, Gimhae-city, Gyeongsangnam-do, Korea from May to August, 2001. The vegetation type was classified into 18 communities based on the actual vegetation map: Phragmites communis community, Miscanthus sacchariflorus community, Salix nipponica community, Echinochloa crus-galli var. frumentacea community, Zizania latiofolia community, Cyperus amuricus community, Spirodela polyrhiza community, Trapa japonica community, Phragmites communis-Miscanthus sacchariflorus community, Salix nipponiaz-Misaznthus sacchariflorus community, Cyperus amuricus-Acorus calamus var. angustatus community, Salvinia natans community, Hydrilla verticillata-Spirodela polyrhiza community, Persiazria maackiana community, Trapa japonica-Salvinia natans community, Hydrilla verticillata community, Potamogeton crispus community, and Populus deltoides community. Among them, Phragmites communis community was the largest (34.9 ha, 29.53%). The dominant vegetation type was Persiazria hydropiper - Persicaria maackiana community based on the phytosociological method, and it was classified into four subcommunities: Phalaris arundinacea-Salix nipponica subcommunity, Miscanthus sacchariflorus subcommunity, Phragmites communis subcommunity, and Spirodela polyrhiza subcommunity, and Acorus calamus var. angustatus group belongs to Miscanthus sacchariflorus subcommunity.

  • PDF

부유식물과 침수식물이 습지의 주요 수 환경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Floating and Submerged Plants on Important Water Environments of Wetland)

  • 이근주;성기준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289-300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습지식물의 유형에 따라 습지의 주요 수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부유식물로는 부레옥잠(Eichhornia crassipes)을 침수식물로는 붕어마름(Ceratophyllum demersum)을 인공습지 실험구에 도입한 후 pH, 용존산소, 수온, 산환환원전위, 영양물질 농도 등 주요 수 환경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수 표면에 주로 존재하는 부유식물은 빛이 수체내로 투과하는 것을 막아, 다른 처리구에 비해 수온이 낮게 나타났으며 주 야 모두 상 하층 수온의 차이도 관찰되었다. 오염물 유입 후 모든 실험구에서 용존 산소가 일시적으로 감소하였다가 다시 회복되었는데 특히 수중에서 광합성을 하는 침수식물 처리구에서 주기성을 가지면서 증가하였고 상승폭 또한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pH 또한 침수식물 처리구에서 주기성을 가지면서 변동하는 것으로 나타나 용존산소의 경우와 같이 광합성의 영향임을 보여주었다. 본 연구에서 습지토양의 산환환원전위가 수생식물의 유무나 유형에 따라 영향을 받을 수 있음이 관찰되었으며 이와 관련된 생지화학적 기작에도 영향을 줄 수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수체 내 총질소와 총인의 농도는 물만 있는 대조구 <물과 토양이 있는 대조구 < 부유식물 처리구 < 침수식물 처리구의 순으로 감소한 것으로 나타나 식물이 영양물질 제거에도 효과적임을 보여주었다. 부유식물과 침수식물 모두 조류발생을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특히 부유식물의 경우 더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Analysis of the Purpose of Visiting Wetlands Using Pictures Posted on Social Media

  • Park, Woong-Bae;Park, Siae;Choi, Tae-Jun;Kim, Dae-Hee;Lee, Do-Hee;Do, Yuno
    • Proceedings of the National Institute of Ecology of the Republic of Korea
    • /
    • 제3권2호
    • /
    • pp.97-102
    • /
    • 2022
  • In this study, 4,136 pictures posted on a social media platform were analyzed to discover wetlands that are worth visiting to experience our cultural values. Pictures from 300 of the 2,499 listed wetlands have been posted in South Korea. Proximity of a wetland was the most important criterion, regardless of the type of wetlands that were visited. People visited wetlands at the time and season when they were good for recreational activities. Most of the subjects in the pictures were the visitors and natural scenery of a wetland. There was no correlation observed between the wetland conditions and the number of pictures taken by the visitors. Sightseeing and leisure activities are a significant part of various ecosystem services offered by wetlands, but most of the visitors seem to be unaware that the place they have visited is a wetland. Therefore, wetland awareness programs are needed, even for wetlands close to the residential areas that many people have already visited in this study.

서부민간인 통제구역에서 4가지 둠벙 유형에 따른 수환경 특성과 습생식물 군집의 유사성 분석 (Water characteristics and similarity analysis of wetland plant communities in 4 types of small irrigation ponds in western Civilian Control Zone in Korea)

  • 김승호;김재현;김재근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581-591
    • /
    • 2011
  • 김승호 등(2011)에 의해 제안된 둠벙의 유형이 화학적 수환경 특성과 습지식물의 서식 유무를 반영하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4가지 유형을 대표하는 CCZ 내 8개의 둠벙에서 습지식물상과 물의 화학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연구결과 샘통형 둠벙에서는 양이온과 음이온의 농도가 모두 낮았으며, 다른 유형의 둠벙에서는 양이온 또는 음이온의 농도가 높았다. 특히 물흐름형 둠벙인 경의선 둠벙에서는 양이온과 음이온이 모두 높게 나타나 지표수가 주로 유입됨을 보여주었다. 대체적으로 물의 화학적 특성과 습지식물상은 둠벙의 유형 분류에 따라 나누어짐을 보였다. 그러나 CCA와 cluster analysis 모두에서 물흐름형 둠벙은 서로 연관성이 없게 나타났다. 이는 둠벙의 분류 시 논과의 물교환보다 급수원이 더 중요함을 의미한다. 그러므로 이를 반영하는 새로운 둠벙 분류체계가 고려되어야 함을 제안한다.

달포늪의 퇴적물과 유기물함량 특성 연구 (The Characteristics of Sediment and Organic Content in the Dalpo Wetland)

  • 강동환;김성수;정휘제;권병혁;김일규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9권3호
    • /
    • pp.1-12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양산 신불산 고층습원인 달포늪 퇴적물의 입도, 주상도 및 유기물함량을 분석하여 퇴적물 입도와 종류에 따른 유기물함량의 상관성을 규명하였다. 연구지역인 달포늪은 3개 습지로 구성되어 있으며, 습지면적은 약 $31,295m^2$ 이다. 달포늪 퇴적물의 입도분석은 7개 지점(습지A 3개, 습지B 3개 및 습지C 1개)에서 채취된 시료를 이용하였으며, 건식체분석과 피펫분석이 수행되었다. 입도분석 의하면 퇴적물 입도는 습지의 가장자리로 갈수록 크고, 습지A > 습지C > 습지B의 순으로 나타났다. 습지A와 습지B의 장축 및 단축과 습지C의 장축 방향에서 수평거리별 시추조사가 수행되었다. 습지A의 장축에서는 점토질 이탄층이 지표면하 심도 10~90cm 정도로 분포하고 있으며, 습지 중앙부인 수평거리 100 m 지점에서 지표면하 심도 90 cm로서 가장 두꺼웠다. 습지B에서는 점토질 이탄층의 지표면하 심도가 27 cm 이하로서 습지로서의 수명이 다해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습지C는 규모가 적어 퇴적물의 조성이 단순하였으며, 점토질 이탄층이 지표면하 심도 10~34 cm 정도에 분포하고 있다. 달포늪에서 시추조사에 의해 채취된 퇴적물을 10 cm 간격으로 절단하여 유기물함량을 분석하였다. 습지A 퇴적물에서는 지표면하 심도 70 cm 정도까지 유기물함량이 40% 이상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습지C 퇴적물에서도 지표면하 심도 10 cm 정도까지는 습지A와 유사하였으나 지표면하 심도가 30 cm 이상인 깊이에서는 20% 이내의 유기물함량을 보였다. 습지B는 지표면하 부근에서의 유기물함량이 40% 정도로서 가장 낮게 나타났다. 3개 습지 모두 지표면에 근접한 점토질 이탄층에서의 유기물함량이 높게 나타났으며, 이는 점토질 이탄층의 입도가 세립질이며 또한 식생의 사체를 통해 유기물이 지속적으로 공급되기 때문이다. 달포늪 퇴적물의 유기물함량은 습지A > 습지C > 습지B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퇴적물 내 점토질 이탄층의 형성 정도에 의한 것이다. 본 연구를 통해 달포늪 퇴적물의 유기물함량은 퇴적물의 입도와 상부 식생에 의해 지배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서울시 주요 습지유형별 생태적 특성 분석 (The Analysis of the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Major Wetland Types in Seoul)

  • 이경재;권전오;이수동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44-55
    • /
    • 2003
  • 서울시의 대표적인 습지유형인 저수지형습지(송파구 방이동 습지)와 묵은논형습지(은평구 북한산성 입구 습지)에 대한 현장조사(현존식생, 식물상, 야생조류)를 실시하여 각각의 특성을 비교.분석하였다. 현존식생에 있어 저수지형습지는 개방수면이 넓고 추수(抽水)식물인 갈대의 분포가 넓은데 반해 묵은논형습지는 수심이 전반적으로 낮고 일정하기 때문에 개방수면이 협소하고 습생(濕生)식물인 고마리의 분포면적이 넓었다. 식물상에 있어서는 저수지형습지에서 42과 80속 86종 8변종 1품종 95종류가 조사되는데 이중 나도겨풀, 마름, 수련과 같은 부엽식물과 좀개구리밥과 같은 부유식물이 조사되었으나 묵은논형습지에서는 부엽식물과 부유식물이 조사되지 않았다. 그리고 묵은논형 습지에서는 35과 53속 57종 7변종 1품종 65종류가 조사되었다. 야생조류는 저수지형습지인 송파구 방이동 습지에서 28종 433개체가 조사되었으며 이중 서울시 보호종 6종 모두를 포함하여 산새와 물새가 고르게 관찰되었다. 묵은논형습지인 은평구 북한산성습지에서는 32종 365개체가 조사되었는데 이중 천연기념물 1종, 환경부 보호종 1종, 서울시 보호종 4종이 관찰되었다. 저수지형습지에서 대상지 전반에 걸쳐 관찰되었으나 묵은논형습지에서는 경계부 산림지역에서 주로 출현하였다 전체적으로 저수지형습지가 현존식생, 식물상, 야생조류가 다양하게 나타났는데, 이는 저수지형습지의 지형구조가 다양함에 따라 식생유형과 동물상이 다양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농촌지역 소규모 소택형습지의 식생특성 (The Vegetation Characteristics of Small Palustrine Wetland in Rural Area)

  • 강방훈;손진관;이상화;김남춘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2권3호
    • /
    • pp.33-48
    • /
    • 2009
  • A palustrine wetland is a type of a wetland that prevails in Korea as well as an ecosystem that provides various ecological functions and has affluent biodiversity. This study was conducted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vegetation in a palustrine wetland by analyzing a life form and naturalized plants, in order to present the maintenance and utilization plan of a small wetland. A total of 249 taxa including 76 families, 188 generics, 209 species, 38 varieties and 2 forma were found at six investigated wetlands. As a result of the appearance ratio analysis, Therophytes (37.8%) with 94 taxa and Hemicryptophytes (31.3%) with 78 taxa were in order of life form, and Gramineae (14.1 %) with 35 taxa and Compositae (11.2 %) with 28 taxa were in order of family level. These were deemed representative vegetation in a palustrine wetland. Equosetum arvense, Phragmites communis, Commelina communis, Persicaria thunbergii, Arenaria serpyllifolia, Stellaria media, Erigeron annuus, Erigeron canadensis and Artemisia princeps var, orientalis were found continuously for a period of investigation in all sites. Equosetum arvense, Phragmites communis and Persicaria thunbergii were species with high appearance frequency. Especially, Persicaria thunbergii was construed high in a cover ratio in May as it develop first among Hydrophytes and form a canopy sooner than anything else. We found that a degree of naturalization and an urbanization index appear comparatively high in Yeongok-ri, Cheonan, Gangjang-ri, Asan and Yodang-ri, Hwasung, which is construed due to artificial interference, such as fanning, fishing, swimming and green-tour program. These results would be used to utilize in restoring a deserted and damaged wetland and to provide fundamental data in creating a wetland as follows.

소택지 토지이용 변경에 관련된 분쟁론자의 환경 프레임 분석에 관 하여 (An Analysis of Disputants' Environmental Conflict Frames Relating to Ohio Wetland Conversion Disputes)

  • 이기철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1-14
    • /
    • 1994
  • This study attempted to characterize conflict frames of environmental disputes by examining twelve actual wetland permitting cases in Ohio. The participants consisted of such interested parties as applicants, technical, legal or environmental consultants to applicants, U.S.Army Corps of Engineers, U.S.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U.S.Fish and Wildlife Service, Ohio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Ohio Department of Natural Resoures, local agencies, the environmental community, and citizens who have been involved of the permitting proces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empirical evidence of how different perceptual frames existed in the wetland conversion disputes, and to understand different environmental conflict frames that influenced disputants' perception relating to dispute resolution. The vehicles used to collect the necessary data were three survey instruments : Open-ended questionnaires, Likert-type questionnaires, and ranking questionnaires. Forty-three subjects were contacted for open fact-to-fact interviews, 53 subject for Kikert-type mail survey and 54 subjects for ranking instrument mail survey. Analyses of survey results revealed that six different types of frames were clearly identified from all the parties involved in Ohio wetland conversion disputes. It revealed that disputants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ly different levels of perception to the frames based on the participants' role (i.e. regulator, applicant, commentor), the number of involved parties in the process, processing time and the issuance of a permit. The findings also revealed that information sharing among disputants played a significant role in the process of froming and reframing. The alternative idea, building cooperation through negotiation, was proposed to provide new insight into the resolution of the dispute.

  • PDF

습지보호지역 버드나무림의 식물군락 특성 (Characteristics of Plant Community of Willow Forest in the Wetland Protection Areas of Inland Wetlands)

  • 조광진;임정철;이창수;추연수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201-212
    • /
    • 2021
  • 내륙습지에서 생태적, 환경적으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생태복원의 주요 재료가 되는 버드나무림에 대한 식물사회학적 연구가 수행되었다. 습지보호지역에 발달하는 버드나무림을 대상으로 Z.-M.(Zürich-Montpellier)학파의 방법에 따라 총 61개의 식생자료가 수집되었고 식물군락과 종조성적 특성이 밝혀졌다. 총 237분류군을 포함한 9개의 식물군락이 구분되었다. 높은 상대기여도(r-NCD) 값을 나타내는 버드나무류는 키버들, 왕버들, 선버들, 갯버들, 버드나무로 확인되었다. 종조성 분석결과, 벼과, 국화과, 미나리과, 마디풀과, 콩과 순으로 출현빈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생활형은 일년생식물(휴면형), 단립식물(지하기관형), 중력산포형(산포방법), 직립형(생육형)을 가지는 식물종의 출현율이 높아 Th-R5-D4-e로 특징지어졌다. 귀화식물은 12과 24종, 생태계교란 생물은 3과 4종이 관찰되었으며, 귀화율은 10.1%, 교란지수는 41.4%로 분석되었다. NMDS 서열법(non-metric multidimensional scaling)에 의한 식물종과 조사지점 간의 경향성 분석 결과, 조사지점의 해발고도와 습지의 유형이 식물군락의 공간적 분포를 결정하는 주요한 요소인 것으로 밝혀졌다. 비교적 해발고도가 높은 산지형 습지에서 다양성 지수와 균등도 지수가 높게 나타났으며, 해발고도가 낮은 하천형과 호수형 습지에서는 교란지수, 귀화율, 일년생식물 출현비율이 높았다.

담양 하천습지 내 단위 생태계의 분류 (Classification of Unit Ecosystems in Damyang Riverine Wetland)

  • 손명원;장문기;윤광성;최태봉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1-13
    • /
    • 2013
  • 담양습지보호지역은 전남 담양군과 광주광역시 북구 일원에 지정되어 있으며, 그 면적은 $980,575m^2$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담양하천습지를 세부 지형단위로 나누고, 각 지형단위에 대한 퇴적물을 분석하여, 하천습지를 이루는 단위 생태계를 세분화하는 것이다. 하천습지는 하도습지와 범람원, 구하도 습지로 구분할 수 있는데, 담양하천습지는 하도습지의 유형에 속한다. 하도습지의 세부 지형단위를 분류하기 위하여, 1단계로 항공영상을 획득하여 세부 지형단위를 분류하였으며, 2단계로 현지 연구를 통해 분류 내용을 수정 보완하였다. 본 연구에서 담양습지보호지역은 22개의 생태계 단위로 구분된다. 그들의 퇴적물의 물리적 화학적 특성은 공간적으로 다양하게 나타나는데, 이는 담양하천습지의 서식환경이 다양함을 보여주는 것이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담양하천습지보호지역을 보다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전략을 세울 수 있을 것이다. 이를 위해 담양습지에 형성된 다양한 하천지형과 이들을 서식지로 하는 생물들 간의 관계에 대한 학제적 연구가 필요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