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검색결과 1,146건 처리시간 0.028초

4차 산업혁명시대의 기독교의 역할과 교육방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Role of Christianity and the Educational Direction in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 김희영
    • 기독교교육논총
    • /
    • 제67권
    • /
    • pp.377-414
    • /
    • 2021
  • 슈밥(Schwab)이 2016년 다보스 포럼에서 4차 산업혁명을 언급하면서 많은 이들이 4차 산업혁명과 미래사회에 대하여 논하였다. 4차 산업혁명은 기술의 발달을 넘어서서 우리의 사회, 문화, 생활양식 전반에 영향을 주고 있으며, 우리는 코로나19 상황을 맞이하며 더욱더 실감을 하고 있다. 우리는 4차 산업혁명은 분명 인간의 삶을 증진시키며, 문명의 발달을 이루게 할 것이라 희망하지만, 인간소외나 양극화의 문제를 우려하게 된다. 이러한 때에 기독교가 어떻게 공적 영역에서 기여하며 교육의 방향을 설정할 것인가. 본 연구는 이러한 4차 산업혁명시대의 기독교의 역할과 교육방향에 관하여 연구한 논문이다. 먼저 4차 산업혁명시대에 일어날 개인과 공동체의 내면과 외면의 문제를 다각도로 조명하고자 심리학자 미첼(Mitchell), 사회학자 벨라(Bellah), 신학자 맥그래스(McGrath), 철학자 보스트롬(Bostrom)의 견해를 통해 접근하였다. 이들의 이론을 통해 4차 산업혁명시대의 현실 세계와 가상 세계, 초월적 세계에 사는 개인의 삶을 바라보았다. 그리고 이러한 세계에 기독교가 초월적 규범을 제시하고, 의미를 부여하며, 개인과 세계의 변화를 일으킬 수 있다고 보며, 교육의 방향을 "상징을 만들고 표현하는 교육"으로 보았다. 이를 위하여 관찰하기, 들어가기, 발견하기, 참여하기, 상징 만들기의 5단계를 제시하여, 이를 통해 현실 세계 안에서 하나님 나라를 이뤄갈 수 있도록 하였다.

4차 산업혁명 시대의 대한민국 의료기술 전주기 관리현황 및 단계별 개혁과제 (Current Status and Reform Tasks in Life Cycle Management of Korean Health Technology for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Era)

  • 김아림;김은정;윤석준
    • 보건행정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270-276
    • /
    • 2020
  • Entering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era, health technology is rapidly developing and the people's needs for medical services are gradually increasing. Establishing a life cycle management of health technology has emerged as a new policy agenda to cope with these changes. However, the management of health technology have been conducted without continuity and with several problems pointed out. Therefore, we suggest the reform agendas by stages to establish system for a life cycle management of health technology in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era as follows. In the stage of development, it is important not only to provide research funding, but also consulting by professional about whole cycle of health technologies. In the phase of market entry, there are needs for enhance the system that would expand the early adoption for innovative technology and increase its effectiveness. After the spread of health technology to clinical settings, a reassessment and post management system should be established that have an institutional framework with strong price adjustment and exit mechanism. Furthermore, we hope that discussions will be brisk in macro perspective on the balancing of development in healthcare industry, health of people and national health insurance finance.

4차 산업혁명 시대 사범대학 예비교사의 교육패러다임 인식에 관한 탐색적 연구 (An Exploratory Study on The Pre-service Teachers' Perception of Education Paradigm in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Era)

  • 김은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8권9호
    • /
    • pp.248-259
    • /
    • 2018
  • 본 연구는 4차 산업혁명 시대 교육패러다임과 교사의 교수역량에 대한 예비교사의 인식을 탐색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예비교사 53명이 한 학기 동안 팀 토의 중심 수업으로 참여하였다. 본 연구자료인 토의 보고서는 근거이론 접근법으로 분석하였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4차 산업혁명 시대의 핵심 교육은 정보통신기술, 윤리관, 융합교육, 창의성, 인성교육, 협업으로 예비교사는 이와 같은 교육을 위해 융합교육, 지역연계학습, 거꾸로 학습, 혼합학습 등의 학습자 중심 학습과 평가방법의 변화가 필요하다고 하였다. 둘째, 교사에게 필요한 교수역량은 융합적 교육과정 재구성 역량, 정보처리 역량, 공감 및 이해 역량, 창의적 교수 및 교수설계 역량, 협업 및 의사소통 역량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는 4차 산업혁명 시대의 예비교사양성을 위한 교육패러다임의 변화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4차 산업혁명과 개인정보 규제완화론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nd the Deregulation of Data Protection)

  • 장여경
    • 과학기술학연구
    • /
    • 제17권2호
    • /
    • pp.41-79
    • /
    • 2017
  • 근래 한국에서 열풍이 일고 있는 4차 산업혁명론은 클라우스 슈밥의 저서에서 유래한 것이다. 슈밥은 최근의 기술 혁신이 파괴적인 변화와 혁신을 가져올 것이라고 주장한다. 그러나 4차 산업혁명론에 대한 비판자들은 이 주장이 내포하는 기술결정론적 함의에 주목한다. 4차 산업혁명론은 우리 사회가 기술 혁명에 의해 불가피한 미래를 앞두고 있으며 이를 수용하는 것 외에 다른 선택지가 거의 존재하지 않는다고 암시한다. 그래서 슈밥의 제안은 규제 당국을 향한 정치라는 평가도 있다. 기술에 의해 사회가 변화하였으니 관련된 국가 규제를 완화해야 한다는 정치적 요구라는 것이다. 4차 산업혁명에 대한 한국 사회 논쟁 역시 규제완화 정책을 두고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빅데이터 기술 혁신으로 개인정보 활용이 불가피한 상황에서 개인정보보호법을 비롯한 보호 규범을 완화해야 한다는 주장이 드세다. 그러나 과학기술학은 오랫동안 기술결정론을 비판해 왔다. 4차 산업혁명론에서 제시하는 기술의 미래는 규제 당국의 의지와 시민사회의 개입으로 변화할 수 있다. 이 글에서는 '비식별화'를 비롯하여 개인정보 규제완화론에 대한 국내외 논의를 살펴봄으로써 한국 사회의 4차 산업혁명론 수용 방식에 대하여 비판하고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소셜 네트워크 분석을 이용한 4차 산업혁명 기술 분야의 연구 동향 분석 (The Analysis of Research Trends in Technology to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using SNA)

  • 김홍광;안종욱
    • 지적과 국토정보
    • /
    • 제49권1호
    • /
    • pp.113-121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국내 외 4차 산업혁명 관련 기술 분야의 연구 동향을 분석하기 위해서 웹 기반의 텍스트 마이닝 및 소셜 네트워크 분석 기법을 이용하였다. 이를 위해 2014년 1월 1일부터 2018년 12월 31일까지 국내 외 4차 산업혁명 관련 기술에 대한 연구 논문 및 보고서의 제목 텍스트와 날짜를 대상으로 하여 텍스트 마이닝을 수행하였다. 이후 개념적인 차원에서의 키워드 간 연관성을 분석하기 위해서 형태소 분석을 통한 대표 키워드를 도출하였다. 이후 사회 연결망 분석을 활용하여 핵심 키워드 및 연관 키워드 등을 도출하였다. 그 결과, 우리나라에서는 4차 산업혁명 기술 관련 연구 개발 및 법 제도적 완화 등에 대한 초점을 두고 있다고 유추할 수 있다. 반면, 국외는 단위 서비스 형태로의 접근을 통해 도시에 대한 실질적 적용 기술에 초점을 두고 있음을 파악할 수 있었다.

4차 산업혁명시대, 광고학 교육과정 혁신에 관한 연구 (A Study of Educational Renovation on the Advertising Curriculum in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 한상필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0권3호
    • /
    • pp.141-147
    • /
    • 2019
  • 본 연구는 4차 산업혁명시대에 산업계 현장에서 원하는 광고학 광고교육과정을 개발하기 위한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이를 위해 광고교육의 이해 당사자인 광고대행사의 인사담당자, 신입사원 교육 경험이 있는 121명의 실무자를 대상으로 4차 산업혁명시대에 필요한 광고교과과정에 대한 설문조사를 하였다. 연구결과, 우리나라 광고학 교육의 교과과정이 4차 산업혁명시대에 준비는 미흡하며, 교과과정의 개선 필요성이 높고, 실습교과과정 강화, 이론과 실습을 융합한 실무교과과정 개설, SW교육과 연계한 광고 테크놀로지 교과과정 운영, 그리고 PBL 형식의 교과과정 강화와 같이 실무 연계 교육, 그리고 문제해결능력 배양과 관련된 교과과정을 신설하거나 강화하는 교과과정 운영을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답변이었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광고학계와 광고실무계에 어떤 시사점이 있는 가를 논의하였다.

4차 산업혁명의 사회적 문제에 대한 대학생의 인식과 준비 여부 (University Students' Awareness and Preparedness for Social Problems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 유양석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9권3호
    • /
    • pp.566-575
    • /
    • 2019
  • 본 연구는 4차 산업혁명의 시대가 도래함에 따라 예측되는 사회적 문제에 관한 대학생들의 인식과 준비여부를 파악하고 성별, 전공별, 학년별 차이가 있는지를 조사하고자 하였다. 서울에 거주하는 대학생 122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설문조사의 결과에 의하면 기술공학을 전공하는 학생들은 인문사회학을 전공하는 학생들에 비해 보다 긍정적으로 4차 산업혁명을 예상하고 있으며 4차 산업혁명으로 예측되는 사회적 문제에 관해서는 여학생들이 남학생들보다, 인문사회학을 전공하는 학생들이 기술공학을 전공하는 학생들보다 더 깊은 우려를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5명 중 3명 이상의 대학생들이 앞으로 5년 사이에 4차 산업혁명의 영향을 체감하게 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으며 5명 중 2명 정도의 학생은 4차 산업혁명 시대를 대비하는 자신의 준비 수준은 미흡하다고 생각하고 있다. 4차 산업혁명이 미치는 영향이 사회 전반적이라는 점을 고려할 때, 새로운 기술발전으로 인한 사회적 문제를 전공과 성별에 차이 없이 공통적으로 이해하고 대비할 수 있는 기술공학과 인문사회학이 융합된 '4차 산업혁명'에 관한 교육이 필요하다.

4차 산업혁명 시대에 정보보안의 위협요인과 대응방안에 대한 연구 (The Study on Threats of Information Security and Their Solutions in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 조성필
    • 시큐리티연구
    • /
    • 제51호
    • /
    • pp.11-35
    • /
    • 2017
  • 누구도 예상 할 수 없는 기술 혁명을 통해 이제 정보화 및 공장 자동화로 일컬어지는 3차 산업혁명에서 기술이 융합되고 데이터가 힘을 갖는 초지능 초연결의 시대인 4차 산업 혁명 사회로 나아가고 있다. 이러한 제4차 산업혁명의 시대에 무엇보다도 가장 중요한 자원은 정보나 데이터라고 볼 수 있다. 과거 3차 산업혁명 때보다도 더욱 방대한 양의 정보가 실시간으로 활용, 공유 그리고 전달되면서 이러한 정보의 관리 및 보안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이처럼 4차 산업혁명의 가장 핵심이 되는 정보자산의 관리와 보안의 중요성은 증대해 가고 있는 동시에 위협요인 또한 증가해서 많은 정보 침해 사고와 유출사례들이 늘어나고 있다. 이러한 정보 침해와 유출 사고로 인해 조직체나 회사는 금전적으로나 대외적으로 큰 손해를 볼 수 있는데 이에 대한 철저한 해결 방안을 마련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위협요인과 관련해 데이터 사고나 유출에 대한 전반적인 추이를 알아보고 구체적으로 어떤 산업분야에서 가장 많은 피해를 입었는지도 알아보고자 한다. 다음으로 이러한 데이터 사고나 유출을 일으키는 요인들과 9가지 공격패턴을 각각의 특징에 따라 설명하고 이러한 위협요인과 공격에 어떻게 대응해 나갈지도 논의해 보기로 한다.

  • PDF

신문기사에 나타난 제 4차 산업혁명의 핵심역량에 관한 사회연결망분석: 이공계 대학생을 중심으로 (Social Network Analysis of the Core Competencies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on the Newspaper Articles : Focusing on in Engineering Students)

  • 허지숙
    • 공학교육연구
    • /
    • 제20권5호
    • /
    • pp.50-58
    • /
    • 2017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core competencies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in the major newspaper articles of social network analysis and to examine the core competencies required by each field and target. To do this, we reviewed prior research focusing on core competency concepts and core competencies of engineering students, and analyzed 227 articles related to core competencies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focusing on five major newspapers. Through analysis, we analyzed social network with 118 refined core competency keywords. As a result of the research, it was found that core competencies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re the degree centrality in terms 'creativity', 'problem solving ability', 'convergence ability', 'collaboration ability', 'conductivity', 'software ability', 'human literacy', 'personality' order. Also,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the ego centric network by field and target, the required core competencies of university and industry were found to be different. Through these discussions, it is necessary to restructure the core competence of engineering students in order to nurture the engineering talents necessary for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4차 산업혁명 시대 Electronic Security 발전 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Measures for the Development of Electronic Security in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Era)

  • 김민수
    • 융합보안논문지
    • /
    • 제20권3호
    • /
    • pp.109-114
    • /
    • 2020
  • 지식정보사회 기반의 기술혁신은 현재 4차 산업혁명((4IR, Fourth Industrial Revolution)로 접어들면서 기존의 3차 산업혁명의 디지털 기술혁신을 기반으로 데이터의 적극적인 활용을 통한 융·복합적 인프라가 구축되면서 다양한 분야에서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을 창출하기 위한 혁신적 노력이 요구되고 있다. 이에 따른 보안영역도 3차 산업혁명과는 구별되어지는 핵심기술인 방대한 양의 비정형 데이터를 수집·분석·가공하여 얻어진 정형화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좀 더 정확하게 예측하여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가상물리보안시스템(CPSS, Cyber-Physical Security System)을 제안하여 Electronic Security 프레임워크를 제시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