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UV-Protection

검색결과 290건 처리시간 0.021초

Formulation of Mamestra brassicae Nucleopolyhedrovirus-K1 as Viral Insecticide

  • Choi, Jae-Bang;Shin, Tae-Young;Bae, Sung-Min;Woo, Soo-Dong
    • International Journal of Industrial Entomology and Biomaterials
    • /
    • 제21권1호
    • /
    • pp.139-143
    • /
    • 2010
  • The objective of our study was the formulation of a local strain of Mamestra brassicae nucleopolyhedrovirus-K1 (MabrNPV-K1) for the development of viral insecticide to control M. brassicae. To formulate MabrNPV-K1, feeding toxicities of various supplements and ultraviolet (UV)-protection were investigated. Optical brightener Tinopal UNPA-GX (Tinopal) as UV protectant and Bentonite had some toxicity themselves to increase the mortality. The protection of polyhedra from UV light radiation was observed only by Tinopal. The MabrNPV-K1 was formulated as a wettable powder form. The mortality of the formulation was higher and rapid than that of the un-formulated. This suggested the possibility of MabrNPV-K1 formulation as an effective biological control agent for M. brassicae.

오동나무 수피 추출액에 의한 섬유의 염색 (Dyeing of Fibers Using Extract of Catalpa ovata Bark)

  • 조용석;최순화
    • 한국염색가공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44-52
    • /
    • 2002
  • Recently there has been a growing interest in the use of natural dyes in textile applications. Natural dyes can exhibit better biodegradability and generally have a higher compatibility with the environment. In this study, the colorants of Catalpa ovata bark were extracted with water and analyzed by spectrophotometry for their main colorant species. Cotton, silk and wool fabrics have been dyed with aqueous extract of Catalpa ovata bark and their dyeabilities on the fibers were studied. Additionally the fastness to washing, drycleaning and light, and the effects on bacteriostatic rate and UV-B protection rate were also investigated. The major colorant of the extract of Catalpa ovata bark was shown to be 6-O-trans-caffeoyl-$\beta$-D-glucopyranoside. Cotton, silk and wool fabrics dyed with the extract of Catnip ovata bark were colored in yellowish red tint. The optimum dyeing condition of the colorants extracted from Catalp ovata bark was three repeated dyeing at $95^\circ{C}$ for 1 hr using post mordanting. For dyed silk and wool fabric, the fastness to washing were improved by mordanting, and the fastness to drycleaning were very outstanding. In case of wool fabric dyed with the extract of Catalpa ovata bark, the bacteriostatic rate was increased drastically by 98.0%, and UV-B protection rate was increased by 97.3%.

염색방법 차이에 따른 커피 슬러지와 양파 외피 추출물을 이용한 양모섬유의 염색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Dyeing of Wool Fabrics Treated with Coffee Sludge and Onion Shells Extract by Different Dyeing Method)

  • 심현주;박영미
    • 한국염색가공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62-68
    • /
    • 2017
  • Coffee sludge and onion shells are known typically as waste resources as well as simultaneously being the raw material for dye having a golden brown color. This research studies the dyeability, functionality, and colors of woolen fabric after being dyed by different dyeing method using coffee sludge and onion shells extract. The woolen fabric was refined and pre-mordanted with tannin. The dyeing process conducted was single-dye, using coffee sludge and onion shells extract, sequential multi-dye, consecutively dyeing with coffee sludge and onion shells, and mixed-dye, blending coffee sludge extract and onion shells extract to dye. The dyeing was measured on the surface color, color fastness, and UV-protection ability. As a result, the expression of various hues of tan using coffee sludge and onion shells extract were shown to be possible. Additionally, single-dye, sequential multi-dye, mixed-dye had generally superiority in color fastness to light, all rating 3 and color fastness to washing, rating 3 or 4, showing relatively stable color fastness to washing. The UV protection ability was shown to be better, especially appearing satisfactory in the UV-B protection, all measured to be over 90%.

양산형 일광차단모의 개발(제2보) -실외 인체착용시 복사열 및 자외선의 차단효과- (Development of the Sunshade hat with a large brim (Part II) - Human trial test at outdoors -)

  • 최정화;김경수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28권3_4호
    • /
    • pp.414-421
    • /
    • 2004
  • To reduce farmer's stress from solar radiation and ultraviolet radiation(UV), the sunshade hat with a large brim and special structure for ventilation was developed and tested with manikin heads outdoors at previous study(Kim and Choi, 2002). To evaluate the protection efficiency of the sunshade hat, human trial test was performed at outdoor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Skin temperatures(7 sites), heart rate, temperature inside the hats, temperature and relative humidity inside clothing on the back in wearing developed sunshade hat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ose in wearing the controlled hat. In subjective sensation, subjects answered to feel significantly hotter, more humid and more uncomfortable in wearing the controlled hat. But relative humidity inside the hats was significantly higher in wearing developed hat. In rectal temperature,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wo hats.

이동식 천막형 일광차단장비의 개발 (Development of Movable Sunshade Tent)

  • 김경수;최정화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2권1호
    • /
    • pp.99-113
    • /
    • 2004
  • To protect farmers from solar radiation and UV, the movable sunshade tent was designed and its protection efficiency was measured in the artificial chamber and outdoors. Sunshade tent and the existing farmer's hat were examined. The results were as followes; Heart rate, total body weight loss and temperature of clothing microclimate on the chest and the back were lower in using sunshade tent than those in wearing existing hat in two experiments. In subjective sensation, subjects answered to feel significantly hotter and more uncomfortable in wearing existing hat in two experiments. Rectal temperature was significantly lower using the sunshade hat in experiment at outdoors(p<0.001).

저압 UV램프 구동시스템 및 출력안정화 시스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Driving System and Constant Output System for a Low Pressure UV Lamp)

  • 이진우;노재엽
    • 조명전기설비학회논문지
    • /
    • 제19권8호
    • /
    • pp.19-23
    • /
    • 2005
  • 본 연구의 목표는 안정된 출력과 높은 효율을 갖는 저압 UV램프의 구동시스템을 설계하는 것이다. UV램프 시스템은 반도체공정, 살균 등 그 적용범위가 대단히 넓은 전력설비의 하나이며 고부가가치의 제품을 생산하기 위해서는 출력의 안정화 기술은 필수적이다. 본 연구에서 저압 UV램프의 구동시스템 설계 목표는 변환효율 90[%], 출력안정도 ${\pm}7.5[%]$, 램프출력은 300[W] 이상으로, 연구목표에 상응하는 결과를 얻을 수 있었으며 국내시장 선점에 유리할 것이고, 제품의 생산비를 낮추는 시도를 계속한다면, 수출도 가능할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부가적인 보호회로가 개발되면, 자외선램프용 전자식 안정기의 신뢰성을 크게 재고시킬 것이다.

E. coli DNA 회복에 미치는 플라스미드 pKM101과 pSL4의 mutator 기능 (Mutator effects of plasmid pKM101 and pSL4 to E. coli DNA repair)

  • 전홍기;이상률;백형석
    • 미생물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109-113
    • /
    • 1990
  • Mutator 기능을 가지는 플라스미드 pKM101과 이의 돌연변이체 pSL4를 DNA 수복능력이 다른 Esherichia coli B/r(phr, recA, uvrA, uvrB)균주들에 도입하여 돌연변이원인 UV와 MNNG에 대한 보호효과와 mutagenecity를 조사형ㅅ다. pKM101과 pLS4의 mutator 기능과 보호효과는 repair 기능에 따라 다르나 전반적으로 두 플라스미드의 UV와 MNNG에 대한 저향성과 돌연변이율을 증가시켰고 pLS4는 pKM101보다 그효과가 높았다. 이러한 pLS4와 pKM101의 기능적 차이는 이들 플라스미드의 mutator 유전자상에 일어난 변이에 의한 것이라고 생각되었다.

  • PDF

UV-B가 강낭콩(Phaseolus vulgaris L.)의 지방산 구성, 지질과산화 및 polyamine 함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UV-B on fatty Acid Composition, Lipid Peroxidation and Polyamine in Kidney Bean(Phaseolus vulgaris L.))

  • 김학윤
    • 생명과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522-526
    • /
    • 2006
  • UV-B에 의한 강낭콩 식물의 피해양상, 지질과산화, 지질조성 변화와 UV-B에 대한 식물의 방어기작 등을 조사하기 위하여 3주간 UV-B 조사 실험을 수행하였다. UV-B 처리에 의해 초장이 약 22% 정도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MDA 함량은 UV-B 처리에 의해 약 50% 정도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Glutathione 및 ascorbate acid 함량은 UV-B 조사에 의해 산화형이 증가하고 환원형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UV-B 조사에 의한 지방산 구성 변화를 조사한 결과 당지질 및 인지질 모두 UV-B조사에 의해 포화지방산이 증가하는 것에 반해, 불포화지방산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강낭콩 잎에는 주로 3종류의 polyamine이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3종류 모두 UV-B 조사에 의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실험 결과로 볼 때, UV-B 조사는 활성산소를 생성하여 생체막 지질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ascorbate acid, glutathione, polyamine 등의 항산화물질들이 이에 대한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목재의 기상열화 방지에 관한 최근의 연구 동향 (Current Researches on the Protection of Exterior Wood from Weathering)

  • Kim, Yeong-Suk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6권5호
    • /
    • pp.449-470
    • /
    • 2018
  • 본 총설에서는 외부에 사용되는 목재를 풍화인자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실행되고 있는 최근의 연구동향에 대해 조사 분석하였다. 주요 기상열화 인자로부터 목재의 표면 보호를 위한 연구 동향에 대하여 조사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목재보존제로 사용된 크롬, 구리 등의 무기화합물이 목재를 기상열화로부터 보호할 수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또한 ACQ처리 목재의 표면에 wax나 oil같은 소수성물질과 UV 흡수제, HALS(Hindered Amine Light Stabilizers) 등을 방부목재 표면에 precoating하면 기상열화 저항성을 강화할 수 있다고 보고되었다. 또한 방부목재 표면에 불투명 도막형성의 페인트/스테인 및 반투명스테인등이 기상열화방지에 대한 시너지 효과가 높힐수 있다는 보고들이 다수 있었다. 또한 방부목재의 표면보호를 위한 재도장 처리의 필요성이 시사되었다. 투명성의 도막에 UV방지를 위한 첨가물로서 미세입자의 ZnO 또는 $TiO_2$, Co, Cr, Fe, Mn, Ni과 Ti 등의 금속이온, Tris-resorcinol triazine derivatives, triazine 및 Benzotriazole과 같은 UV흡수제 등이 소개되었다. Methylation, acetylation 또는 alkylation 등과 같이 화학적으로 개질된 경우에는 이로 인한 중량증가가 높은 경우 기상열화 방지효과가 상승된다는 연구들이 소개되었다, 열처리목재의 기상열화 저항성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 상반되는 연구보고 들이 있었고, UV저항성을 지닌 도장의 필요성이 강조된 보고가 있어 보다 심도 있는 연구의 필요성이 시사되었다.

유기 자외선 흡수제의 조합과 용해도에 따른 자외선 차단 효율의 비교 및 안정성에 관한 연구 (Stability and Sun Protection Efficacy of Sunscreens Based on the Solubility and a Combination of Organic UV Absorbers)

  • 연제영;홍승덕;최세범;김타곤;이청희;이상길;표형배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41권3호
    • /
    • pp.189-199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유기 자외선 흡수제와 오일들 간의 용해도에 따른 자외선 차단제의 안정성과 유기 자외선 흡수제의 조합에 따른 이들의 자외선 차단 효율 변화를 조사하여 보다 안정하고 효율이 높은 자외선 차단제품 개발에 도움이 되고자 하였다. 그 결과 오일의 종류, 농도 그리고 보관 조건에 따라서 유기 자외선 흡수제의 용해도 및 안정성이 다양하게 관찰되었으며, 이러한 현상은 에멀젼상에서도 자외선 차단지수에 영향을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또한 유기 자외선 흡수제의 조합에 따라 다양한 자외선 흡광도가 측정되었으며, 조합 시 각각의 자체 흡광도보다 높은 시너지 효과를 나타내는 성분이 있었고, 특정 성분과의 조합 시에만 시너지 효과가 나타나는 경우도 있었다. 보관 조건에 따라서도 자외선 흡광도는 상이하게 측정되어, 자외선 차단 효율에 영향을 나타내는 다양한 변수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