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농가맛집 운영유형별 방문객의 기대 및 인식, 만족도 조사

A Study on Visitor’s Expectations, Perception and Satisfaction When Dining in a Farm Styled Restaurant

  • 이진영 (국립농업과학원 농식품자원부) ;
  • 최정숙 (국립농업과학원 농식품자원부) ;
  • 박영희 (국립농업과학원 농식품자원부) ;
  • 김은미 (국립농업과학원 농식품자원부)
  • 투고 : 2011.11.08
  • 심사 : 2011.12.09
  • 발행 : 2011.12.30

초록

Farm themed restaurants is an initiation by the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RDA) in order to perpetuate and develop Korean traditional food-culture. This food business model contributes to the increase of local food consumption and non-farm income for rural communities. Thu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visitor's expectations, perception and satisfaction on the farm restaurant management type in order to assist activation of farm restaurants. Farm restaurants were categorized into two types; restaurant style and experience style. The majority of subjects(67.9%) were experiencing their first time to dine at farm restaurants. Regardless of farm restaurant style, the subjects perceived that farm restaurants use high quality food ingredients. The degree of subjects expectations prior to visiting a farm restaurant was estimated by 7 Likert scales. The results show that most subjects had high expectations for using good-quality food ingredients such as ‘fresh food (restaurant style 6.25, dietary education style 6.02)’ and ‘environment-friendly food (restaurant style 6.07, dietary education style 5.91)’. Overall satisfaction of the farm restaurants was also high. The satisfaction of food scored 4.1 and the satisfaction of experience program scored 3.8.

키워드

참고문헌

  1. 김병숙.김연주.이영은(2009) 남원 향토음식에 대한 관광객의 인지도 및 만족도.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24(4), 385-390.
  2. 김복일.오영준(1998) 광주.전남지역 향토음식의 관광상품화 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관광정보학회 2, 195-226.
  3. 농촌진흥청(2008) 2008 농촌지도사업 지침.
  4. 농촌진흥청(2011) 농촌자원사업 업무협의회 자료.
  5. 대전광역시(2010) 2010-2014 식생활 교육 기본계획(2010. 10).
  6. 도시농산어촌교류활성화기구(2001) 농가레스토랑 경영과 그린투어리즘. 이병오.장면주(2006) 옮김 강원: 강원대출판부.
  7. 민영희.박금순(2010) 경북 향토음식에 대한 인식도 조사.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26(1), 72-78.
  8. 민계홍(2008) 향토음식점 방문객의 향토음식 인식과 향토메뉴 개발. 한국조리학회지 14(4), 67-78.
  9. 민계홍(2009) 향토음식점의 운영 형태와 음식관광 활성화 방안 전주 지역을 중심으로. 한국조리학회지 15(1), 49-58.
  10. 신애숙(2000) 부산의 전통, 향토음식의 현황 고찰. 한국조리학회 6(2), 67-78.
  11. 안학영.전효진.양태석(2009) 제주향토음식에 대한 인지와 고객 행동에 관한 연구; 제주 방문 관광객의 고객 만족, 재방문, 구전을 중심으로. 한국조리학회지 15(2), 93-107.
  12. 이동필.최경은(2007) 향토음식산업의 육성 방안. 한국농촌경제연구원.
  13. 이선호.김선희.정난희.정진우.전경철.김희기 (2010). 향토 음식 상품화 연구 보성 지역 중심으로. 한국조리학회지 16(4), 43-52.
  14. 이연정(2006a) 경주지역 향토음식의 성인의 연령별 이용실태 분석.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21(6), 577-588.
  15. 이연정(2006b) 향토음식에 대한 인식이 향토음식전문점 방문빈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경상도지역 주민을 중심으로. 한국조리과학회지 22(6), 840-848.
  16. 이진영(2010) 농가맛집의 운영현황과 유형별 특징.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 지구촌과 농식품.
  17. 장면주.박덕병(2005) 농촌관광 발전을 위한 일본의 지역경영형 농가레스토랑에 대한 고찰. 농촌관광연구 12(2), 189-208.
  18. 장정옥(1997) 한국의 향토 음식 문화에 대한 연구, 아시아문화연구 2권, 552.
  19. 정경숙(1995) 관광자원으로서의 향토음식. 숭의논총 19, 160-161.
  20. 정유경.김맹진.송현주.이명은(2009) 농가맛집의 현황과 지역사회발전을 위한 활성화방안.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24(6), 692-701.
  21. 정유경(2010) 농가맛집 외식상품 및 서비스 개발. 농촌진흥청 농업과학기술개발 어젠다 완결보고서.
  22. 정유경.김맹진.송현주.이명은.진혜란(2011) 농가맛집의 유형별 신메뉴 개발 및 메뉴개선 사례연구.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22(1), 5-20.
  23. 조선닷컴(2011) 이순신 장군이 즐기던 맛을 찾다, 이순신 밥상 통선재(2011. 9. 검색). http://travel.chosun.com/site/data/html_dir/2011/01/04/201101040 1016.html?Dep0=chosunnews&Dep1=related&Dep2=related_all
  24. 최수근.하미옥.이연정.변광인(2006) 울산향토음식의 대중화 및 관광상품화를 위한 중요도와 만족도 연구. 한국조리과학회지 22(3), 346-354.
  25. 최정숙.박한식(2009) 향토음식의 스토리텔링 적용 사례연구.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24(2), 137-145.
  26. 코코키치(cocokichi). (2011. 9. 검색) www.cocokichi.jp

피인용 문헌

  1. 울산지역 주부의 녹색식생활지침에 대한 인식 및 실천 vol.25, pp.4, 2011, https://doi.org/10.7856/kjcls.2014.25.4.5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