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Vocational Education Division

검색결과 52건 처리시간 0.032초

수능 직업탐구 영역의 성과와 과제에 대한 공업계열 특성화고 현장 교사의 인식 (Perception on Outcomes and Challenges of Vocational Education Division CSAT by Industry Department Teachers of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

  • 함승연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25권5호
    • /
    • pp.1148-1164
    • /
    • 2013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quiry of perception on outcomes and challenges of vocational education division CSAT by industry department teachers of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 Therefore, it is highly desirable that researchers to survey what are the biggest outcomes of vocational education division CSAT and positive ripple effects of outcomes, what are the biggest challenges of vocational education division CSAT and importance of challenges undertaken 10 years. The survey included 100 industry department teachers of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 on 9 region from Korea. The analysis of survey results was by regions, industry department teacher's career of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 The results are as follows. The biggest outcomes of vocational education division CSAT was extension of opportunity on continuing education and supply a demand for entrance university on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The biggest positive ripple effects of the outcomes was also extension of opportunity on continuing education and supply a demand for entrance university on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The biggest challenges of vocational education division CSAT and importance of challenges was not to use vocational education division CSAT score for the entrance on the most universities.

공업계열 특성화고 교사가 인식하는 수능 직업탐구 영역 응시집단 특성 변화 (Change on the Characteristics of Applying Group for Vocational Education Division in the CSAT by Industry Department Teacher's Perception of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

  • 함승연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25권6호
    • /
    • pp.1389-1407
    • /
    • 2013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quiry of perception on the characteristics of applying students for vocational education division in the CSAT(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 and what were characteristics of main group by industry department teachers of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 Therefore, it was highly desirable that researchers to survey what were change on the characteristics of applying for vocational education division in the CSAT and what were prospect on applying group for vocational education division in the CSAT. The survey included 100 industry department teachers of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 on 9 regions from Korea. The analysis of survey results were by regions, industry department teacher's career of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 The results were as follows. Main reasons of reducing on applying for vocational education division in the CSAT after the class of 2010 was policy of employment reinforce in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 by government. The next reason was increasing students who want the next stage of education not requiring results of the CSAT. Leading group of reducing on applying for the CSAT after the class of 2010 was fine grade group. Prospect on number of applying students for vocational education division in the CSAT was maintenance on the minimum number of applying students for the CSAT, after lasting of reducing state.

대학수학능력시험 직업탐구 영역의 성과와 과제에 대한 수산·해운 전공 교사의 인식 (Recognition on the Achievements and Challenges of Vocation Education Division CSAT by Fisheries and Shipping affiliate Teachers)

  • 류대성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27권5호
    • /
    • pp.1479-1490
    • /
    • 2015
  • This study analyzed the fishery and maritime vocational high school teachers' recognition on the outcomes and future agenda. In addition, it delineates the importance of the vocational education division being carried out for 10 years in the College Scholastic Achievement Test (CSAT). In order to gather relevant information, 76 teachers who work in 12 different fishery and shipping vocational high schools around the country were surveyed. The findings of the fishery and maritime department teachers' recognition on the matter are as follows: First, the biggest impact the vocational education division in the CSAT had was on the promotion of continuing education and on the fulfillment on the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desire to compete and enter universities. Second, the CSAT with the vocational education division allowed students to choose a variety of paths after high school whether they be full-time employments or pursuing a degree in universities. Third, the biggest obstacle for the vocational education division in the CSAT is in the most metropolitan universities not honoring the CSAT scores as a criterion in the admission process.

직업탐구영역 EBS 수능 연계 교재의 학교 현장 활용 형태와 활용 방안에 대한 질적 연구 (The Qualitative Study on Application Types and Using Methodology of EBS-CSAT Prep Books of Vocation Education Division in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s)

  • 함승연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27권6호
    • /
    • pp.1556-1568
    • /
    • 2015
  •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inquiry of application types and use methodology of EBS-CSAT prep books of vocation education division in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s. Research participants are 8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 teachers in Seoul and Gyeonggi, and subjects are basic industry and basic drawing. The teachers had using EBS-CSAT prep books in class or after-school. The results are as follows: The teachers used items explanation of after-school rather than regular classes using EBS-CSAT prep books of vocation education division in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s. Online lectures were used for self-directed learning of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rather than regular classes. Students and teachers of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 needed EBS-CSAT prep books of vocation education division by free gift instead of EBS-CSAT prep books of Korea language, english, math.

2015 개정 교육과정 적용에 따른 수능 직업탐구영역 시험과목의 학교 교육과정 편성과 교사의 인식 (The School Curriculum Organization and Teacher's Perceptions about Test Subjects in Vocational Education Division of the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 Based in the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 함승연
    • 직업교육연구
    • /
    • 제37권4호
    • /
    • pp.1-22
    • /
    • 2018
  • 이 연구는 2015 개정 교육과정이 고등학교 1학년에 적용됨에 따라 대학수학능력시험 직업탐구영역의 시험과목에 대한 학교 교육과정 편성과 시험과목에 대한 교사의 인식을 살펴보고 향후 수능 직업탐구영역의 발전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전국 특성과고, 마이스터고, 직업계열 일반고를 17개 시 도 지역별, 계열별로 1~2학교 선정하여 해당 고등학교에서 수능 직업탐구영역 관련 교사 한명이 답변하도록 설계하였다. 총 92개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농생명 산업 계열 4개교, 공업 계열 15개교, 상업 정보 계열 22개교, 수산 해운 계열 3개교, 가사 실업계열 14개교 등 총 58개교가 설문에 응답하여 63%의 학교가 설문에 참여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2015개정 교육과정에서 전문공통과목으로 처음 도입된 '성공적인 직업생활'은 1학년에 31개교, 53.5%로 가장 많이 편성하였고, 다음은 3학년으로 나타났다. 2009개정 교육과정 필수과목이면서 수능 직업탐구영역의 계열별 과목인 '선택과목 1'과 '선택과목 2'는 모두 1학년에 각각 32개교 55.2%와 42개교, 72.4%로 가장 많이 편성되었고, 다음은 2학년으로 나타나 전문공통과목의 편성과 차이가 있었다. 둘째, 수능 직업탐구영역 선택과목에 대한 의견으로는, 계열별 2과목인 현행 유지가 36개교로 가장 높았으며, 다음은 '성공적인 직업생활' 1과목이 12개교, '성공적인 직업생활'과 계열별 1과목을 포함하여 총 2과목이 8개교로 나타나, 교사들은 현재의 수능 직업탐구영역의 계열별 두 과목이 타당하다고 인식하였다. 셋째, 직업탐구영역의 응시자 수 변화에 대한 의견으로는 '현행 유지'가 31개교로 가장 높았고 다음은 '약간 감소'가 17개교로 나타났다. 계열별 난이도 요구 결과는 '현행 유지'가 38개교로 가장 높았으며, 난이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의 영향 정도는 '교육부 수능 정책의 변화'가 가장 높았으며 다음은 '직업탐구영역의 응시자 수 변화'가 높게 나타났다.

중국 직업교육의 현황과 문제 - 직업 고등학교를 중심으로- (An analysis on developing process and problem of vocational education in China curriculum - based on vocational school-)

  • 이장패;이광우
    • 예술인문사회 융합 멀티미디어 논문지
    • /
    • 제8권6호
    • /
    • pp.475-483
    • /
    • 2018
  • 최근 세계 주요 국가들의 정부 리더들은 현대 사회는 그 사회가 창의성을 얼마만큼 육성하고 가치있게 여기는지에 따라 흥망이 결정된다고 주장한다. 이 연구는 중국의 직업교육 발전과 관련된 현황을 분석해 그 문제를 개선하기 위한 대안을 모색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중국 직업교육 발전 체제, 중국 건국 후 발전, 반전현황과 문제에 대해 전면적으로 고찰하고 분석하였다. 중국은 현대적인 시장경제채제가 아직 완전히 정립되지 못하고 있다. 계획경제체제하에서 기업은 국가의 행정 부속물이었고 기업이 실행하는 것은 사회적이고 정치적인 생산기능이었으며 정치적인 윤리가 기타 모든 윤리를 우선했다. 1996년 중국은 <직업교육법>을 공포하여 정책상 기술직업교육의 중요성을 인식하였고, 또 앞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최근 직업교육의 규모를 급속히 확대하였으며, 직업교육의 운영수준도 상당히 제고시켰다. 그러나 중국의 직업교육은 조항의 분할 - 통일적 기획의 부족 등으로 인하여 교육자원이 합리적으로 운영되지 못하고 있는 점이 발견되고 있다.

대학수학능력시험 직업탐구 영역 수산·해운 선택과목 응시집단 특성 변화에 대한 전공 교사의 인식 (Perception on Changes of the Characteristics of Examinee's Group for the Elective Subjects of Fisheries and Shipping Industry in Vocation Education Division CSAT by Fisheries and Shipping affiliate Teachers)

  • 박종운;류대성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27권1호
    • /
    • pp.184-197
    • /
    • 2015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trends that the Fishery and Shipping Department teachers at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s have noticed about the characteristics of the applicant pool taking the College Scholastic Achievement Test(CSAT) since the vocational education division was first introduced in the CSAT in 2005. In addition, surveyed data from the study is highly desirable for researchers to understand the changes in the characteristics of the applicants for the fishery and maritime department in the CSAT. This study not only provides solid improvement on the selection of questions for the CSAT but also facilitates in the process of writing contemporary and relevant exam questions. The survey included 76 Teachers from 12 High School of Fisheries and Shipping Industry.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reduction in the number of applicants for Fishery and Maritime department in the CSAT after 2010 is due to the new governmental policy that encourages students in vocational schools to find employment rather than pursuing further education. Second, the biggest group of students who forgo taking the CSAT after 2010 is those with high marks at school. Third, prediction of outcome after declining to take the person for the time being would be kept to a minimum sustained was staring personnel at some point.

직업 교육 활성화를 위한 전공 진로 지도 프로그램 개발 (Vocational Guidance Program Development for Course Selection to Activate Vocational Education)

  • 박성종;한명석;김갑일
    • 공학교육연구
    • /
    • 제3권2호
    • /
    • pp.61-70
    • /
    • 2000
  • 경쟁 사회에서 생존을 위해 직업 교육기관은 학생들에게 능력 중심 직업 교육을 실시하여야 하며 직업 분야 진로 선택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체계적인 진로 지도 프로그램이 개발되어야 한다. 대학 1학년 학생들에게 미래의 직업 분야에 적응할 수 있도록 원활한 전공 선택과 전공 교과 학습 상담을 위한 진로 지도가 필요하다. 직업 분야 관련 과목의 조기 학습은 학생들의 학습 동기 유발에 매우 중요하며 이를 통해 학생들은 장래 직업 선택과 다양한 직업 분야의 진로 정보를 제공받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진로 지도 교과목 개발과 학습 계획을 위한 learning map을 통하여 교육 수요자 스스로 학습 계획을 세우고 대학 과정의 특정 직업 관련 지식의 획득과 장래 직업 준비를 위한 전공 진로 지도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설문지를 통하여 그 타당성을 검증함으로서 장래 직업 분야에서 유용한 직업인이 될 수 있도록 직업 교육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였다.

  • PDF

중등 NCS 직업교육의 학업성취도와 취업만족도 관계 분석 (Analysis of Relationship between Academic Achievement and Job Satisfaction of Secondary NCS Vocational Education)

  • 최수호
    • 서비스연구
    • /
    • 제8권1호
    • /
    • pp.41-57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중등 NCS 직업교육의 학업성취도와 취업만족도 관계를 분석하는 것으로 이를 위해 서울과 수도권에 있는 실업계 고등학생과 취업준비를 하는 대학생 250여명을 대상으로 약 2주간에 걸쳐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내용은 연구가설을 5개로 구분하여 "첫째 NCS 교육 이해, 둘째 교육서비스 품질, 셋째 직업교육 필요성, 넷째 학업성취도, 다섯째 직업만족도"로 구성하였다. 설문조사를 이용하여 중요도와 신뢰도, 타당성, 연관성 분석 등을 살펴보기 위해 SPSS WIN 18.0 등을 이용하였다. 연구결과 독립변수에서는 교육서비스 품질과 직업교육의 필요성이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채택되었으나 NCS 교육 이해는 채택되지 못하였다. 매개변수에서 학업성취도는 직업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따라서 교육기관에서 직업교육 서비스품질과 직업교육의 필요성에 대한 관심을 기울이고 향상시켜 나간다면 학업성취도는 높아질 것이고 학업성취도는 취업 후 직업만족도에 긍정적으로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된다.

직업교육 훈련기관 운영과정 개선에 대한 제안 (전문대 미용계열 중심으로) (The Suggest for improving the operation process of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institutions (a beauty major of the vocational college))

  • 김윤정;홍미숙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2호
    • /
    • pp.368-377
    • /
    • 2019
  • 본 연구는 전문대학이 직업교육 훈련 기관으로써 더욱 효과적으로 활성화될 수 있도록 현재 운영 과정에 대해 살펴보고 개선점을 제안하기 위하여 시도되었다. 연구 대상자는 서울과 경기 지역의 전문대에서 미용계열 직업교육 훈련과정을 수료하였거나 재학 중인 250명을 대상으로 자료 수집을 실시하여 부적절한 응답을 제외한 총 230부를 분석하였다. 자료 분석은 설문조사에서 회수된 설문지 응답 결과를 통계 패키지 프로그램인 SPSS Statistics (Ver. 24: IBM, USA)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자료의 특성을 살펴보기 위하여 빈도 분석을 실시하였고, 범주 형 자료 간의 연관성을 살펴보기 위하여 교차분석을 주로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고등학교 1학년 학기 초 일반고 전교생들에게 직업교육 훈련과정에 대한 정보를 일률적으로 제공하고, 이후 2학년 1학기부터 충분한 직업교육 훈련시간을 통해 본인의 적성에 부합한 진로를 결정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둘째, 미용계열 훈련과정에 네 개의 전공과목을 동시에 개설하는 것이다. 훈련생들이 네 개의 미용 과목에 따른 자격증을 훈련기관에서 훈련기간 중 취득할 수 있게 하며. 피부, 헤어, 메이크업, 네일아트의 모든 전공과목을 교육 받고 자격증을 취득하는 과정에 본인의 적성에 부합한 전공 진로를 신중히 결정할 수 있게 기회를 갖는 것이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전문대가 미용을 전공으로 하는 일반고 비진학 학생들에게 효율적인 직업교육 훈련기관으로 더욱 활성화될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