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Visitor Satisfaction

검색결과 204건 처리시간 0.026초

순천만 자연생태공원 관리를 위한 중요도.만족도 분석 (Important-Satisfaction Analysis as a Management Strategy of Suncheon Bay Ecological Park)

  • 이동근;김보미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37권6호
    • /
    • pp.39-47
    • /
    • 2010
  • 해안생태계 지역은 휴양이나 관광을 위한 기회 제공과 더불어 자연자원의 보전이라는 두 가지 가치가 상충하는 공간이다. 하지만 대부분 이러한 지역에서는 자연자원의 중요도를 높이 평가하여 관리전략을 세우다 보니 방문객의 만족도 면이 간과되고 있는 실정임에도 불구하고, 방문객들의 지속적인 증가로 1970년대 이후부터 이를 보완하기 위한 수단으로 중요도 만족도 분석이 실시되고 있다. 본 논문은 현재 기조성되어 있는 순천만 자연생태공원의 방문객을 대상으로 관리전략이 상충되는 주요 관리요소에 대한 중요도와 실제 방문객들이 느끼는 만족도 사이의 차이를 주중과 주말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자연생태공원이나 시 차원에서 많은 관심과 투자를 기울이고 있었지만 홍보효과 측면에서 그 효용성이 떨어졌다. 따라서 안내시설이나 홍보교육을 위한 시설과 인력구축이 이루어져야 한다. 또한 주말과 주중의 방문객의 동반형태가 달라지기 때문에 차별화된프로그램이 필요하며, 연령대에 따른 정보 교육 통제를 위한 가이드투어 프로그램을 운영하여 시공간별 이용객 통제가 이루어져야 한다. 그리고 조류출현에 대한 만족도 부분에서는 조류 출현에 대한 사람들의 기대심리를 충족시켜줄 수 있도록 관찰 교육 전시를 위한 사육종 공간이 조성되어야 할 것이다. 방문객의 긍정적인 만족도는 제한된 지역에서의 관리전략 수립시 매우 중요한 결과물로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중요도 만족도가 상충하는 해안생태계지역의 관리우선순위를 통한 관리 전략의 필요성과 연관된 지침을 세우는데 기초 자료로 제공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자연휴양림의 서비스 품질이 이용자 만족도 및 재방문 의도에 미치는 영향 분석 - 경북지역 5개 자연휴양림을 중심으로 - (Influence of the Natural Forest Service Quality on User's Satisfaction and Demand for Revisit - By Focusing on Five Natural Forest in Kyung-buk Province -)

  • 이종진;이현택;조현주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40권2호
    • /
    • pp.64-73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국내 자연휴양림 이용자들이 지각하는 서비스 품질과 이용자의 특정 방문 휴양림에 대한 이용자 만족도 및 추후 재방문 의도 간의 상관관계와 인과관계를 실증적으로 검증해 보는 것을 주요한 목적으로 하고 있다.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자연휴양림 서비스 품질 요인인 직원서비스 요인과 시설, 접근성, 그리고 비용 요인 모두 이용자 만족도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용자 만족도에 대한 상대적 영향력은 직원 서비스, 접근성, 시설, 비용의 순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자연휴양림 서비스 품질 요인이 자연휴양림의 재방문 의도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지 파악해 보기 위하여 회귀분석을 수행한 결과, 직원 서비스와 시설, 접근성 등의 요인이 자연휴양림의 재방문 의도에 유의미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러나 비용은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자연휴양림에 대한 이용자 만족도가 재방문 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단순회귀분석을 수행한 결과, 이용자 만족도는 재방문 의도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자연휴양림에 대한 이용자 만족도를 높이게 되면 추후 재방문 의도를 높일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자연휴양림 이용자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서비스 품질 요인에 속하는 4가지 요인즉, 직원 서비스, 시설, 접근성, 비용의 개선이 필요하며, 특히 직원 서비스 요인이 이용자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력이 가장 크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이용자들의 추후 재방문 의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비용요인보다는 직원 서비스, 시설, 접근성 요인의 개선이 중점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지역축제 방문객의 만족도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곡성심청축제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Visitor's Satisfaction Decisive Factors of the Local Festival : In Case of Simchung Festival in Goksung County)

  • 이정록;안종현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10권3호
    • /
    • pp.642-653
    • /
    • 2004
  • 본 연구는 곡성군에서 개최되는 곡성심청축제를 사례로 축제만족도 결정요인을 고찰하였다 곡성심청축제는 2000년부터 개최되어 2004년 현재 제5회 개최를 앞두고 있다. 곡성심청축제가 타축제 프로그램과 구별되는 독특한 면은 심청의 "효"의 의미를 되새기고 섬진강의 자연생태를 통한 "환경"의 중요성을 인식하는 다양한 볼거리와 체험행사로 구성되었다는 점이다. 본 연구에서는 지역축제 방문객의 만족도 결정요인을 고찰하기 위하여 17개의 지역축제 방문객의 만족요인 항목을 구성하여 설문조사를 통한 실증분석을 하였다. 연구자료는 세가지 통계기법(신뢰도분석, 요인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사용하여 분석되었으며, 요인분석 후 4개의 요인(기념품과 음식, 행사내용, 홍보안내, 편의시설)이 도출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로 지역축제 방문객의 만족과 재방문. 그리고 권유의사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유의한 축제만족요인은 '행사내용'요인으로 밝혀졌다. 지역축제 방문객 만족을 위해서는 무엇보다 축제 행사내용의 다양함과 재미, 체험프로그램을 통한 해당 지역의 문화 인지가 중요함을 알 수 있다. 지역축제의 관리자나 기획자는 지역축제의 만족요인에 지속적인 관심을 가져야 할 것이다.

  • PDF

자연휴양림 모니터링 시스템 구축에 관한 연구 (Developing Monitoring System for the Recreational Forests in Korea)

  • 이주희;이덕순;한상열;심규원;우경덕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4권10호
    • /
    • pp.929-935
    • /
    • 2005
  • The Monitoring System developed in this study was designed to help manage the recreational forests by gathering data on visitors' profiles and their opinions about recreational use and related facilities, This data could identify for changing situations in forest recreation demand as well as providing information on planning the management and use of the forest areas in advance. The standardized questionnaire had contained visitor profiles, activities, distribution of use by area, distribution us by time, duration of the visit, expenditure of visitors and information on visitor satisfaction and motivation. Also, the questionnaire had included the evaluations visitors' perception of facilities in order to identify the importance and performance of the various facilities, such as recreational and educational facilities, accomodations, directional signs as well as infrastructure. The monitoring system was developed in the object-oriented programming (OOP) environment. Microsoft Visual Basic 6,0 for the program language, Microsoft Access, and Excel program were used to develop the system. The monitoring system was composed of data input, database, and data analysis system, Once data were put into data input system, it automatically transferred to database, and it eventually produced the results of statistical analysis with one step procedure. This study was integrated with facilities and visitor monitoring system to identify the visitor impact at the recreational forests. In addition, this monitoring system would provide necessary and useful background information for management on recreational use of natural resources in a practical manner.

휴양환경 이용수준에 대한 방문객의 적응 및 대응행동 - 북한산 국립공원 소귀천 탐방로를 대상으로 - (Visitor Adjustment and Coping Behavior for Use Level in a Recreational Setting - A Case Study of Bukhansan National park -)

  • 허학영;안동만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30권6호
    • /
    • pp.38-46
    • /
    • 2003
  • Perceived crowding is known as a necessary method to evaluate social carrying capacity in recreational settings. But according to the results of previous research, perceived crowding, use density, and satisfaction have shown weak and indirect correlations. The theory of visitors’ adjustment is one of several possible explanations for this poor relation. But the validity of the visitors’ adjustment theory has not been not inspected clearly. Therefore,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understand visitors’ adjustment theory and to examine visitors’ adjustment to the overuse of recreational settings. Study hypotheses were formulated through literature review and related to visitors’ adjustment in recreation density. Pour hypotheses were established and inspected with the case study, i.e., Rationalization : Visitors’ satisfaction isn't related to use density in recreation setting, 2) Product-shift : Preference norm is related to current use density, 3) Self-selection : Visitors’ satisfaction for the use level is generally high, and 4) Displacement : Norm interference is related to willingness to revisit. The case study was conducted during May and June,2001.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urvey, visitors adjust to overuse of recreation setting through rationalization and product shift (hypotheses l/2 acceptance). Current use density isn't related to visitors’ satisfaction and willingness to revisit (see table 3). And visitors’ preference norm is modified by situation (see table 4). Visitors’ satisfaction and willingness to revisit don't show a high correlation but moderately high (see table 5, hypothesis 3 acceptance). Differences between visitors’ preference norm and current use density is norm interference. Norm interference isn't related to willingness to revisit (see table 7). Therefore, the norm interference concept is not a useful method to explain visitors’ adjustment to the degree of overuse in a recreational setting (hypothesis 4 rejection). As for future directions, the following are proposed: 1) correctly understanding and reestablishing the visitor norm and norm interference concept, 2) introducing a composite research method to monitor visitors’ behavior and survey visitors’ attitudes and coping responses. These efforts would be helpful in the Planning and management of recreational settings to improve the quality of visitors’ experiences.

농가맛집 운영유형별 방문객의 기대 및 인식, 만족도 조사 (A Study on Visitor’s Expectations, Perception and Satisfaction When Dining in a Farm Styled Restaurant)

  • 이진영;최정숙;박영희;김은미
    •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689-704
    • /
    • 2011
  • Farm themed restaurants is an initiation by the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RDA) in order to perpetuate and develop Korean traditional food-culture. This food business model contributes to the increase of local food consumption and non-farm income for rural communities. Thu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visitor's expectations, perception and satisfaction on the farm restaurant management type in order to assist activation of farm restaurants. Farm restaurants were categorized into two types; restaurant style and experience style. The majority of subjects(67.9%) were experiencing their first time to dine at farm restaurants. Regardless of farm restaurant style, the subjects perceived that farm restaurants use high quality food ingredients. The degree of subjects expectations prior to visiting a farm restaurant was estimated by 7 Likert scales. The results show that most subjects had high expectations for using good-quality food ingredients such as ‘fresh food (restaurant style 6.25, dietary education style 6.02)’ and ‘environment-friendly food (restaurant style 6.07, dietary education style 5.91)’. Overall satisfaction of the farm restaurants was also high. The satisfaction of food scored 4.1 and the satisfaction of experience program scored 3.8.

북한산 둘레길 이용객 만족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Visitor Satisfaction for Bukhansan Dulegil)

  • 조우현;윤희재;임승빈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39권4호
    • /
    • pp.60-73
    • /
    • 2011
  • 2007년 9월 제주 올레길이 개장되고, 선풍적인 인기몰이를 하면서 전국적으로 '걷는 길'에 대한 관심이 증대하였고, 이에 따라 중앙부처 및 지방자치단체들도 다양한 '걷고 싶은 길'을 지정하거나 조성하고 있다. '걷고 싶은 길'은 차량에 의한 이동과 장소 중심의 단절된 점적 관광에서 벗어나 직접 걸으면서 지역의 경관 및 문화를 보고, 느끼고, 체험하는 연속적인 긴 선적 여행길이다. '걷고 싶은 길'은 이미 형성되어 있는 길을 발굴하여 최대한 활용하고, 지역에 존재하는 다양한 생태, 역사, 문화자원들을 효율적으로 연계하는 길로서, 노선 선정이 제일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걷고 싶은 길'의 노선 선정 시 다양한 계획요소를 고려하고 노선 및 구간별로 다양한 테마를 부여하여 지정되거나 조성되었지만, 편의시설 부족 등에 따른 이용객의 불편함과 같은 여러 문제점들이 나타나고 있다. 따라서 길 지정 및 조성 이후 이용객들의 평가는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므로, 본 연구에서는 조성이 완료되어 많은 이용객들이 이용하고 있는 북한산 둘레길을 중심으로 이용객들의 만족도를 조사하고, 노선 선정 시 고려한 계획요소들이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함으로써 더 나은 길 조성을 위한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문헌조사를 통하여 노선 선정 시 중요한 계획요소를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설문지를 작성하여 이용객을 대상으로 각 구간별 만족도, 재방문 의사, 추천의사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현장조사를 통하여 파악한 구간별 특정을 기준으로 5개의 유형으로 길을 분류하고, 구간별 만족도와 유형별 만족도를 분석하였다. 또한, 계획요소가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만족도가 재방문 의사 및 추천의사에 미치는 영향, 이용객들이 인지하는 구간별 테마를 분석하였다. 구간별 만족도는 자연적 요소가 강한 구간이 높게 나타났으며, 만족도에 영향력을 미치는 계획요소로는 '보행쾌적성'이 가장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만족도는 재방문 의사 및 타인에게 추천하려는 의사에 대하여 높은 영향력을 보이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An Analysis of Visitor's Satisfaction and Preference Factors in Private Arboretum - The Case of Gyeonggi-do -

  • Chang, Yong-Soon;Lee, Shin-Yeong;Hong, Kwang-Pyo;You, Ju-Han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38권5_2호
    • /
    • pp.144-150
    • /
    • 2010
  • This paper researches, by looking into visitors of the Garden of Morning Calm, Pyunggang Botanical Garden, Jangheung Natural Arboretum and the Garden of Wild Flower, how they use these arboretums and what are the facilities they like most to provide directions in formation and planning of domestic private arboretums. The followings are executive summery of this research. It was researched that most of the them visited arboretums for emotional life (42.93%). They answered that the major reason that they go to arboretums is rest and service functions (42.97%). Such number suggest arboretums that they should provide, along with their original purpose of biological preservation, practical purposes, including rest and service functions. When asked facilities they preferred most, most visitors answered that they are most satisfied with facilities like restaurants and cafeterias. Information desk, management office, forest museum, wild life zoo, green house, exhibition room, rest area, pond and fountains influenced the visitor satisfaction level as well. Regarding to facility references, visitors most preferred information desk, management office, restaurant and cafeteria.

월악산국립공원의 이용 및 관리속성에 대한 탐방객 태도 (Visitors' Attitudes to National Park Use and Managerial Attributes in Woraksan National Park)

  • 유기준;김동필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144-149
    • /
    • 2005
  • 본 연구는 월악산국립공원 탐방객들의 국립공원 이용 및 관리 관련 속성에 대한 탐방객 태도를 파악함으로써 효율적인 공원관리 방안 수립에 필요한 탐방객 관련 정보의 제공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응답자 직접 기입 방식의 설문조사가 월악산국립공원의 주 이용거점에서 공원방문을 마치고 귀가하는 221명의 탐방객들을 대상으로 실시되었다. 연구결과, 국립공원 관리 방향에 대 해 탐방객들은 보전지향적인 태도를 나타냈다. 국립공원의 다양한 환경 요소로부터 추출한 이용 및 관리 관련 18개 속성들의 심각성에 대한 태도를 측정 한 결과 '보통'에서 '심각하지 않은 수준'의 범위로 비교적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월악산국립공원에서의 종합적인 휴양만족 수준도 대체적으로 만족하는 수준으로 평가되었다.

Examining Visitation to the Gyeryongsan National Park

  • Sim, Kyu-Won;Choe, Yun-Seon;Kim, Tae-Geun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34권3호
    • /
    • pp.242-245
    • /
    • 2018
  • Understanding visit motivation to parks is important when attempting to improve visitor satisfaction and their intentions to revisit and recommend.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not only examine the impact of visitors' motivations on their satisfaction, but also study the effect of their satisfaction on their behavioral intentions. This objective will be fulfilled using regression models populated with data from the Gyeryongsan National Park (GNP). Onsite surveys were collected during April and May 2017 at the Donghaksa, Gapsa, Cheonjeong, Sinwonsa, Sangsin, and Sutonggol information centers of the GNP (N=224).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the visitors' motivations influenced their visit satisfaction, which, in turn, impacted their behavioral intentions. The study's findings will help park managers and policy-makers establish effective park management strategies and enhance visitors' experi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