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assification of Unit Ecosystems in Damyang Riverine Wetland

담양 하천습지 내 단위 생태계의 분류

  • Son, Myoung Won (Department of Geography Education, Daegu University) ;
  • Chang, Mun Gi (Department of Social Studies Education, Daegu University) ;
  • Yoon, Kwang Sung (Nature Conservation Research Division,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 Research) ;
  • Choi, Tae Bong (Nature Conservation Research Division,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 Research)
  • 손명원 (대구대학교 지리교육과) ;
  • 장문기 (대구대학교 대학원) ;
  • 윤광성 (국립환경과학원 자연자원연구과) ;
  • 최태봉 (국립환경과학원 자연자원연구과)
  • Received : 2013.01.25
  • Accepted : 2013.02.23
  • Published : 2013.02.28

Abstract

Damyang Wetland Reserve with $980,575m^2$ area is located in Damyang-gun, Jeonlanam-do and Buk-gu, Gwangju Metropolitan City.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divide Damyang riverine wetland into several geomorphic units, to analyze their sediments, and to categorize small ecosystem units composing riverine wetland. Riverine wetlands are classified into three types such as riverbed-, floodplain-, and abandoned-channel-wetland, and Damyang riverine wetland belongs to riverbed-wetland type. In this paper to categorize small geomorphic units of riverine wetland, we divide small geomorphic units from aircraft images analysis, and modify and supplement them following field survey results. Damyang Wetland Reserve is categorized into 22 ecosystem units. That physical and chemical properties of their sediments are different spatially, implicate that inorganic environment of Damyang riverine wetland ecosystem is very extensive. On the basis of the results of this study, policymakers will be able to design a strategy which manage Damyang Riverine Wetland Reserve more effectively, and for them interdisciplinary researches on relationships between various fluvial landforms and various lifeforms inhabiting them in Damyang Riverine Wetland Reserve are required.

담양습지보호지역은 전남 담양군과 광주광역시 북구 일원에 지정되어 있으며, 그 면적은 $980,575m^2$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담양하천습지를 세부 지형단위로 나누고, 각 지형단위에 대한 퇴적물을 분석하여, 하천습지를 이루는 단위 생태계를 세분화하는 것이다. 하천습지는 하도습지와 범람원, 구하도 습지로 구분할 수 있는데, 담양하천습지는 하도습지의 유형에 속한다. 하도습지의 세부 지형단위를 분류하기 위하여, 1단계로 항공영상을 획득하여 세부 지형단위를 분류하였으며, 2단계로 현지 연구를 통해 분류 내용을 수정 보완하였다. 본 연구에서 담양습지보호지역은 22개의 생태계 단위로 구분된다. 그들의 퇴적물의 물리적 화학적 특성은 공간적으로 다양하게 나타나는데, 이는 담양하천습지의 서식환경이 다양함을 보여주는 것이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담양하천습지보호지역을 보다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전략을 세울 수 있을 것이다. 이를 위해 담양습지에 형성된 다양한 하천지형과 이들을 서식지로 하는 생물들 간의 관계에 대한 학제적 연구가 필요하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