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rail making test

검색결과 56건 처리시간 0.026초

천마의 용량에 따른 기억력 향상 효과에 대한 연구 (The Verify of Memory Improvement by Gastrodia Elata Blume Depends on the Amount)

  • 김하나;김지은;정종길;김정상;김경옥
    • 동의신경정신과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243-252
    • /
    • 2014
  • Objectives: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dose-dependent effects of Gastrodia elata Blume for memory improvement. Methods: This study was a 12-weeks, double blind, and comparative clinical study. Those who were eligible worked with a group of healthy seniors, all 60 years of age or older. 22 subjects were randomized either to Gastrodia elata Blume powder form that was steeped in hot water or placebo. We measured the faculty of memory by using MMSE-K, Digit Span, Letter Fluency Test, Word List Memory Test, and Trail Making Test, and again after 12 weeks. Results: 1) Neither Gastrodia elata Blume groups nor control have a difference in MMSE-K, Digit Span, Letter Fluency Test, and Trail Making Test. 2) Gastrodia elata Blume group showed significant advances in immediate recall 1 and 2 of Word List Memory Test, and 3 g group show better results than the 4 g group. 3) 4 g Gastrodia elata Blume group showed significant advances in the recognition of Word List Memory Test. Conclusions: The results suggest that positive effects on memory improvement due to Gastrodia elata Blume depend on the amount.

폐암세포주에서 NFκ 활성 억제를 통한 Proteasome 억제제 MG132의 TRAIL-유도성 Apoptosis 감작 효과 (The Proteasome Inhibitor MG132 Sensitizes Lung Cancer Cells to TRAIL-induced Apoptosis by Inhibiting NF-κ Activation)

  • 서필원;이계영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65권6호
    • /
    • pp.476-486
    • /
    • 2008
  • 연구배경: 정상세포는 보호되고 종양세포에 독성을 보인다고 알려진 TNF유전자족으로 새로이 확인된 TRAIL이 폐암세포에서 보이는 아포프토시스 효과를 확인하고, 아포프토시스로부터 세포를 보호하는 전사인자 $NF-{\kappa}B$가 TRAIL에 의하여 활성화 되는 정도를 평가하여 MG132의 $NF-{\kappa}B$활성억제가 TRAIL 유도성 아포프토시스를 감작시키는지를 확인하기 위하여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법: A549(wt p53) 및 NCI-H1299(null p53) 폐암세포주를 사용하였다. 세포독성 검사는 MTT assay를 이용하였고 아포프토시스는 Annexin V assay와 FACS 분석을 이용하였다. $NF-{\kappa}B$ 전사활성은 luciferase reporter gene assay를 이용하였고 $I{\kappa}B{\alpha}$ 분해는 western blot을 이용하였으며, TRAIL에 의해 활성화된 $NF-{\kappa}B$와 DNA 결합은 electromobility shift assay와 anti-p65 antibody를 이용한 supershift assay로 확인하였다. 결과: 1) TRAIL 100 ng/ml 농도에서 wild-type p53인 A549 폐암세포는 34.4%, p53 null인 NCI-H1299 폐암세포는 26.4%의 세포사를 관찰하였다. 2) Luciferase reporter gene assay로서 TRAIL에 의한 $NF-{\kappa}B$의 활성이 A549 $IgG{\kappa}B-luc$세포에서 2.45배 증가하고 NCI-H1299 $IgG{\kappa}B-luc$세포에서는 1.47배 증가함을 관찰하여 TRAIL에 의하여 $NF-{\kappa}B$가 활성화됨을 확인하였다. 3) MG132의 전처치로 TRAIL에 의한 $NF-{\kappa}B$의 활성이 A549 세포와 NCI-H1299 세포에서 각각 기저수준의 0.24, 0.21배로 강력히 억제되었다. 4) TRAIL단독으로 30% 전후의 세포독성이 MG132 전처치 후 TRAIL을 투여하면 두 세포주 모두에서 80% 이상의 세포독성이 관찰되어 MG132가 TRAIL유도성 아포프토시스에 감작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결론: 이상의 결과로 TRAIL에 상대적인 내성을 보이는 폐암세포주에서 MG132가 $NF-{\kappa}B$ 활성억제로서 TRAIL유도성 아포프토시스를 강화시키는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향후 폐암치료에 있어서 TRAIL유도성 아포프토시스가 이용될 수 있는 가능성을 확인한 기초자료가 된다고 생각된다.

Improvement of the Cognitive Perceptual Assessment for Driving (CPAD) based on Usability Test

  • Bae, Jae-Hyuk;Lee, Jung-Ah;Choi, Hyun;Lee, Jae-Jin
    • 대한인간공학회지
    • /
    • 제34권4호
    • /
    • pp.335-351
    • /
    • 2015
  • Objectiv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perform a usability test for CPAD (Cognitive Perceptual Assessment for Driving) and improve it based on the test results. Background: The cognitive perceptual assessment for driving is a computer-based assessment tool to assess the driving capacity of people with brain-damages. It may be a good tool for evaluating the brain-damaged drivers' safe driving capabilities and screening cognitive and perceptual deficits related to driving. We performed a usability test to improve the CPAD based on the result. Method: Both the software consisting of 8 sub-tests (depth perception, sustained attention, divided attention, stroop test, field dependency, digit span, trail making A, trail making B) and the hardware including the input and output devices ( joystick, mouse, keyboard, touch screen) were evaluated through user interviews. Also we identified the problems and issues in using them by observing the participants performing the CPAD tasks. Results: Based on the results, the task instructions were visually and auditorily improved and more practice examples were added to help the users understand the instructions better and increase the input accuracy, a response time window was added and the joystick and touch screen were simplified, which made it easier for the user to perform the CAPD tasks. Conclusion: User discomforts were minimized by improving the task environment, unless it had affected the evaluation criteria. Application: We plan to distribute the improved version of the CPAD to the regional rehabilitation hospitals, and the driving support centers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throughout the country, so it could be used as an evaluation tool for disabled drivers' cognitive and perceptual functions.

뇌졸중 환자의 시지각 능력이 운전수행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Visual Perception Skills on Driving Performance of Patients With Stroke)

  • 곽호성
    • 재활치료과학
    • /
    • 제9권1호
    • /
    • pp.45-55
    • /
    • 2020
  • 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에 거주하는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시지각 능력이 운전수행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운전수행능력 향상을 위한 시지각 훈련의 중요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 : 2014년 10월부터 11월까지 서울시 소재 병원에 입원중인 뇌졸중 환자 19명을 대상으로 MVPT(Motor-free Visual Perception Test), TMT A&B(Trail Making Test A & B), UFOV(Useful Field Of View test)를 사용하여 시지각능력 검사를 실시하였으며, 가상현실 운전시뮬레이터를 이용하여 운전수행능력을 검사하였다. 결과 : 뇌졸중 환자의 운전수행은 다양한 시지각 능력 평가도구와 관련성이 있었으며, UFOV 하위검사 2, TMT B, MVPT에서 가장 높은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또한, 시지각 능력 평가결과는 운전시뮬레이터 평가결과(합격/불합격)를 민감도 100.0%, 특이도 80.0%, 정확도 89.5%로 판별할 수 있었다. 결론 : 뇌졸중 환자의 운전수행에 있어 시지각 능력이 운전수행능력과 매우 높은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운전 재활 분야에서 시지각 능력과 관련된 운전재활 및 운전수행능력 평가를 시행하는데 유용하게 사용될 것으로 기대한다.

신체활동 작업치료가 치매노인의 실행기능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Occupational Therapy with Physical Exercise on Demented old Adult's Executive Function)

  • 이유나;박지혁;임경민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3권5호
    • /
    • pp.322-331
    • /
    • 2013
  • 본 연구는 신체활동 프로그램이 경 중등도 치매노인의 실행기능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 치매노인의 신체활동 프로그램 기초자료를 제시하기 위하여 작업치료의 일환으로 실시하였다. 2012년 4월부터 2012년 6월까지 서울시 ${\bigcirc}{\bigcirc}$주간보호시설에 내원한 지역사회 거주 치매환자 8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신체활동 프로그램은 전 후 평가를 제외한 10주 동안 주 1회 50분씩 실시하였다. 평가도구는 언어유창성검사(Verbal Fluency: VF)와 길 만들기 검사(Trail Making Test A/B; TMT A/B), 시계그리기 검사(Clock Drawing Test; CDT)가 사용되었다. 실험결과 신체활동 프로그램 실시 전에 비하여 실시 후 치매노인의 VF, TMT A 상 점수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p>0.1) CDT 점수는 실험 전 후 유의미한 변화가 있었다(p<0.1). 본 연구의 결과로 볼 때 신체활동 작업치료 프로그램이 경 중등도 치매노인의 실행기능 유지 및 향상에 긍정적인 효과의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동시적 이중과제 훈련이 노인의 실행기능에 미치는 효과: 체계적 고찰 및 메타분석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of the Effects of Simultaneous Dual-Task Training on Executive Function in Older Adults)

  • 전유진;박진혁
    • 재활치료과학
    • /
    • 제10권3호
    • /
    • pp.23-41
    • /
    • 2021
  • 목적 : 본 연구는 노인을 대상으로 한 동시적 이중과제 훈련을 적용하였을 때 실행기능의 효과를 알아본 연구를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방법 : PubMed, EMBASE, CoChrane, Web of Science, RISS를 이용하여 지난 10년간 출판된 논문을 검색하였고, 선정 및 배제 기준을 통해 최종 7편의 논문을 선정하였다. 선정 논문에 대한 PEDro 질적평가와 메타분석을 시행하였다. 결과 : 선정된 7편의 논문은 모두 무작위 대조군 설계로, PEDro Scale 7점 이상의 높은 편에 속하였다. 이중과제 훈련의 실행기능 효과를 보기 위한 평가도구로 4편의 문헌에서 선로잇기검사(Trail Making Test)를 사용하였고, 2편에서 색선로잇기검사(Color Trail Test)를 사용하였으며, 3편에서 스트룹검사(Stroop test)를 사용하였다. 메타분석을 실시한 결과 전체적인 실행기능의 향상은 0.38로 작은효과크기를 보였으며, 선로잇기검사와 색선로잇기검사는 0.37, 스트룹검사는 0.34로 작은효과크기를 보였다. 전체적인 실행기능 효과와 선로잇기검사, 색선로잇기검사의 효과크기만 통계학적으로 유의하였다(p<0.05). 결론 : 본 연구를 통해 이중과제 훈련이 노인의 실행기능 향상에 효과적임을 확인하였지만, 이중과제 훈련의 효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훈련의 난이도 설정이 중요하며, 실행기능을 평가하는 다양한 평가도구와 실제 이중과제 조건에서의 수행도를 평가하는 평가도 동시에 이루어져야 함을 알 수 있었다. 이는 향후, 노인들의 실행기능 향상 훈련을 하는데 적절한 중재방법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치매 발현을 늦추는데 도움이 될 것이라 사료된다.

The Effects of Virtual Upper Extremity Training Using the RAPAEL Smart Glove on Physical and Cognitive Function in Stroke Survivors -A Single Group Study-

  • Song, Chiang-Soon;Lim, Jae-Heon;Jeon, Byeong-Hyeon;Lee, Hye-Sun
    • PNF and Movement
    • /
    • 제17권2호
    • /
    • pp.199-206
    • /
    • 2019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s of a virtual upper extremity training program using the RAPAEL Smart Glove on upper extremity function in stroke survivors with chronic hemiparesis and to focus the training program development using the Smart Glove as a feasibility study. Methods: This study was conducted using a single group and pre-post test research design in the outpatient departments of local rehabilitation units. Ten chronic hemiparetic stroke survivors with a diagnosis of first stroke received therapeutic rehabilitation at the rehabilitation units. All the participants used a virtual reality program with the RAPAEL Smart Glove for 30 minutes per session 3 days a week over 8 weeks. They also received conventional occupational therapy with functional electrical stimulation for 40 minutes per session 3 days a week for 8 weeks as an additional therapy. To analyze the effects of this therapeutic intervention, four clinical measures, including the box-block test (BBT), the Wolf motor function test (WMFT), the trail-making score, the Jebsen Taylor hand function test (JTHFT), and grip strength, were used. Results: Upon completion of the intervention in week 8, all the participants demonstrated significant WMFT, JTT, BBT, grip strength, and trail-making score gains compared to the respective baselines at week 0.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s that virtual upper extremity training using the RAPAEL Smart Glove has a reasonable and beneficial effects on upper extremity function in chronic hemiparetic stroke survivors.

운전재활프로그램이 노인의 인지기능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Driving Rehabilitation Program on Cognitive Function in Elderly)

  • 이정숙;김보라;하재영;박지민;조예슬;하진리;홍우선;김성원
    • 대한통합의학회지
    • /
    • 제2권4호
    • /
    • pp.91-100
    • /
    • 2014
  •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experiment is to find out the effectiveness which exert influence on cognitive skills by using the Driver Rehabilitation program for senior citizens who are over 65 years old and live in Busan. Method : From July first, 2014 to August 28th, 2014, we researched the 60 elderly people who are over 65 and go to community relief center which is in Busan. - 30 are experimental group and the other is control group. In the experimental group, we used Nintendo wii's driving simulation program and RC Car driving program in the model road. For estimation, we used MVPT-3(Motor-Free Visual Perception Test-3), Trail Making Test - 1, Trail making Test - 2 and LOTCA(Loewenstein Occupational Therapy Cognitive Assessment). Result : Nintendo wii's driving simulation program and RC Car driving program in model road results efficient visual perception ability. This programs results effectively in visual perception ability and space perception ability. This programs results effectively in motor apraxia ability. This programs results effectively in control ability for visual perception. This programs results effectively in thinking operation. Conclusion : Nintendo Wii's driving simulation program and RC Car driving program in model road positively influence improving for visual perceptual ability and cognitive function of elderly people. Also it is considered as being more efficient for improving visual perceptual ability and cognitive function to implement basic rehabilitation training with driving rehabilitation program than basic training itself.

아동의 주의력 측정을 위한 기능성 게임의 개발과 검증 (Development of a serious game to assess attention for children)

  • 최문기
    • 한국컴퓨터게임학회논문지
    • /
    • 제31권4호
    • /
    • pp.1-8
    • /
    • 2018
  • 성인보다 주의 집중력이 낮은 아동의 인지력을 측정하는 것은 매우 어려운 일이다. 기능성 게임은 아동의 동기와 주의집중을 높이는 효과적인 방법으로 아동의 인지력 측정을 위한 좋은 대안이 될 수 있다. 본 연구는 주의력 측정을 위해 사용되는 TMT(Trail Making Test)를 기능성 게임으로 제작하여 아동의 주의력을 측정하고 그 결과를 검증하고자 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기능성 게임으로 제작된 TMT는 주의 속도와 선택적 주의를 측정하는 유형A와 주의 전환을 측정하는 유형B로 설계되었으며, 검사결과를 아동의 학업성취도와 연결하여 검사의 타당도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284명의 아동을 기능성 게임을 통해 주의력을 검사한 결과, 유형A의 반응속도(Reaction Time) 그리고 유형B의 정오율과 학업성취도간 상관이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본 기능성 게임이 주의력의 여러 목표한 측정 요소를 잘 반영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기존의 단순한 결과만을 산출하는 지필검사와는 다르게 본 기능성게임은 주의와 관련된 여러 가지 행동 데이터를 제공해주고, 재미와 집중을 높여 아동에게 보다 긍정적이고 생태학적인 측면이 강화된 인지측정 도구를 제공해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Effects of Transcranial Stimulation and Task-Oriented Training on Upper Extremity and Cognitive Function in Chronic Stroke Patients

  • Yeong-Ae Yang;Na-Yun Lee
    • PNF and Movement
    • /
    • 제21권2호
    • /
    • pp.193-202
    • /
    • 2023
  • Purpose: We investigated the effects of transcranial stimulation and task-oriented training on upper extremity and cognitive function in chronic stroke patients. Methods: A total of 30 patients were randomly divided into transcranial stimulation and task-oriented training groups (TT) and task-oriented training groups (TO). The TT group performed 30 min 5 times a week for 4 weeks in task-oriented training combined with transcranial direct current stimulation. The TO group performed 30 min 5 times a week for 4 weeks in task-oriented training. To measure upper extremity function, the Jebsen-Taylor Hand Function Test, Manual Function Test, and Cognitive Function Test were performed using the Stroop Test and the Trail Making Test. Result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P < 0.05) before and after training in both groups, and the TT group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 in both groups. Conclusion: In this study, we confirmed transcranial stimulation and task-oriented training in upper extremity function and cognitive function in patients with chronic strok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