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ater-2-butanol

검색결과 491건 처리시간 0.031초

키위를 첨가한 막걸리의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Makgeolli Added with Kiwifruit (Actinidia deliciosa))

  • 김은경;장윤혁;고재윤;정윤화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2권11호
    • /
    • pp.1821-1828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키위를 첨가하여 제조한 막걸리의 품질특성을 조사하였다. 발효 6일째의 키위 막걸리와 대조군 알코올 함량은 각각 16.6, 17.0%을 나타내어 시료 간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키위 막걸리와 대조군의 pH는 발효 1일째 급감한 후 완만한 증가를 보이고 발효 6일째 각각 4.38 및 4.51로 큰 차이가 없었으며, 총산은 발효 1일째 급격한 증가를 보인 후 완만히 증가하여 발효 6일째 각각 0.34 및 0.27을 나타내었다. 총 균, 유산균, 효모 수는 발효가 진행됨에 따라 점차 증가하였으며 키위 막걸리의 발효 6일째 총 균, 유산균, 효모 수는 대조군과 큰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색도(L, a, b)는 발효가 진행됨에 따라 대조군과 키위 막걸리 모두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유리당 중 가장 높은 함량을 보인 glucose는 발효가 진행되면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고, 유기산 중 succinic acid 함량이 대조군과 키위 막걸리 모두 가장 높았고 발효가 진행됨에 따라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키위 막걸리에서는 37종의 휘발성 화합물이 검출되었으며, 그중 3-methyl-1-butanol(33.71%), 2-methyl-1-propanol(23.81%) 및 ethyl acetate(19.94%)의 함량이 가장 높았다. 본 연구 결과 막걸리 제조 시 키위의 첨가는 막걸리의 품질특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평가되어, 키위의 영양학적 효용성을 겸비한 기능성 막걸리의 제조가 가능한 것으로 사료된다.

팽화 홍삼으로부터 20(S)-Ginsenoside Rg3와 Rg5의 분리 및 구조동정 (Isolation of 20(S)-Ginsenoside Rg3 and Rg5 from the Puffed Red Ginseng)

  • 안영은;조진경;백남인;최성원;허남윤;박석준;김병용;백무열
    • 산업식품공학
    • /
    • 제14권2호
    • /
    • pp.159-165
    • /
    • 2010
  • 팽화홍삼으로부터 용매추출, 용매분획 및 silica gel column chromatography를 반복하여 두 개의 화합물을 분리하였다. 이들 두 화합물의 결정특성, 녹는점, 비선광도, Infrared spectrum 분석 결과, TLC에서의 Rf값, HPLC에서의 retention time 및 NMR 데이터를 측정하여 고찰한 결과 두 개의 화합물은 20(S)-ginsenoside Rg3와 ginsenoside Rg5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1}H$- 및 $^{13}C$-NMR 데이터를 HSQC 및 HMBC와 같은 2D-NMR 실험을 통하여 더욱 정확하게 동정하였다.

야콘(Smallanthus sonchifolius H. Robinson) 추출물의 제초, 살균 및 살충활성 효과 (Effect of Yacon (Smallanthus sonchifolius H. Robinson) Extracts on Herbicidal, Fungicidal, and Insecticidal Activities)

  • 윤영범;김진화;장세지;김도익;권오도;국용인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98-106
    • /
    • 2012
  • 본 연구는 야콘의 잎, 줄기, 괴경 추출물 중 어느 부위에서 제초, 살균 및 살충효과가 가장 높은지를 알아보기 위해서 각 부위별로 물, 열수 그리고 메탄올로 추출하였다. 또한 위의 추출방법 중 제초활성능력이 뛰어난 것을 hexane, chloroform, ethyl acetate, BuOH, $H_2O$로 용매분획하여 잠정적 제초 성분에 대한 특성을 조사하였다. 전반적으로 오이와 보리의 발아율, 초장 및 근장 억제에 대한 추출방법 중에 메탄올 추출법이 가장 효과적이었다. 또한 식물체 부위별로는 괴경에서 가장 효과적이었다. Ethyl acetate, butanol, chloroform, hexane, water의 용매분획에서 오이와 보리의 발아율, 초장 및 근장 저해는 물층에서 가장 좋았고 그 밖의 분획에서는 차이가 없었다. 5%와 10% 야콘 괴경 추출물에 의해 바랭이와 까마중은 각각 70~80%와 95~100% 방제되었다. 그러나 이들 농도의 야콘 괴경 추출물에 의한 오이와 보리 경엽처리에 의한 저해 효과는 인정할 수 없었다. 5% 야콘 잎 추출물 처리 후 3일째 복숭아혹진딧물의 살충률은 50%이었다. 벼멸구의 경우 5% 줄기와 잎(중륵 포함) 추출물에 의한 살충률은 24%로 낮았고 중륵이 배제된 잎 추출물에서 57% 살충률을 보였다. 그러나 5% 잎 추출물에 대한 탄저병, 시들음병, 청고병, 흰잎마름 병원균에 대한 살균효과는 없었다.

더덕 사포닌인 lancemasides의 최적 추출 방법 구명 (Determination the optimum extraction method for saponin lancemasides in Codonopsis lanceolata)

  • 이민주;남주희;엄인석;강창근;노일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51권2호
    • /
    • pp.103-108
    • /
    • 2019
  • 본 연구는 더덕 사포닌의 최적 추출 방법을 구명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추출 방법에 따른 lancemasides 함량을 조사하기 위해 환류 추출(MeOH, BuOH), 열수 추출(Hot water), 초음파 추출(ultrasonic bath (40 kHz; continuous irradiation, interval irradiation), ultrasonicator (20 kHz))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총 lancemasides함량은 ultrasonic bath (MeOH; continuous irradiation) 추출에서 가장 높았고, ultrasonic bath (water; continuous irradiation) 추출>ultrasonic bath (MeOH; interval irradiation) 추출>ultrasonicator 추출>열수 추출>메탄올 환류 추출>부탄올 환류 추출 순으로 높았다. 따라서 더덕 사포닌의 최적 추출 방법은 MeOH을 이용한 초음파(ultrasonic bath, 40 kHz) 추출이었고, 추출 전 시료 건조 방법은 동결건조보다 음건으로 건조하는 것이 lancemasides 추출에 더 효과적이었다. 또한 초음파 추출 시 추출 시간은 2시간, 추출 온도는 $64^{\circ}C$에서 추출 하는 것이 효과적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초음파(ultrasonic bath)추출은 기존에 주로 이용하던 환류 추출 및 분획을 실시했을 때 보다 많은 양의 사포닌(lancemasides)을 추출할 수 있었다. 그리고 추출 시간과 온도와 같은 추출 조건에 따라 aster saponin Hb가 lancemaside류로 성분 변화가 일어나는 것을 확인하였다. 특히 추출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aster saponin의 함량이 줄어들고, lancemaside A의 함량이 증가하는 것으로 보아 추출 온도가 사포닌 성분 변화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사료된다.

느릅나무 뿌리껍질 성분의 유방염균에 대한 항균효과 (Effects of Root Bark Components from the Elm (Ulmus davidiana var japonica) on Mastitis Pathogens)

  • 신성진;윤민호;권순경;최우영
    • 농업과학연구
    • /
    • 제26권1호
    • /
    • pp.71-76
    • /
    • 1999
  • 젖소 유방염 병원균에 대한 느릅나무 뿌리껍질(유백피(楡白皮))의 항균활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용매분획별로 시험한 결과 일반적으로 chloroform 분획이 가장 효과적이었고 butanol 및 물분획의 활성은 낮았다. 유방염균을 Fleish extract broth에서 액체 배양할 경우에 chloroform 분획을 첨가하면 생육이 억제되었으며 특히 Staphylococcus aureus 및 Streptococcus sp. No. 12는 초기생육이 현저하게 저해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Hoechst 제약의 표준방법에 의한 MIC 시험에서도 유사한 결과를 얻었다. 또한 건조한 느릅나무의 뿌리껍질 100 g을 물로 추출하여 겉보기 점도 77.5 cP, 최대흡수 파장 440nm의 황갈색 수용성 점질물 4.500ml를 회수할수 있었다. 이를 정제 건조한 무게는 32~35 g이었으며, 탄수화물 함량이 $61.0{\pm}1.0%$, 단백질 $8.0{\pm}0.2%$로서 다당이 주성분이었다. 이상의 실험결과를 통해 유백피의 용매 추출분획물은 항균활성을 나타내는 성분으로, 그리고 수용성 점질물은 흡수성과 점성이 높은 다당류로서 염증 부위에 수렴작용을 나타내는 성분으로 결론지을 수 있었다

  • PDF

토복령의 항산화작용 및 항균 효과에 대한 연구 (Studies on the Antioxidation and Antimicrobial Effect of Smilacis Glabrae Rhizoma)

  • 양기호
    • 대한한의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1-8
    • /
    • 2004
  • Objectives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milacis GlabraeRhizoma on antioxidation and antimicrobial activity. Methods :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effects of peroxide radicals on hydrogen donating activity and linoleic acid, and the MDA contents on the hepatic lipids of rats, via methanol extractions and subfractions of Smilacis Glabrae Rhizoma. Results : 1. Hydrogen donating activity was very great for the radical scavenging effects, depending on the additional concentration at the fraction level of chloroform and ethyl acetate. 2. The peroxide radicals in linoleic acid were lower depending on the additional concentration, at the fraction level of ethyl acetate, than the controls. We concluded that both had significant anti-oxidation effects. 3. MDA contents of the hepatic lipid had also inhibition effects on lipid radicals, in proportion to the concentration of n-hexane, chloroform, and ethyl acetate fraction level. 4. After extracting Smilads Glabrae Rhizoma with 80% methanol, we experimented with the extracts the antibiosis each concentration, for 5 bacilli, Bacilus subtilis, staphylococcus aureus, Escherichia coli, Salmonela typhimurium, and Alcaligenes faecalis. While the effects showed differentiations by concentration, they had usually the significant inhibition effect for the multiplication at 37.5~75ug/ml. To identify the effective constituents, we identified the antibiosis of the fractions assaying cyclically hexane, chloroform, ethyl acetate, and butanol. The result showed that antimicrobial activation of both Gram-positive and Gram-negative bacillus except for E. coli was measured highest at the fraction level of BuOH and water. Conclusions : This result suggest that the extractions of Smilacis Glabrae Rhizoma, at ethyl acetate fraction, had significant anti-oxidation effects and at BuOH and water fraction had relatively strong antimicrobial activity against Bacilus subtilis, staphylococcus aureus, Salmonela typhimurium, and Alcaligenes faecalis.

  • PDF

구아바(Psidium guajava L.) 잎의 항산화 활성 및 tyrosinase 저해효과 (Antioxidant activities and tyrosinase inhibitory effects of guava (Psidium guajava L.) leaf)

  • 박병재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1권5호
    • /
    • pp.408-412
    • /
    • 2008
  • 본 연구는 기능성소재 개발에 이용될 수 있는 유용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구아바 잎의 총페놀화합물의 함량, 항산화활성, tyrosinase 저해활성을 측정하였다. 1. 구이바잎 추출물의 총페놀화합물은 19.0(g/100g, D.W.)의 함량으로 강한 항산화활성을 보였다(radical 소거활성의 IC50는 $102.5{\mu}g/ml$, SOD 유사활성의 IC50는 $49.4{\mu}g/ml).$) 2. 용매분획물의 radical 소거활상을 측정한 결과, $100{\mu}g/ml$의 농도에선도 ethylacetate(G-E), butanol(G-B), 물분획(G-W)은 50% 이상의 높은 소거활성을 보였다 radical 소거 활성은 G-B>G-E>G-W 순으로 높은 활성을 보였고, 각 분획물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소거능이 높아지는 경향을 나타냈다. hexane분획(G-H)의 소거활성은 보이지 않았다. 3. 용매분획별 SOD 유사활성에 대한 결과, $100{\mu}g/ml$의 농도에서 G-E, G-B, G-W는 각각 81.8, 84.7, 65.3%로 높은 활성을 나타냈으며, 각 분획물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SOD 유사활성도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G-H의 활성은 보이지 않았다. 4. 구아바잎의 추출물과 용매분획물의 tyrosinase저해 효과를 측정한 결과, 추출물 1mg/ml의 농도에서 60.8%의 저해효과을 보였으며, 용매분획은 G-E(65.2%), G-B(62.8%), G-W(51.6%), G-H(28.9%)의 순으로 tyrosinase 저해효과를 보였다.

Lipoxygenase Inhibition and Antioxidative Activity of Flavonoids from Paeonia moutan Seeds

  • Kim, Hyo-Jin;Chung, Shin-Kyo;Park, Sang-won
    •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 /
    • 제3권4호
    • /
    • pp.315-319
    • /
    • 1998
  • Previously, the methanolic extract of Paeonia moutan seeds was found to potently inhibit soybean lipoxy-genase (SLO). Hence to isolate SLO inhibitor, the defattd methaniolic extract of the seeds was consecutively partitioned wiht ether, ethyl acetate,n-butanol ,adn water. The ether souble fraction showing strong inhibitory activity against SLO was further fractionated into a strongly acidic, a weakly acidic, and a neutral fractions. The strongly acidic components of the ether extract were successively subjected to chromatography on a silica gel, Sephadex LH-20, and preparative HPLC. Four phenolic compounds were isolated , and twio of them showing a strong SLO inhibition activity were identified as luteolin (IC50=2.32$\mu\textrm{g}$/ml) and 5,6,4'-trihydroxy-7,3'- dimethoxylflavone (IC50=0.31$\mu\textrm{g}$/ml) by UV, IR, 1H-& 13C-NMR, and MS spectroscopy. In addition, two flavonoids showed significantly antioxidative activity as strong as that of of $\alpha$-tocopherol (p<0.05) in the autoxidation system of linoleic acid. These results suggest that luteolin and 5,6,4'-trihydroxy-7,3'-dimethoxy-flavone may be used as a potential source of anti-inflammatory agents with antioxidative activity.

  • PDF

Inhibitory Effects of Saururus Chinensis Extracts on Osteoclast Differentiation

  • Shim, Ki-Shuk;Kim, Soon-Nam;Kim, Myung-Hee;Kim, Young-Sup;Ryu, Shi-Yong;Min, Yong-Ki;Kim, Seong-Hwan
    • Natural Product Sciences
    • /
    • 제14권2호
    • /
    • pp.113-117
    • /
    • 2008
  • Saururus chinensis is a commonly used folk herb for the treatment of edema and liver diseases in Korea. To study the biological activity of Saururus chinensis in bone metabolism, we evaluated the effect of its extracts on osteoclast differentiation in vitro using primary mouse bone marrow-derived macrophages. Methanol extract (ME) from dried roots of Saururus chinensis was partitioned into methylene chloride (MF), ethyl acetate (EF), n-butanol (BF) and water fractions (WF). Tartrate-resistance acid phosphatase (TRAP) activity assay and western blot analysis were performed to determine the effect on osteoclast differentiation and mitogen-activated protein (MAP) kinases activation. ME, MF and EF dramatically inhibited receptor activator of ${NF-kB}$ ligand (RANKL)-induced formation of multinucleated osteoclasts and activation of MAP kinases. This study firstly demonstrated that ME, MF and EF of Saururus chinensis have the potential to inhibit the osteoclast differentiation, which results from the inhibition of MAP kinases activations in part.

LC-MS/MS와 GC-MS를 이용한 세신 추출물 중 7종 성분의 함량분석 (Quantitative Analysis of the Seven Marker Components in Asarum sieboldii using the LC-MS/MS and GC-MS)

  • 서창섭;신현규
    • 생약학회지
    • /
    • 제44권4호
    • /
    • pp.350-361
    • /
    • 2013
  • Asarum sieboldii has been used for treatment of fever, pain, common cold, and chronic sinusitis in Korea. In this study, we performed quantification analysis of seven major constituents including aristolochic acid I, aristolochic acid II, ${\alpha}$-asarone, ${\beta}$-asarone, elemicin, methyl eugenol, and safrole in the 70% ethanol extract of Asarum sieboldii and its solvent fractions, n-hexane, ethylacetate, n-butanol, and water ones using a ultra-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electrospray ionization-mass spectrometer(UPLC-ESI-MS) and 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er(GC-MS). Regression equations of seven components were acquired with $r^2$ values >0.99. The values of limit of detection(LOD) and quantification(LOQ) were 0.1-3.9 ng/mL and 0.3-11.7 mg/mL, respectively. The amount of the seven compounds in Asarum sieboldii were not detected -143.66 mg/g. The established LC-MS/MS and GC-MS methods will be helpful to improve quality control of Asarum sieboldi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