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he Locus for Focus Model

검색결과 70건 처리시간 0.02초

ISO 심사원 역량요소의 중요도와 보유도 분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Importance Level & Present Level Analysis of ISO Auditor' Competency Factors)

  • 조기훈;양승원;이동원
    • 한국방재안전학회논문집
    • /
    • 제13권3호
    • /
    • pp.29-43
    • /
    • 2020
  • 본 연구는 ISO 심사원이 현장중심의 심사역량 제고를 위해서 개인적 특성과 함께 직무를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전문지식 및 전문기술 역량의 우선순위를 규명하는 데에 목적을 두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심사원이 필요로 하는 심사역량을 ISO 19011 기반의 전문지식영역, 직무기술영역에 개인적 특성 영역을 더하여 총 50개의 역량요소로 설문지를 구성하였고, 현재 활동 중인 ISO심사원을 대상으로, 리커트 5점 척도를 통해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ISO 심사원의 역량영역별 중요도와 보유도를 대응표본 t검정을 통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확인하였고, 전체역량과 각 역량영역별 최우선 순위와 차기우선 순위의 역량요소를 Borich 계수와 Locus for Focus Model을 통해 도출하였다. 본 연구결과로 확인된 각 역량영역별 최우선순위의 역량요소들을 고려하여, 심사원의 심사역량 개선을 위해 관련 교육과정 등을 개발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고, 나아가 기업의 품질, 환경, 안전보건, 사업연속성 등 ISO 경영시스템의 강화에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한다.

종합병원 간호관리자의 간호관리역량 요구도 분석 (Need analysis for managerial competencies of nurse managers in general hospitals)

  • 정희경;문성미
    •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82-95
    • /
    • 2024
  • Purpose: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needs for the managerial competencies of nurse managers in general hospitals. Methods: A cross-sectional design was used. The participants were 203 nurse managers, 141 head nurses or unit managers, and 62 directors or team managers from 17 general hospitals. Data were collected by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with 42 nursing management competencies and 181 behavioral indicators. Participants rated the importance and performance of each indicator. Data were analyzed using a paired t-test, independent t-test,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Borich's needs assessment model, and locus for focus model. Results: In all 42 competencies, importance was rated significantly higher than performance. The head nurses or unit managers had high demands for "human resource development," "performance management," and "information management," while the directors or team managers had high demands for "change management." Competencies in high demand in both groups were "development of nursing standards" and "self-management." Conclusion: Based on the results, it is necessary to select priorities and prepare educational content when developing educational programs to strengthen the nursing management competencies of general hospitals' nurse managers.

NCS '문헌정보관리' 직무 구성요소의 중요도 및 활용도 평가를 통한 개선방안 연구 (A Study on Improvement of NCS Duty Components in 'Library and Information Management' by Evaluation of the Importance and Utilization)

  • 차성종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0권3호
    • /
    • pp.215-247
    • /
    • 2016
  • 본 연구는 NCS '문헌정보관리' 직무 구성요소인 능력단위 및 능력단위요소의 중요도 및 활용도를 평가하고 분석함으로써, NCS '문헌정보관리' 직무를 도서관 실무에 적용했을 때 현장 사서들이 실질적으로 중요하게 생각하고 우선적으로 요구하는 구성요소들을 도출하고자 수행되었다. 첫째, NCS '문헌정보관리' 직무의 구성요소(능력단위)에 대한 중요도 및 활용도를 평가한 결과, '이용자 정보서비스', '독서문화 프로그램 운영' 능력단위는 중요도와 활용도가 동시에 높게 나타났고, '문헌정보 실무 연구수행', '문헌정보 큐레이션', '문헌정보시스템 운영' 능력단위는 중요도와 활용도가 낮게 나타났다. 둘째, 직무 구성요소(능력단위)에 대한 Borich 요구도 분석 결과, '독서문화 프로그램 운영', '이용자 정보서비스', '문헌정보수집' 순으로 높게 나타났고, '문헌정보 큐레이션', '문헌정보시스템 운영', '문헌정보 실무 연구수행' 구성요소는 바람직한 수준과 현재 수준이 공통적으로 낮게 나타나고 있어 요구도가 낮은 것으로 파악되었다. 셋째, The Locus for Focus 모델을 활용한 직무 구성요소(능력단위)의 우선순위 분석결과, '독서문화 프로그램 운영', '이용자 정보서비스', '문헌정보수집', '문헌정보 서비스 마케팅', '문헌정보 보존', '문헌정보 이용분석'의 6개 능력단위가 최우선순위 구성요소로 도출되었다.

Application of Crossover Analysis-logistic Regression in the Assessment of Gene- environmental Interactions for Colorectal Cancer

  • Wu, Ya-Zhou;Yang, Huan;Zhang, Ling;Zhang, Yan-Qi;Liu, Ling;Yi, Dong;Cao, Jia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3권5호
    • /
    • pp.2031-2037
    • /
    • 2012
  • Background: Analysis of gene-gene and gene-environment interactions for complex multifactorial human disease faces challenges regarding statistical methodology. One major difficulty is partly due to the limitations of parametric-statistical methods for detection of gene effects that are dependent solely or partially on interactions with other genes or environmental exposures. Based on our previous case-control study in Chongqing of China, we have found increased risk of colorectal cancer exists in individuals carrying a novel homozygous TT at locus rs1329149 and known homozygous AA at locus rs671. Methods: In this study, we proposed statistical method-crossover analysis in combination with logistic regression model, to further analyze our data and focus on assessing gene-environmental interactions for colorectal cancer. Results: The results of the crossover analysis showed that there are possible multiplicative interactions between loci rs671 and rs1329149 with alcohol consumption. Multifactorial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also validated that loci rs671 and rs1329149 both exhibited a multiplicative interaction with alcohol consumption. Moreover, we also found additive interactions between any pair of two factors (among the four risk factors: gene loci rs671, rs1329149, age and alcohol consumption) through the crossover analysis, which was not evident on logistic regression. Conclusions: In conclusion, the method based on crossover analysis-logistic regression is successful in assessing additive and multiplicative gene-environment interactions, and in revealing synergistic effects of gene loci rs671 and rs1329149 with alcohol consumption in the pathogenesis and development of colorectal cancer.

건설사업관리자 역량 모형 개발 및 역량 요구 분석: D사(社) 사례를 중심으로 (Developing Competency Model and Analyzing Competency Needs for Construction Manager in D Co., Ltd.)

  • 김대영
    • 직업교육연구
    • /
    • 제33권3호
    • /
    • pp.37-56
    • /
    • 2014
  • 이 연구의 목적은 D사(社) 건설사업관리자의 역량 모형을 개발하고, 역량 개발의 요구를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D사(社)의 우수 건설사업관리자 25명을 대상으로 델파이 방법을 활용하여 역량 모형(안)을 개발하였다. 연구 결과, D사(社) 건설사업관리자 역량 모형은 3개 역량군, 11개 역량, 60개 행동 지표로 구성되었다. 그리고 D사(社) 건설사업관리자 114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우수 집단과 평균 집단의 역량 수준을 비교 분석하는 동시적 구성 타당화를 통해 역량 모형을 검증하였다. 또한 각 역량의 필요 수준과 현재 수준을 조사 분석하여 역량 개발의 우선순위를 도출한 결과, 커뮤니케이션, 리스크 관리, 목표 의식, 고객 지향, 프로젝트 관리 역량에 대한 개발 요구도가 높은 것을 확인하였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건설사업관리자의 역량 기반 인적자원개발에 관한 몇 가지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4차 산업혁명 시대를 대비한 중등진로전담교사들의 교육요구도 분석 (Analysis of the Educational Needs of Secondary Career Teachers for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Era)

  • 이형국;조동헌
    • 직업교육연구
    • /
    • 제37권5호
    • /
    • pp.55-78
    • /
    • 2018
  • 이 연구는 도래하고 있는 4차 산업혁명 시대를 대비해 요구되는 중등 진로전담교사의 효과적인 진로지도 역량 강화를 위해 요구되는 전문성에 대한 인식과 교육요구는 어떠한지를 탐색하고 구체적인 필요 교육내용을 추출해 기초자료로 제공하기 위함이었다. 이러한 연구목적에 따라 선행연구들을 통해, 중등 진로전담교사들에게 요구되는 요구역할(8개), 요구역량(20개), 그리고 요구역량별 전문성 강화를 위한 교육내용(23개)을 도출하였고, 이를 기반으로 설문지를 구성하여, 217명으로부터 유효응답을 회수하여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각 역할별, 교육내용 항목별 현재수준과 중요수준 간의 통계적 유의미한 평균 간 차이를 확인하는 t검정을 실시한 결과, 역할별에서는 '행정운영자' 역할을 제외한 전 역할에서, 세부 교육내용에서는 전 항목에서 t 값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고 높은 t 값 분포를 확인하였다. 둘째, Borich 요구도 산출공식을 활용한 요구도 값 산출 및 우선순위를 파악한 결과, 전체적으로 t 값과 Borich 요구도 간에는 방향성은 일치하였다. 셋째, The Locus for Focus 모델을 활용한 우선순위 도출 결과, 전체 5개(중학교 7개, 고등학교 2개)의 교육내용이 우선순위로 도출되었다. 넷째, 차순위로 중학교 3개, 고등학교 5개를 도출하여 포함하였다. 끝으로 교육내용들과 실제적 교육 필요성과의 관련성은 어떠한지 확인하였다. 그리고 이 연구는 기존 4차 산업혁명 관련 주제와 진로지도 관련 주제의 분절 현상으로 인해 선행자료가 거의 없어 여러 한계와 제한점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향후 중등 진로전담교사의 시대 요구 적응을 위한 교육연수 프로그램 개발 및 다양한 후속 연구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하며 몇 가지 제언을 하고 있다.

패션 전공 대학생들의 비즈니스 윤리 요소별 교육요구도 (Education needs for business ethics components among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fashion)

  • 여은아
    • 복식문화연구
    • /
    • 제28권6호
    • /
    • pp.801-814
    • /
    • 2020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importance level, the present level, and the educational need for 21 business ethics components among 2-year and 4-year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fashion. Survey data of 364 students (128 students of 2-year colleges and 238 students of 4-year colleges) were analyzed through descriptive statistics, Borich's needs assessment for education, The Locus for Focus model,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t-test. The results showed five business ethics components ranked highly as educational needs among college students: 'reducing waste', 'using vegan materials', 'using human-friendly materials', 'strengthening sustainable technologies', and 'promoting workers' rights'. Those components should be integrated into curricula of fashion majors in colleges. Students in 4-year colleges considered most of 21 business ethics components as more important than did students at 2-year colleges. More needs for education were observed by 4-year college students in eight business ethics components than by 2-year college students. In addition, a positive attitude toward business ethics education and the suitability of business ethics education were higher among 4-year college students than 2-year college students. Results provide a guideline for business ethics education by indicating a list of business ethics components that urgently needed to be adapted to fashion curricula according to each college type.

사서교사 직무 역량에 대한 중요도·만족도 분석 (A Study on Analysis of Importance-Performance on Teacher Librarians' Competencies)

  • 이승민;임정훈;강봉숙;이병기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52권3호
    • /
    • pp.177-196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사서교사 역량을 재정의하고, 역량 우선순위를 분석하여 사서교사 양성 및 재교육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는 데 있다. 본 연구를 위하여 사서교사 238명의 설문조사 데이터를 IPA, Borich 요구도, The Locus for Focus 모델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첫째, 사서교사들은 교사와 경영자 영역에 대해 중요도와 만족도를 높게 인식하고 있으나 정보 전문가, 협력적 리더 영역에 대해서는 낮게 인식하고 있었다. 둘째, 정보전문가 영역에서 교육환경 변화에 따른 데이터 사이언스, 코딩, 사물인터넷 영역에 대해 요구하고 있었다. 셋째, 교사 영역에서 정보윤리와 저작권 교육, 디지털 및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등에 대해 요구하고 있었다. 넷째, 경영자 영역에서 미래교육을 위한 시설 디자인, 온라인 및 오프라인 마케팅, 메이커스페이스 및 러닝커먼스 구축 등에 대해 요구하고 있었다. 다섯째, 협력적 리더 영역에서 도서관활용수업 및 도서관협력수업에 대한 실행 평가 역량, 교과 연계 정보자료 컬렉션 구축 역량 등을 요구하고 있었다. 여섯 번째, 이러한 연구 내용을 바탕으로 사서교사에게 요구되는 최우선 요구 역량을 각 직무 영역별로 제안하였다.

농업 경영인이 인식한 외국인 근로자 및 농업인 고용주 교육 요구 분석 (Educational Needs Assessment of Migrant Farm Workers and Employers Perceived by Farmers in Korea)

  • 조홍용;정진철
    • 농촌지도와개발
    • /
    • 제29권4호
    • /
    • pp.203-224
    • /
    • 2022
  •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educational needs of migrant farm workers and farmers in Korea. For developing survey instruments, content analysis of migrant workers & employer training programs, in-depth interviews with farmers and expert reviews had been conducted. Therefore, eight parts and twenty nine educational contents for migrant workers, five parts and twenty educational contents for farmers have been constructed. For data analysis, Borich analysis and The Locus for Focus Model were hired to analyze the educational needs assessment. Results showed that migrant workers' educational priorities were 'basic korean for farming, working attitude in farming, safety guidelines and first aid skills for rural life, safe use of pesticides and protective equipment, driving skills, safe use of agricultural machinery, operation & maintenance of agricultural machinery, pest control by crop', and for the farmers' were 'communication with migrant workers, trouble controls with employment, farming guidance, industrial accident cases and countermeasures, preventing disease and promoting mental health of migrant workers'.

NCS 직업기초능력 기반 응급구조(학)과 교양 교과목 편성 연구 (Program design of the education subject curriculum by the department of emergency medical technology based on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 key competencies)

  • 홍성기;고봉연;김수태
    • 한국응급구조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37-47
    • /
    • 2016
  • Purpose: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establish an education curriculum subject program design for the department of emergency medical technology based on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 (NCS) key competencies. Methods: A self-reported questionnaire was completed by 180 level 1 emergency medical technicians in K area from June 15 to 20, 2016. Except for 14 incomplete questionnaires, 141 data were analyzed. The study instrument included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7 items) and importance and satisfaction levels for 10 key competencies including 34 items of subfactors by a Likert 5-point scale using Borich Needs Assessment Model. A locus for focus model (LF model) was used to derive the top priority key competencies for the education curriculum. Data were analyzed by SPSS v. 20.0. Results: The order of education needs of the program included interpersonal competency (1.442), communication competency (1.384), problem solving competency (1.185) and professional ethics competency (1.149). In the LF model, the required jey competencies included interpersonal competency, communication competency, professional ethics competency, and problem solving competency. Conclusion: The study results coincided with standard education curriculum guidelines. Our resluts can provide a valid reference for the department of emergency medical technolog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