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opographic change

검색결과 218건 처리시간 0.033초

시계열 항공사진과 20세기 초 지형도를 이용한 경안천유역의 하천형태 및 하천부지 변화추세 분석 (Analysis of River Channel Morphology and Riparian Land Use Changes using Multi-temporal Aerial Photographs and Topographic Maps of the Early 20th Century in Gyeongan-cheon Watershed)

  • 박근애;이미선;김현준;김성준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38권5호
    • /
    • pp.379-390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경안천 유역을 대상으로 과거의 경년 항공사진과 지형도를 이용하여 하천형태의 변화를 분석하고, 하천주위의 토지이용변화를 비교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경안천 유역의 지방 1, 2급 하천에 해당하는 1966년, 1981년, 2000년 항공사진에 내, 외부표정을 실시하여 정사영상을 생성하였으며 또한 1914 - 1915년 지형도를 이용하여 1966년, 1981년, 2000년의 하천과 비교하였다. 이 영상을 이용하여 경년 하천형태와 하천부지의 토지이용을 분석하였는바, 주로 하천제방구역에서 뚜렷한 하천변화를 보였으며 이는 1974년의 팔당댐 건설에 따른 팔당호 유입부의 변화와 1980년대 후반의 하천정비에 따른 직선화 작업이 그 원인으로 판단된다. 또한 하천부지를 6개의 주요 분류 항목 (수역, 산림, 농지, 주거지, 도로, 모래톱)으로 토지이용도를 작성하여 그 면적변화를 분석해본 결과 농지, 주거지, 도로, 모래톱이 가장 큰 면적변화를 나타내었다.

경년변화추출기법을 이용한 해안지형변화 예측 (The Prediction of Coastal Topographic Deformation Using Change Detection Technique)

  • 최철웅;곽재하;박상길;강인준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169-176
    • /
    • 1995
  • 경년변화추출기법은 임의 시간 $t_1,\;t_2$에 대한 픽셀대 픽셀, 밴드대 밴드의 변화를 나타내는 기법이다. 본 연구에서는 주기적인 수준측량결과를 경년변화기법을 중심으로 수치영상해석기법, 보간법, 수치지형모델을 이용하여 해안의 모래유동을 현상학적으로 해석하였다. 모래의 유동량 및 이동방향, 해류의 방향 및 영향, 정선을 기준으로한 상하부의 모래이동, 해안 모래의 침식 및 퇴적량 변화, 침식지역 및 퇴적지역을 추출하여 해안의 침식 및 퇴적 원인을 규명하므로서 효율적인 해안관리방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 PDF

낙동강 하구둑 방류량이 하구지역 지형 변화에 미치는 영향 분석 (An Analysis of the Effect of Barrier Discharge on the Topographic Change of Nak-dong River Estuary)

  • 공태욱;김성보
    • 한국산업융합학회 논문집
    • /
    • 제26권1호
    • /
    • pp.163-173
    • /
    • 2023
  • In this study, topographic change analysis was performed on the Nak-dong River estuary area. The factors affecting the changes in the bathymetry of the Nak-dong River estuary were analyzed using data from the discharge, suspended sediments, and rainfall of the Nak-dong River barrier as analysis data. As a result, erosion and sedimentation are judged to appear repeatedly due to complex effects such as discharge of the estuary barrier of the Nak-dong River and invasion of the open sea waves, and it is judged that there is no one-sided tendency. However, as a result of checking the data in the second half of 2020, it was possible to confirm a large amount of erosion, which is different from the past data. It is clear that this is a result beyond the trend of erosion in the first half and sedimentation in the second half. In the summer of 2020, the rainy season lasted for more than a month and torrential rains occurred, which seems to be due to about three times higher rainfall than other periods, and erosion is believed to have occurred as the discharge increased rapidly compared to the time deposited by river water outflow. In addition, compared to other times, the influence of many typhoons in the summer of 2020 is believed to have affected the topographical change at the mouth of the Nak-dong River.

공간정보산업의 상승적 융합 효과 창출을 위한 측량과 지적의 합리적 통합방안 (Rational Unification Scheme of Topographic Surveying and Cadastral Survey for the Synergistic Convergence Effect of GIS Industry)

  • 박홍기;주용진;민관식;김영단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69-78
    • /
    • 2013
  • 최근, 공간정보 산업의 급격한 성장에 따라 산업 간 융 복합 등 측량과 지적 정보의 활용범위가 지속적으로 증가되고 있는 실정 있다. 이에 따라 공간정보의 환경변화에 따른 능동적 대비와 국가 공간정보 활용의 극대화를 위해서는 측량과 지적의 새로운 융합 방안이 필요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국가 공간정보의 생성과 이용 관리라는 종합적 측면에서 측량과 지적의 융합 발전 방안을 모색하고 이를 제시하는 것이다. 우선, 국가공간정보기반(NSDI)을 고려한 측량과 지적 융합의 목적과 기본 정책의 방향성을 정립하기 위한 정책 환경을 검토하였다. 또한 측량과 지적 융합을 위한 행정 (조직, 인력, 서비스) 및 제도적 추진 현황을 분석하였다. 이를 토대로 SWOT분석을 통해 측량과 지적 융합을 위한 내부 역량 및 외부 정책 환경을 분석하고 이와 관련된 핵심 성공 요인(CSF)을 도출하였다. 마지막으로 측량과 지적 융합을 위한 발전 모형 및 방안을 제시하기 위해 융합의 기본방향과 발전모형을 제시하고 이원화된 이해관계자들이 상호보완적으로 발전할 수 있는 구체적인 실천 방안을 도출하였다. 결론적으로 측량과 지적의 융합은 국가공간정보기반의 성공적인 구축이라는 큰 틀에서 이뤄져야 하며, 기본공간정보의 완성과 유지에 기여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연속수치지형도를 활용한 격자기준 관심 지역 추출기법의 평가 (Evaluation of Grid-Based ROI Extraction Method Using a Seamless Digital Map)

  • 정종철
    • 지적과 국토정보
    • /
    • 제49권1호
    • /
    • pp.103-112
    • /
    • 2019
  • 위성영상 분류를 위한 관심 지역 추출은 국토 공간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중요한 기술 중 하나이다. 하지만 위성영상 분류에 관한 최근의 연구들은 관심 지역을 선택하는데 있어서 영상 내의 정보에 의존하는 경우가 많다. 본 연구에서는 고해상도 영상으로부터 구축된 공간정보인 연속수치지형도를 활용하여 효과적인 관심 지역 선택 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된 공간정보는 국토지리정보원에서 제공하는 2013년~2017년 연속수치지형도와 환경부에서 제공하는 2015년 세종시 토지피복도를 활용하였다. 공간정보를 통해 추출된 관심 지역의 정확도 검증을 위해 2015년 10월 28일과 2018년 7월 7일 촬영된 KOMPSAT-3A호 위성영상을 사용하였다. 2013년~2015년 동안 연속수치지형도에서 변화하지 않은 영역과 2015년 토지피복지도를 사용하여 2015년 기초샘플을 추출하였다. 또한, 2015년~2017년 동안 연속수치지형도에서 변화하지 않은 영역과 2015년 토지피복지도를 사용하여 2018년 기초샘플을 추출하였다. 연속수치지형도와 토지피복도를 융합할 때 발생하는 중복된 영역은 데이터의 혼동을 방지하기 위해 모두 제거하였다. 최종적으로 관심 지역 내에서 검사점을 생성하고, 2015년, 2018년 K3A 위성영상과 오차행렬을 통해 추출된 관심 지역의 정확도를 나타냈으며 전체 정확도는 각각 약 93%, 72%로 나타났다. 관심 지역의 정확도 검증을 통해 정확하게 분류된 지역은 관심 지역으로써 사용할 수 있고 오분류된 지역은 변화탐지를 위한 참고자료로서 활용할 수 있다고 판단된다.

Landsat 영상을 이용한 서해안 지형 변화 분석 (Analysis on the Topographic Change in the West Coast Using Landsat Image)

  • 강준묵;강영미;이주대
    • 대한공간정보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13-20
    • /
    • 2005
  • 서해안 지역은 1980년대 말부터 국토의 균형개발과 중국대륙을 겨냥한 국가적 요청에서 본격적인 개발이 시작되었고 최근에는 수도권 서부를 동북아 중심축으로 성장시킨다는 청사진 아래 대규모 개발이 이어지고 있다. 앞으로도 계속적인 개발이 있을 것으로 예상되며 그에 따라 서해안 일대에는 많은 변화가 예고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인공위성 영상에 의한 서해안 일대의 지형 및 지물 변화를 분석 한 것으로, 이를 위한 기본도를 구축하기 위해 landsat 영상을 이용하여 모자이크 영상을 제작하였다. 1:25,000의 수치지도를 통해 GCP를 비교함으로써 영상의 정확도를 검증하였으며, 모자이크된 1970년대와 2000년대의 영상 중 서해안 일대의 간척지인 시화지구와 화옹지구 및 안산시를 대상으로 그 변화를 알아보았다. 그 결과 간척지 개발이나 육지의 경우 나지상의 개발로 인해 지형상의 변화는 많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토지이용의 면적변화를 산출하여 비교함으로써 수계와 나지가 감소하고 농업지역과 도심지역이 증가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 PDF

고해상도 위성영상과 수치지형도를 이용한 지목 불부합의 정도 측정 (Land Category Non-coincidence Measurements Using High Resolution Satellite Images and Digital Topographic Maps)

  • 홍성언;이동헌;박수홍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제12권1호
    • /
    • pp.43-56
    • /
    • 2004
  • 필지는 지번, 지목, 경계, 면적이라는 기본적인 구성요소를 가지고 있다. 그 가운데 토지의 가치는 대부분 지목에 의해 결정된다. 많은 수익이나 산출이 기대되는 용도로 토지를 이용하려는 경향에 따라 토지이용 전환이 많이 이루어지고 있다. 결국, 이것은 토지의 불법 형질변경, 난개발 등의 원인이 되고 있고, 지목 불부합의 발생을 가중시키고 있다. 그러나 이에 대한 대처나 정리는 상대적으로 미흡한 편이다. 본 연구에서는 고해상도 위성영상과 수치지형도를 이용하여 지목을 기반으로 한 필지별 토지이용/토지피복을 분류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이렇게 분류된 필지별 토지이용/토지피복도와 편집지적도상의 지목을 비교·분석하여 지목 불부합 정도를 통계적으로 측정하였다. 그 결과 연구지역의 불부합 정도에 대한 통계적인 해석이 가능하여, 향후 지적 불부합지를 정량적으로 자동 해석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할 수 있었다.

  • PDF

RTK-GPS 측량을 이용한 해안지형의 정성적 분석 (Qualitative Analysis of Coast Topographic Using RTK-GPS)

  • 김용석;이재원
    • 대한공간정보학회지
    • /
    • 제15권2호통권40호
    • /
    • pp.77-85
    • /
    • 2007
  • 현재 남한의 해안선 길이는 일제시대 측량한 자료에 의하면 육지해안과 도서해안을 합하여 총연장이 약 11,542km에 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해안선에 대한 정확한 자료를 얻기 위해 현지측량으로 이를 수정 갱신하게 되면 엄청난 예산과 시간이 소요될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아울러, 공유수면 매립과 간척사업 및 신항만 건설 등 크고 작은 각종 개발사업으로 인해 연안해역과 해안선이 수시로 변화되어 연안해역도의 갱신작업이 빈번해지고 있어 현지측량에 대한 대안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연구대상의 지역적 범위를 부산지역5개 해안(송도, 해운대, 광안리, 송도, 다대포 해안)으로 정하였고, RTK-GPS 측량을 실시한 뒤 정성적 분석과 3차원 지형분석을 실시하였다.

  • PDF

상수관망 에너지 모의를 위한 정량화 분석기법 개발 (Development of a quantification method for modelling the energy budget of water distribution system)

  • 최두용;김상현;김경필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55권spc1호
    • /
    • pp.1223-1234
    • /
    • 2022
  • 기후변화에 대처하기 위한 온실가스 저감 노력은 상하수도 분야에서도 활발하게 진행되어 왔으며, 특히, 상수도 생산 및 공급과정에서 많은 에너지를 소비하는 상수관망의 에너지를 절감하기 위한 많은 기술개발이 이루어져왔다. 상수관망의 에너지 절감은 지형의 기복으로 발생되는 구조적 손실의 저감과 누수 및 마찰손실로 인한 운영 상 손실의 효율화를 통해 성취될 수 있음에도 실제 상수관망의 에너지 수지를 분석하는 단계에서 이들 인자들 상호간의 복합적 작용으로 인해 해석적인 접근뿐 아니라 수치모형을 이용한 모의에서도 한계를 노출하여 왔다. 본 연구에서는 지형의 기복, 누수 및 마찰손실의 유무에 따라 변화하는 유량, 압력수두 및 에너지를 5가지의 상수관망 상태(가설적 상태, 이상적 상태, 누수가 포함된 이상적 상태, 누수가 배제된 실제 상태, 실제 상태)에 대하여 수리 물리적 방정식을 도출하고, 이를 단순한 형태의 상수관망에 적용함으로서 에너지의 정량적 분석 및 분류, 각종 에너지 수지 구성요소별 분석과 이를 이용한 상수도 시스템의 에너지 진단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Landsat 영상을 이용한 서해안 지형 변화 추이 분석 (An Analysis on the change in Topography in the West Coast Using Landsat Image)

  • 강준묵;윤희천;강영미
    • 한국측량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측량학회 2004년도 추계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275-279
    • /
    • 2004
  • This study was done to detect the topographic and terrain change of the vicinity of the west coast. To make the basic map of the change in topology and terrain, the mosaic images were made using the images from the satellite, which were given the geometric correction based on the GCP (Ground Control Point) and DEM (Digital Elenation Model) data. The accuracy of the images was examined by .empaling them with CCP through 1:25,000's digital map. After that, among the resultant images of the 1970s and 2000s, those of Sihwa, Hwaong and Ansan, the lands reclaimed by drainage were compared to observe the change in the area. From this study, the accuracy of the images of the west coast from satellite could be acquired and the change of the topology and terrain was detected effectively. From the results, it was known that, in case of the land the topological change was not so big due to the development in the reclaimed land or the bare land. In Sihwa, the size of the land was increased 180 $\textrm{km}^2$ and that of the seashore was decreased 110 km. in Hwaong the size was increased 50 $\textrm{km}^2$ and in Ansan the city space was increased 71 $\textrm{km}^2$ due to the formation of the industrial complex.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