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he gifted

검색결과 2,012건 처리시간 0.031초

Perception of the Scientifically Gifted and Long-term Effects of Science Gifted Education Program - from the Students' Perspectives

  • Chun, Mi-Ran;Shin, Yoon-Joo;Lee, Sung-Muk;Choe, Seung-Urn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241-252
    • /
    • 2008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impacts of a science gifted education program. 155 students who experienced the SNU science gifted education program were interviewed. The interview questions consisted of eligible questions from 'Interview Protocol of Hertzog' (2003) based on 'Recommended Practice in Gifted Education (Shore, Cornell, & Ward, 1991)'. All interviews were immediately transcribed and analyzed qualitatively. It was found that scientifically gifted students had similar concepts of the gifted to what scholars consider as the gifted. Comparing the programs to school education program, the students agreed that the science gifted education program provided more experiments opportunities, higher and deeper level of contents, and more active interactions. Regarding long-term effects, it was found that program influenced on students' decisions for the future, stimuli and expansion of horizons, school work and entrance examinations. Students gained self-confidence and became more interested in science. Some pointed out that they felt greater stimulated, although some indicated an elevated level of self conceit. Implications of science gifted education were found based on these results.

초등학교 수학${\cdot}$과학 영재아동의 성역할 정체감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ex Role Identity of Gifted Children in Mathematics and Science)

  • 조선미;진석언
    • 영재교육연구
    • /
    • 제12권2호
    • /
    • pp.17-29
    • /
    • 2002
  • 본 연구는 초등학교 수학${\cdot}$과학 영재아동의 성역할 정체감을 일반아동과 비교하여 영재아동의 심리적 특성을 살펴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설문 조사를 통해 영재아동 192명과 일반아동 128명의 성역할 정체감을 살펴본 결과 영재아동의 성역할 정체감 유형이 양성성 유형은 높게 미분화 유형은 낮게 나타났다. 영재아동은 일반 아동에 비하여 자신의 성역할을 빨리 인식하고 있으며 일반아동보다는 자유로운 양성성적인 성향을 나타냈다.

Some Factors Discriminating Mathematically Gifted and Non-Gifted Students

  • Johny, Sholy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D:수학교육연구
    • /
    • 제12권4호
    • /
    • pp.251-258
    • /
    • 2008
  • This paper deals with factors discriminating mathematically gifted and non-gifted students. Discussion of some characteristics of mathematically gifted students is done in the first session. Several factors distinguish mathematically gifted from the non-gifted students. High mathematical creativity, high intelligence and opinion of teachers are some of the key factors that can be used for discriminating mathematically gifted and non-gifted students. Research studies have revealed that cognitive as well as affective factors will enhance giftedness. In this study the investigator wishes to look in detail about the characteristics of mathematically gifted students and how they can be identified. Anyway, teachers can change environmental factors and maximum outcome of giftedness can be ensured."

  • PDF

영재관찰추천 과정에서 담임교사의 영재교육전문성 인식 수준에 따른 영재판별의 차이 (Difference on Identification of Gifted Students by Level of Perception of Teacher's Professionalism in Gifted Education)

  • 고민석;박병태
    • 영재교육연구
    • /
    • 제21권2호
    • /
    • pp.427-447
    • /
    • 2011
  • 본 연구는 서울 지역 초등학교 교사 184명을 대상으로 교사의 영재 판별 및 추천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였고, 교사의 영재교육전문성 인식 수준에 따라 영재 판별에 대한 차이가 있는지 비교해 보았다. 연구 결과, 교사들의 영재관련 경험에 따라 영재교육전문성 인식 수준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영재직무연수를 이수하였거나 관찰추천을 담당하는 교사의 영재판별에 대한 인식 수준이 일반 교사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영재관찰추천과정에서 교사들은 영재판별척도로 창의성, 학습동기 및 태도를 가장 높은 판단 기준으로 여겼다. 영재관찰추천과정에서 학부모 추천 및 동료 추천에 대한 교사들의 영재판별척도 중요성 인식은 상대적으로 학습능력, 창의성, 리더십, 학습동기 및 태도에 비해 낮았으며 영재관찰추천과정에서 영재교육전문성 인식 수준이 높은 교사 집단이 창의성, 학습동기 및 태도 영역을 더 중요하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재들은 행복한가?: 영재, 잠재적 영재, 일반학생의 행복관련 정서적 특성 비교 (The Research on the Gifted Children's Happiness)

  • 한기순;김영미
    • 영재교육연구
    • /
    • 제18권3호
    • /
    • pp.519-542
    • /
    • 2008
  • 본 연구는 영재들의 행복에 관한 연구로 영재(201명), 잠재적 영재(124명), 일반 학생들(241명)의 행복지수, 낙관성과 심리적 안녕감, 학교교육 행복지수를 분석하고 행복관련 정서적 특성의 성별 차이를 살펴보았으며 학생들의 배경변인이 행복지수 및 관련 정서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탐색해 보았다. 연구결과 전반적으로 영재와 잠재적영재가 일반학생에 비하여 행복지수, 낙관성, 심리적 안녕감, 학교교육 행복지수 등 행복관련 정서적 특성이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행복관련 정서적특성에 나타난 성차를 살펴보면 선발된 영재집단의 경우 여학생들이, 잠재적 영재집단의 경우 남학생들이 더 높은 행복감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나 성별과 집단 간에 유의미한 상호작용이 존재했다. 행복관련 정서적 특성에 영향을 미치는 배경변인으로는 행복지수, 낙관성, 심리적 안넘감, 학교교육 행복지수 전반에 걸쳐 또래관계와 가정행복감이 가장 설명력이 큰 변인으로 도출되었다.

SW영재학급 현황 분석을 통한 SW영재교육의 개선 방안 탐색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SW Gifted Education through Analysis on the Current Situation of the SW Gifted Class)

  • 심재권;김용천;권대용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21권6호
    • /
    • pp.711-721
    • /
    • 2017
  • SW교육의 중요성이 증가함에 따라 SW분야에 재능이 뛰어난 학생들을 조기에 발굴하여 SW인재로 양성하기 위한 SW영재교육의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이에 2016년 초중고 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SW영재학급 30곳이 설치되어 SW영재교육을 시작하였다. 그러나 각각의 영재학급이 선발 방법, 교육과정, 환경 등의 조건들이 모두 달라서 일관성과 체계성을 갖기 어려운 상황이다. 따라서 기관에 따른 SW영재학급의 편차를 줄이고, 효과적인 SW영재교육 수행을 위해서는 현황 조사를 통한 문제점 분석과 개선방향 도출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모든 학급의 설치운영계획서와 현장 방문을 통해 SW영재학급의 교육과정, 환경, 선발 내용을 조사하여 현재 SW영재학급의 전반적인 현황 분석하였으며 이를 기반으로 한계점 및 문제점을 도출하고 개선 방향을 제안하였다.

초등 과학영재수업의 교수ㆍ학습 실태 분석 (Analysis of Science Teaching and Learning for the Gifted at Elementary School Level)

  • 서혜애;이선경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23권3호
    • /
    • pp.219-227
    • /
    • 2004
  •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science teaching and learning for the gifted in comparison with regular classrooms in elementary schools. A questionnaire was developed to survey gifted and general students' perceptions to elementary science teaching and teaming with employing a teaching and learning model for the gifted by Maker and Neilson (1995, 1996). The 28 item questionnaire consisted of four categories of content, teaching and teaming process, student product, and learning environment, and each category included six to nine items. Randomly selected 114 students from gifted classes and 99 students for regular classes responded to the questionnaire through the use of five-point Likert scale. It was found that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gifted and regular classes of science at all four categories of the teaching and learning model for the gifted. Therefore, science teaching and teaming for the gifted seemed to be differentiated from regular classes and emphasized students' creativity. However, no differences were appeared in a few items: study of gifted people and research methods (gifted=3.0; regular=.21 F=2.54), students' freedom of choice for topics of lessons, tasks, etc., (gifted=3.1; regular=3.0, F=0.31), student product addressed to real audience (gifted=2.8, regular=2.6, F=0.96), and students' high mobility to seek for data in library, etc. during class periods (gifted=2.3, regular= 2.3, F=0.01). It was concluded that science education for the gifted in Korea calls for quality improvement in terms of teaching and teaming in various aspects.

  • PDF

영재와 평재 고등학생들의 성공에 대한 인식, Grit, 열망 및 성취목적 비교 (Comparisons of Perceptions of Success, Grit, Aspirations, and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between Gifted and Non-gifted High School Students)

  • 신민;안도희
    • 영재교육연구
    • /
    • 제25권4호
    • /
    • pp.607-628
    • /
    • 2015
  • 본 연구는 영재와 평재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이들의 성공에 대한 인식, Grit(관심의 일관성, 노력의 인내), 열망(내재열망 - 신체적 건강, 자아성장, 소속감, 공동체 기여; 외재열망 - 명성, 이미지, 경제적 성공) 및 성취목적(숙달목적, 수행접근 목적, 수행회피 목적)에는 어떤 차이를 보이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영재학교 2개교에서 200명, 일반 고등학교 2개교에서 350명, 총 550명을 표집 대상으로 하였다. 이 중 불성실하게 응답한 54명을 제외한 496명(회수율 90.18%, 영재학생 153명, 평재학생 343명)을 최종 분석대상으로 선정하였다. 본 연구 결과, 영재학생과 평재학생 모두의 경우, '성공은 내가 통제할 수 없는 것'이라고 생각하는 비중이 50%를 상회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성공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 중 '근면'을 가장 많이 선택하였다. 반면에, 성공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 중 '부유한 가정환경'을 선택하는 하는 비중이 영재학생들(48.2%)에 비해 평재학생들(60.4%)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Grit의 하위요인 중 '노력의 인내'와 성취목적 하위 요인 중 '숙달목적 지향성'에서 영재학생이 평재학생에 비해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Grit의 하위요인 중 '노력의 인내' 요인은 영재와 평재 학생들의 '숙달 지향성'과 '수행접근 지향성'에 긍정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영재와 평재학생의 성공에 대한 인식, Grit, 열망 및 성취목적을 비교한 본 연구 결과는 이들의 성취증진 방안을 강구하는데 많은 교육적 시사점을 제공해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영재교육기관별 초등과학영재와 일반학생의 회복탄력성 및 과제집착력 비교 (A Comparison of Resilience and Task Commit between Elementary Gifted Students in Science and Non-gifted Students)

  • 이경미;성승민;장낙한;여상인
    • 과학교육연구지
    • /
    • 제39권3호
    • /
    • pp.307-320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영재교육기관별 초등과학영재와 일반학생의 회복탄력성과 과제집착력을 비교하고 회복탄력성과 과제집착력은 어떤 상관이 있는지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 연구를 위하여 교육지원청부설영재교육원 초등학생 6학년 55명, 단위학교의 영재학급 초등학생 6학년 77명, 그리고 초등과학영재와 같은 지역의 초등학교 일반학생 5학년 147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회복탄력성 검사도구는 류형선(2013)의 검사도구를 일부 수정하여 사용하였고, 과제집착력은 신복진(2007)이 제안한 하위요인에 대한 검사도구를 각각 수집하여 구성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바탕으로 세 집단 간에 회복탄력성과 과제집착력의 차이가 있는지를 비교하기 위하여 일원분량분석과 $Scheff{\acute{e}}$ 사후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회복탄력성과 과제집착력에서 일반학생, 영재학급 초등과학영재, 영재교육원 초등과학영재의 순으로 회복탄력성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회복탄력성의 하위요인에 대한 $Scheff{\acute{e}}$ 사후검증에서 영재학급 초등과학영재는 일반학생과 뚜렷하게 구별되지 않는 경우가 많았다. 둘째, 회복탄력성과 과제집착력 사이에 높은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영재교육기관별 초등과학영재와 일반학생 간에 회복탄력성 및 과제집착력에 어떠한 차이가 있으며, 회복탄력성과 과제집착력의 상관관계 등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 PDF

영재아의 개인 및 부모 변인이 완벽주의 성향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Personal and Parental Variables on Perfectionism of the Gifted Children)

  • 최영은;최보가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3권10호
    • /
    • pp.25-38
    • /
    • 2005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personal and parental variables on perfectionism of gifted children. The study subjects were 113 gifted children who were taking a special educational program at D academy of Gifted Education, located in the city of Taegu. They were in the 5th and 6th grades at elementary school. The instruments of measurement were Perfectionism Scale, Achievement Goal Scale, and Parenting Behavior Scale.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The gifted children's perfectionism didn't have any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nx, grade, and parent's educational level. 2)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the gifted children's perfectionism and achievement goal. 3)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the gifted children's perfectionism and parent's perfectionism. 4)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the gifted children's perfectionism and parenting behavior.5) Achievement goal affected perfectionis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