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and Category Non-coincidence Measurements Using High Resolution Satellite Images and Digital Topographic Maps

고해상도 위성영상과 수치지형도를 이용한 지목 불부합의 정도 측정

  • 홍성언 (인하대학교 지리정보공학과) ;
  • 이동헌 (인하대학교 지리정보공학) ;
  • 박수홍 (인하대학교 지리정보공학과)
  • Published : 2004.04.01

Abstract

Basically a land parcel consists of a land parcel number, land category, land boundary and area, and land value is mostly determined by the land category. Generally people want to change their land use to increase their land value so that they can expect more benefits from the land. However, changing land use causes several problems with land properties, haphazard urban expansions and land category non-coincidences. Unfortunately, no effective solutions exist for land category non-coincidence problems. In this study, we proposed a methodology that can classify the land category based land covers using high resolution satellite images and digital topographic maps. For this, we obtained a parcel based land use/cover classification map. Using both this classification map and a digital cadastral map, we inspected land category non-coincidences. As a result, land category non-coincidence rates could be statistically measured and interpreted and demonstrate a possibility that we could quantitatively interpretate and measure cadastral non-coincidence automatically.

필지는 지번, 지목, 경계, 면적이라는 기본적인 구성요소를 가지고 있다. 그 가운데 토지의 가치는 대부분 지목에 의해 결정된다. 많은 수익이나 산출이 기대되는 용도로 토지를 이용하려는 경향에 따라 토지이용 전환이 많이 이루어지고 있다. 결국, 이것은 토지의 불법 형질변경, 난개발 등의 원인이 되고 있고, 지목 불부합의 발생을 가중시키고 있다. 그러나 이에 대한 대처나 정리는 상대적으로 미흡한 편이다. 본 연구에서는 고해상도 위성영상과 수치지형도를 이용하여 지목을 기반으로 한 필지별 토지이용/토지피복을 분류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이렇게 분류된 필지별 토지이용/토지피복도와 편집지적도상의 지목을 비교·분석하여 지목 불부합 정도를 통계적으로 측정하였다. 그 결과 연구지역의 불부합 정도에 대한 통계적인 해석이 가능하여, 향후 지적 불부합지를 정량적으로 자동 해석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할 수 있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