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Visitor Satisfaction

검색결과 204건 처리시간 0.073초

관광체험요소가 관광지의 기억, 만족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nfluence of Tourism Experience Factors on the Memory, Satisfaction and Loyalty of Tourist Attractions)

  • 박완규;김용범;최유진
    • 대한안전경영과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147-157
    • /
    • 2017
  • The tourism experience factor is an essential source of competitive advantage in the tourism industry and is an important factor for predicting future tourism behavior. Tourism experience elements can be composed of areas of education, entertainment, aesthetics and deviance (Pine and Gilmore, 1998).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 of tourist experience factors on tourist loyalty and it is meaningful to see if the experiential economic theory of Pine and Gilmore (1999) is applicable.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e conducted a questionnaire survey on tourists using experiential tourism factors.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recreational experiential factor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memory. Memory has a significant effect on both visitor satisfaction and tourist loyalty. This study has academic significance because it focuses on the tourism experience factor which is the core of experiential economic theory. Practical significance is that a lot of experiential contents should be found in order to better match the tourist experience factor to the requirements of visitors to the tourist site. As a result, it is expected to generate revenue and improve its competitiveness.

지역축제 평가속성이 방문객 만족도 및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서울특별시 지구촌 나눔 한마당 축제를 중심으로- (The Affects of Assessing Local Festivals on Visitor Satisfaction and Behavioral Intentionteristics of Local Festivals on Visitors' Intention to Revisit -Study Case on the Seoul Friendship Fair hosted by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 이원형;전인오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8호
    • /
    • pp.310-321
    • /
    • 2016
  • 본 연구는 서울시에서 1996년부터 매년 5월 개최되는 지구촌 나눔 한마당축제 사례를 들어, 지역축제 평가속성인 축제내용, 편리성, 축제이미지가 축제에 참여한 방문객을 대상으로 만족도와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분석 하고자 하였다. 이 축제는 서울에 소재하고 있는 64개 대사관과 서울시 자매우호도시 14개가 직접 참여하고 방문객 35만 명 중 10만 명이 외국인이 참여하는 축제로 구성되어 있다. 본 연구는 참가 방문객 277명에게 설문지를 받아 축제내용과 인구 통계적 빈도분석을 하였고, 요인은 주성분을 이용한 회전방법인 베리멕스 직각회전으로 얻어진 결과, 다섯 개로 묶여진 요인을 기술통계와 신뢰도 분석, 상관분석을 하였다. 가설검증은 회귀분석으로 지역축제 평가속성이 방문객 만족도와 행동의도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결과를 이론적 시사점과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하여 지구촌 나눔 한마당축제만이 가진 차별화성을 발전시켜 수준 높은 축제가 되도록 제언하였다.

한라산국립공원의 이용객 행태분석 (The Analysis of visitor′s Behavior in Hallasan National Park)

  • 이경재;최송현;김선희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72-85
    • /
    • 1992
  • 한라산국립공원의 이용객 행태분석은 1990년 9월 한달간 실시되었다. 방문특성에서 자연지향적인 목적이 68.9%를 보였으며, 동반특성에서는 소속단체가 36.3%, 친구가 29.8%이었고, 동반자수는 2-3명이 23.0%, 12명 이상이 29.7%였다. 활동특성에서 식사준비는 도시락이 62.7%로 매우 높았으며, 쓰레기처리 방법도 가지고 하산후 처리가 69.6%이었다. 경관만족도는 최대치를 5로하여 3.98의 높은 만족도률 보였으나 편익시설은 불만족도가 높았다. 따라서 전체만족도는 3.43으로 나타났다. 이용자의 의견에서 선착순입장, 여약제도도입, 대규모 단체이용제한에는 대체로 반대하였으나 자연휴식년제 도입에는 찬성율이 높았다. 특히, 탐방객안내소는 이용객의 이용이 거의 없었으나 이용자중 도움이 되었다고 답변한 사람들이 많았다. 설문에 의해 심리적 만족도조사를 하여 각 항목들의 요인분석을 직각회전방법에 의해 실시한 결과, 전체적으로 4개의 요인이 추출되었으며, factor 1은 편익시설적 요인, factor 2는 사회적 요인, factor 3는 이용행태요인, factor 4는 자연적 요인으로 적재되었다. 전체 및 지역별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전체지역에서 전체만족도(Y)에 영향을 미치는 항목은 청결도, 경관성, 안전도, 쓰레기통 수, 혼잡도 순이었다.

  • PDF

중국과 러시아 방한 관광객의 관광만족도 선행요인과 한국 이미지 변화 간의 구조적 영향관계 (The Study on the Structural relations among the visitor satisfaction, it's antecedents and the modification of images of Korea perceived by Chinese and Russian Tourists after their visits to Korea)

  • 한수영;박성종;이홍재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2권1호
    • /
    • pp.115-125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한국을 방문한 중국과 러시아 국적 관광객을 대상으로 한국관광에 대한 전반적 관광만족도와 이의 선행요인, 그리고 여행 후 한국에 대한 이미지 변화간 영향관계를 분석하고 그 함의를 제시하였다. T-test 결과, 모든 영역에서 러시아 국적 관광객들의 만족도가 중국 관광객들의 만족도보다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구조방정식분석 결과, 중국 관광객의 경우 관광지 매력도, 치안, 쇼핑, 음식, 숙박이 전반적 관광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특히 한국의 치안과 쇼핑 등이 상대적으로 중요한 변수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에 비해 러시아 관광객의 경우 관광지 매력도, 치안, 음식 등만이 전반적 관광만족도에 유의미한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중국 관광객들과는 다소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한편 한국관광에 대한 전반적인 관광만족도와 여행후 한국에 대한 이미지 변화간의 관계에 대해서는 중국과 러시아 관광객 모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IPA-Kano 모델을 적용한 천연기념물 서천 마량리 동백나무 숲 방문 만족도 분석 (Applying the IPA-Kano Model to Analysis Visiting Satisfaction: A Case Study of Natural Monument Forest of Common Camellias in Maryang-ri, Seocheon)

  • 손지원;이나라;신진호;김한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32권5호
    • /
    • pp.532-540
    • /
    • 2018
  • 중요도-만족도 분석방법은 만족도 향상을 위해 관리 우선순위를 선정할 수 있는 간단하고 효과적인 방법이다. 본 연구는 이중에서 IPA-Kano 모델을 적용하여 천연기념물의 방문 만족 속성과 관리 방안을 연계하고 방문 만족도 향상을 위한 관리 개선 우선순위 선정을 목적으로 한다. 방문 만족 속성 14개를 기본요소, 실행요소, 매력요소로 구분하고 요소별 성취도(만족도)에 따른 개선 우선순위를 도출하였다. 서천 마량리 동백나무 숲 관리의 기본요소는 '자연환경', '안내소 안내직원'이며, 중요 실행요소에는 '아름다운 경관', '탐방시설', '숲의 관리상태', '접근성', '역사문화자원'이 해당된다. 매력요소는 '천연기념물의 가치', '주변 관광지', '적정 입장료'로 나타났다. 성취도에 따른 개선 우선순위는 '안내소 안내직원' > '접근성' > '자연환경' > '탐방시설', '역사문화자원', '숲 관리상태', '아름다운 경관' > '적정입장료', '주변 관광지' > '천연기념물의 가치' 순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천연기념물 관리 시 한정된 자원과 예산, 인력을 효율적으로 배치하기 위한 우선순위를 제안하였다.

박람회 참관객의 만족도 결정요인과 재방문의도의 종단적 비교연구: 2010, 2012, 2016 농기계박람회를 중심으로 (A Longitudinal Comparative Study on the Visitor's Satisfaction Factors and Revisiting Intention of Expos: Focused on 2010, 2012, and 2016 Agricultural Machinery Expos)

  • 권세인;양종곤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6호
    • /
    • pp.277-289
    • /
    • 2017
  • 본 연구는 2010, 2012, 2016년 대한민국 국제농기계자재박람회 참관객의 만족도 결정요인을 규명하고, 만족도와 재방문의도의 인과관계를 종단적으로 비교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만족도를 평가하기 위한 17개 변수는 콘텐츠, 홍보 안내, 편의시설환경과 같은 3가지 요인으로 분류되었으며, 이에 따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2010년부터 2016년까지 참관객, 참가업체 수, 실적과 같은 측면에서 양적 질적 성장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2016년에는 20대 미만, 외국인, 신규 참관객의 수가 과년도 대비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콘텐츠와 홍보 안내요인, 만족도는 과년도 대비 2016년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편의시설환경은 연도별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재방문의도는 2012년이 2016년보다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2016년은 콘텐츠, 홍보 안내, 편의시설환경이 모두 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지만, 2010년과 2012년의 홍보 안내요인과 편의시설환경은 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3개년도 모두 만족도가 재방문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미술관 관람객의 서비스품질 인식과 만족도 분석 : 광주시립미술관을 중심으로 (Service Quality Recognition and Satisfaction of Art Museum Visitors: The Case of Gwangju Museum of Art)

  • 변길현;이혜진;강신겸
    • 문화경제연구
    • /
    • 제17권2호
    • /
    • pp.137-159
    • /
    • 2014
  • 기존의 박물관 중심의 연구에서 활용되어온 서비스품질 측정지표들이 미술관의 서비스품질 측정 및 서비스 개선방안 연구에 여과 없이 사용됨에 따라, 미술관 고유의 서비스 특성과 이에 따른 적절한 개선안을 도출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본 연구는 미술관의 특성을 고려한 서비스 척도를 개발하고, 이들이 방문객 만족도 및 재방문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미술관의 서비스품질 개선에 도움이 되고자 하였다. 광주시립미술관을 방문한 관람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하였으며 요인분석 및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미술관의 서비스품질 요인은 전시방법, 직원서비스, 전시내용, 미술관시설, 부대프로그램 등 5개 요인으로 구분되었다. 이러한 서비스품질 요인 가운데 전시내용이 미술관 재방문이나 추천의도, 전반적 만족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나 전시내용에 대한 만족도가 높을수록 재방문 의도와 추천 의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부대프로그램은 재방문의도에 전시내용 다음으로 큰 비중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국, 미술관의 고유한 기능인 전시이외에도 교육, 체험, 여가의 요소들이 복합된 다양한 부대프로그램이 미술관의 서비스 질을 높이고 방문객의 만족도 및 재방문율을 높이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본 연구는 미술관을 대상으로 하는 실증적 연구를 통해 미술관의 서비스 연구에 필요한 서비스품질 척도들을 검증했으며, 이를 바탕으로 만족도와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였다는 점에서 학술적 의의를 가진다. 나아가 미술관 경영 및 마케팅 담당자들에게 전시내용 및 부대프로그램 개발이라는 서비스품질 향상을 위한 핵심적인 요소들을 제안하고 있다는 점에서 공헌이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도시근교형 자연휴양림 이용 행태와 만족도 분석 - 서울 근교를 중심으로 - (Visitor Behavior and Satisfaction in Suburban Recreational Forests - Focused on the suburbs of Seoul -)

  • 서주환;최현상;전형석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30권6호
    • /
    • pp.57-65
    • /
    • 2003
  • This study researches attributes , behaviors , satisfaction factors and degrees of curiosity of visitors to recreational forests in the suburbs of a large city. It aims to present suggestions for urban forest development and management policy by offering basic data which help to plan, design and manage recreational forests to increase the quality of these environment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n attribute, the visiting rate of males is higher than that of females, and the main users are in their thirties and forties. Sixty percent of visitors graduated from university and their rate of employment is evenly distributed. 95 percent of visitors are residents of the metropolitan area. In terms of behavior, major visitors are family units visiting during summer seasons and for overnight stays. 75% are re-visitors. 85% of visitors came to escape the city with families and friends, keep in good health and experience nature. Second, to extract the factors affecting visitor satisfaction in recreational forests, the natural environment, facilities, and management/use systems were identified as independent variables, while subordinate satisfactions were dependent variables. so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Thus, the variables affecting the natural environment are quality of water, stream use, biodiversity, fresh air and landscape factors. The variables affecting facilities are puking, convenience, play facilities, sanitary arrangement and camping. Most important among the variables affecting management/use systems are educational facilities and access condition. On the basis of generalizing the study in the existing individual site, we must verify the visiting characteristics in recreational forests in the suburbs of a large city. Since development of recreational forests is understood as a sequence considering a site and a given condition, and since management and improvement must unfold according to these characteristics, a strategy is needed to reveal visitors' opinions about the site. Depending on the facilities and service, satisfaction of recreational forests is generally influenced by social and economic qualities. Also, this study can look into the effect according to use pattern motive and season. As suburban recreational forests have many overnight-users and younger men, programs suitable for these groups are needed. On the basis of variables affecting satisfaction according to natural environment, facilities, and use system, policies which can manage the natural environment and introduce educational programs are needed.

산촌지역축제의 서비스품질이 방문객의 만족도와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분석 : 주왕산수달래축제를 대상으로 (Analysis on Influence of Service Quality on the Visitor Satisfaction and Loyalty toward a Mountainous Local Festival : A Case of Juwangsan Sudalrae Festival)

  • 한상열;설정욱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7권3호
    • /
    • pp.340-347
    • /
    • 2008
  • 본 연구는 산촌지역축제인 주왕산수달래축제를 대상으로 축제 품질서비스와 방문객만족도, 만족도와 방문객 충성도 및 축제효과 간의 개념적 구조관계를 분석하기 위하여 공변량구조모형분석을 실시하였다. 현지 설문조사는 2008년 주왕산수달래축제 방문객 445명에 대하여 조사가 이루어졌다. 분석결과, 축제 서비스품질을 구성하는 하위차원인 축제경험, 부대시설, 서비스 요인 모두 방문객만족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방문객만족은 충성도와 축제효과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축제 품질서비스 가운데 하위개념인 서비스 요인은 방문객만족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축제의 성공적 개최나 산촌지역주민에게 긍정적 효과를 주기 위해서는 축제진행요원의 환대(친절)나 행사안내와 같은 정보제공에 우선순위를 두어 집중적으로 관리함으로써 방문객만족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이론적 근거를 제시하고 있다.

지역축제 운영시스템의 품질이 방문객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청원생명축제를 중심으로 - (An Influence Analysis of the Visitor's Satisfaction by Operating System of Local Festival - Focused on the Cheongwon Organic Life Festival -)

  • 조성걸;황성기;정규상;엄성준;리신호
    • 농촌계획
    • /
    • 제24권1호
    • /
    • pp.75-87
    • /
    • 2018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how the operating system quality of Cheongwon Organic Festival, a local festival held in Cheongju, affects visitor satisfaction, and to also revitalize the Cheongwon Organic Life Festival through this study. 344 visitors of the Cheongwon Organic Life Festival were recruited to become participants of this study using a random sampling metho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evaluation of the operating system quality at the Cheongwon Organic Life Festival depending on the visitors' gender, age, education, household income, acquisition of information, purpose of visit, considerations of the purchase of festival goods, purchase of a pre-sales ticket, and residence.Different factors such as the visitors' gender, age, education, household income, acquisition of information, purpose of visit, considerations while purchasing festival goods, and residence impacted the visitors' satisfaction of their visit to the Cheongwon Organic Life Festival.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correlation between the operating system quality at Cheongwon Organic Life Festival and the visitors' satisfaction. The operating system quality as a whole and the event programming showed the highest correlation with the visitors' satisfac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