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alysis on the Topographic Change in the West Coast Using Landsat Image

Landsat 영상을 이용한 서해안 지형 변화 분석

  • 강준묵 (충남대학교 공과대학 토목공학과) ;
  • 강영미 (충남대학교 공과대학 토목공학과) ;
  • 이주대 (충남대학교 공과대학 토목공학과)
  • Published : 2005.06.30

Abstract

Upon the request of balanced development of the country and making inroads into the continent of China the development of the west coast was begun in the late 1980s, which has been being continued till recently under the blueprint of making the western part of the capital region to be the hub of northeastern Asia. As more lively development is expected to continue in the area, there are many occurrences of change in topology and terrain in the west coast. This study was done to detect the topographic and terrain change of the vicinity of the west coast. To make the basic map of the change in topology and terrain, the mosaic images were made using landsat images. The accuracy of the images was examined by comparing them with GCP through 1:25,000's digital map. After that, among the resultant images of the 1970s and 2000s, those of Sihwa, Hwaong and Ansan, the lands reclaimed by drainage were compared to observe the change in the area. From the results, it was concluded that, in case of the land the topological change was not so big due to the development in the reclaimed land or the bare land, and the area of agriculture and downtown increased, the drainage and bare land area decreased by comparing the change of land use.

서해안 지역은 1980년대 말부터 국토의 균형개발과 중국대륙을 겨냥한 국가적 요청에서 본격적인 개발이 시작되었고 최근에는 수도권 서부를 동북아 중심축으로 성장시킨다는 청사진 아래 대규모 개발이 이어지고 있다. 앞으로도 계속적인 개발이 있을 것으로 예상되며 그에 따라 서해안 일대에는 많은 변화가 예고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인공위성 영상에 의한 서해안 일대의 지형 및 지물 변화를 분석 한 것으로, 이를 위한 기본도를 구축하기 위해 landsat 영상을 이용하여 모자이크 영상을 제작하였다. 1:25,000의 수치지도를 통해 GCP를 비교함으로써 영상의 정확도를 검증하였으며, 모자이크된 1970년대와 2000년대의 영상 중 서해안 일대의 간척지인 시화지구와 화옹지구 및 안산시를 대상으로 그 변화를 알아보았다. 그 결과 간척지 개발이나 육지의 경우 나지상의 개발로 인해 지형상의 변화는 많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토지이용의 면적변화를 산출하여 비교함으로써 수계와 나지가 감소하고 농업지역과 도심지역이 증가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