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he 7th National Curriculum

검색결과 508건 처리시간 0.021초

초등 과학 교육과정의 변화와 쟁점 - 물리 영역을 중심으로 - (Changes and Issues Regarding the Elementary Science Curriculum: Focusing on Physics)

  • 변태진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41권2호
    • /
    • pp.217-235
    • /
    • 2022
  • 본 연구는 차기 교육과정 개정을 앞둔 시점에서 지난 몇 차례 동안의 초등학교 물리 영역에서의 교육과정 변화를 분석하고 초등 과학 교육과정의 쟁점을 논의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제7차 교육과정부터 2015 개정 교육과정까지 내용 요소의 변화를 분석하고, 2015 개정 교육과정 이후 수행된 교육과정 연구들을 살펴보았다. 더불어 물리교육 전공 교수 3인이 교육과정 분석 결과에 대해 논의하였다. 연구 결과 제7차 교육과정 이후의 초등 물리 교육과정은 전반적으로 내용이 축소되거나 어려운 개념들이 삭제하거나 상위 학교급으로 이동하는 형태로 변화가 이루어졌다. 과학 교육과정 쟁점은 현 교육과정의 내용 적정성과 난이도, 수학 교과와의 연계성, 누리과정과 초등 1,2학년 통합 교육 과정과 연계문제, 성취기준 서술어 문제를 다루었다.

수준별 교육과정의 적용에 따른 수학과 심화 보충 과정과 특별 보충 과정의 내용 선정 및 교수-학습 자료 구성 방향 - 중학교 1학년 1학기 수학과 내용을 중심으로 - (The Supplemental and Enriched Course, and Special Remedy Course for Differentiated Curriculum of Mathematics)

  • 박경미;임재훈
    • 대한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학연구
    • /
    • 제8권1호
    • /
    • pp.199-216
    • /
    • 1998
  • One of the main features of the 7th revised national curriculum is the implementation of a 'Differentiated Curriculum'. Differentiated Curriculum is often interpreted as meaning the same as 'tracking' or 'ability grouping' in western countries. In the 7th revised curriculum, mathematics is organized and implemented by 'Level-Based Differentiated Curriculum'. To develop mathematics textbooks and teaching-and-learning materials for Differentiated Curriculum, the ideas of 'Enriched and Supplemental Differentiated Curriculum'need to be applied, that is, to provide advanced contents for fast learners, and plain contents for slow learners. Level Based Differentiated Curriculum could be implemented by ability grouping either between classes or within classes. According to these two exemplary models, the implementation models for supplemental course and enriched course are determined. The contents for supplemental course are comprised of minimal essential elements selected from the standard course at a decreased level of complexity and abstraction. The contents of enriched courses are focused on various applications of mathematical knowledge in the real world. Special remedy course will be offered to extremely underachieved students, The principles of developing teaching-and-learning material for special remedy course were obtained from the histo-genetic principle, progressive mathematizing principle, and constructivism.

  • PDF

중등 과학교과서에서 증발, 끓음의 설명에 제시된 개념간의 관련 정도 분석 (Analysis of Concepts Related to Explanations of Evaporation and Boiling in Secondary School Science Textbooks)

  • 백성혜;정애경;고영환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429-441
    • /
    • 2004
  • 이 연구에서는 6차와 7차 교육과정에서 개발한 중 고등학교 과학 교과서에 제시된 증발과 끓음의 설명과 관련된 개념들을 분석하였다. 교과서의 설명 유형은 중학교과 고등학교, 6차와 7차 교육과정, 그리고 과목이나 단원에 따라 구분하여 설명의 다양성을 확인해 보고, 설명에 사용된 개념간의 관계를 표현한 맵을 중심으로 특징을 비교하였다. 증발과 끓음에 관련된 설명의 차이는 주로 중학교과 고등학교 사이, 그리고 화학과 지구과학 분야 사이에서 발견되었다. 증발과 끓음 현상을 설명하기 위한 주요 개념들 사이의 관련성은 부족산 것으로 나타났다.

제7차 초등학교 $3{\sim}6$학년 과학 교과서에 제시된 외적 표상들의 활용 실태 분석 (Analysis on the Uses of the External Representations in the $3{\sim}6th$ Grade Science Textbooks Developed Under the 7th National Curriculum)

  • 강훈식;윤지현;이대형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27권2호
    • /
    • pp.158-169
    • /
    • 2008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uses of the external representations in the $3{\sim}6th$ grade science textbooks developed under the 7th National Curriculum on the basis of the theories and the research results on learning with the multiple representation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frequencies of the macroscopic external representations were higher than those of the symbolic external representations. The external representations with drawing and/or writing, especially writing, were used more frequently than those without drawing and/or writing. However, the most of the external representations were rarely used according to the principles and/or the theories (e.g., personalization principle, dual coding theory, cognitive load theory, and social constructivism theory) for effective uses of the multiple external representations in the science textbooks. The present study provides the guideline to establish the effective uses of the external representations in the science textbooks that not only meet learners but also teachers.

  • PDF

교육과정 변천에 따른 초등 과학 교과서 텍스트에 대한 체계기능언어학적 분석 (The Systemic Functional Linguistics Analysis of Texts in Elementary Science Textbooks by Curriculum Revision)

  • 맹승호;김혜리;김찬종;이정아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242-252
    • /
    • 2007
  • 이 연구는 교수요목기부터 7차 교육과정까지의 모든 과학(자연) 교과서에서 공통적으로 제시되는 '기압'과 '바람'을 다루는 텍스트를 체계기능언어학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관념적 메타기능 측면에서 과학적 정보를 많이 담고 있는 텍스트는 교육과정 개정에 따라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대부분의 정보의 형태는 '원리'보다는 '정의'와 '사실'이었다. 상호적 메타기능 측면에서 학생과 텍스트 사이의 거리는 점점 줄어들었으며, 학생들의 사회적 지위는 교육과정 개정에 따라 점차적으로 고려되었다. 구성적 메타기능 측면에서 전문적 용어와 기호의 비율은 감소 추세에 있었으나, 과학 교과서에서 텍스트양 또한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초기에는 문장에 주어가 제시되었으나, 시간이 흐르면서 주어가 생략되었다. 또한 주어와 문장 첫 구의 일치율은 7차의 교과서 텍스트에서 그 일치도가 현저히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제7차 선택중심 교육과정의 운영 실태 (The Operational Status of the 7th Elective-Centered Curriculum)

  • 국동식;이상기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26권8호
    • /
    • pp.771-776
    • /
    • 2005
  • 이 연구의 목적은 제7차 교육과정의 선택 중심 교육과정에 관한 학생들에 인식과 그 운영실태의 문제점을 알아보는데 있다. 대상은 고등학교 3개교의 10, 11학년(485명)이며 결과는 다음과 갔다. 첫째, 학생이 장래 직업에 대한 확고한 결정이 없이(29%), 선택 중심 교육과정에 대하여 충분히 교육을 받지 못하거나(45%) 선택 중심 교육과정에 대한 정확한 내용을 인지하지 못한(25%) 상태에서 교과 선택이 이루어지고 있다. 둘째, 학생들은 선택 중심 교육과정에 대한 필요성에 긍정적(65%)이거나, 수업에 대한 참여도가 높아졌다(96%)고 생각하고 있어 선택 중심 교육과정에 대한 긍정적인 생각을 가진 것으로 나타났으나, 선택 중심교육과정에 대한 실현 가능성에는 39%의 학생들만이 긍정적인 생각을 가지고 있었다. 셋째, 학생들은 대학 진학의 필요성에 따라 교과를 선택하고(48%), 대학에 진학하기 위하여 자신이 원하는 교과를 모두 선택할 것이라고 응답하였다(41%). 넷째, 과학 과목의 선택은 화학 40%, 생물 25%, 물리 22%, 지구과학 13%순으로 나타났으며, 자신이 선택한 교과목을 바꿀 수도 있다고 생각한 학생이 74%이다. 위의 결과는 학생들이 7차 교육과정의 취지는 인식하고 있으나 과학과목의 선택에서는 자신의 장래나 적성이 고려되지 않고 대학 진학에 따른 해당 대학의 요구와 학교 헌장의 과학교사 분포에 좌우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제7차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학교 과학과 학습자료의 분석 (An Analysis of the Learning Materials in the Elementary School Science According to the 7th Curriculum)

  • 최도성;김명호;김정길;김석중;송판섭;한광래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23권4호
    • /
    • pp.305-317
    • /
    • 2004
  • The learning materials in elementary school science textbooks should include all kinds of materials being used by both teachers and students in the science teaching. The major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analysis textbooks and teacher's guidebooks prepared for the science teaching of 3-6 grade students. To clarify this research, we listed whole of the learning materials of science teaching for each grade and counted numbers being used for whole of the lessons of science. And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and the methods of its preparation of materials, the types of learning materials can be divided into 10 categories such as teaching equipments for science, test materials, consumables, audio-visual aids, teaching equipments in general, collecting' recycling materials, field studies' collected data, breeding' cultivation materials, manufacture materials, and etc. At the result of this research, the 7th national science curriculum needs total 844 items of learning materials for science education. They could be separated into ten types of categories such as 159 items of teaching equipments for science, 65 items of test materials, 116 items of consumables, 198 items of audio-visual aids, 64 items teaching equipments in general, 31 items of collecting' recycling materials, 38 items of field studies (collecting) materials, 17 items of breeding-cultivation materials, 58 items of manufacturing materials, 105 items of other materials. And we found out that there were 332 items of materials for the 3rd grade, 303 items for the 4th grade, 324 items for the 5th grade, and 254 items for the 6th grade. The result of this research could be useful for classroom activities for science teaching.

  • PDF

중학교 가정(기술·가정)교과 식생활 영역의 핵심 교육내용 분석 - 제1차 교육과정부터 2009개정 교육과정의 교과서 내용을 중심으로 - (Content Analysis of Food and Nutrition unit in Middle School Textbooks of Home Economics - Focus on the National Curriculums from 1st to 2009 revised)

  • 장윤미;김유경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93-112
    • /
    • 2018
  • 제1차부터 2009개정 교육과정까지 교육과정의 변천에 따른 식생활 영역의 변화를 살펴보기 위하여 핵심 교육 내용, 내용 특성, 식생활 영역의 비중을 분석하였다. 텍스트 마이닝 기법을 이용한 워드 크라우드 분석을 통하여 가정교과서 40권에 기술된 식생활 영역의 내용으로부터 핵심단어를 추출하였고, 식생활 영역의 비중은 전체 가정교과서에서 식생활 영역에 해당하는 면수의 비율로 계산하였다. 전 교육과정에 걸쳐 가장 많이 등장하는 주요 핵심단어는 '식품'·'음식'·'식사'였다. 제1, 2차 교육과정에서는 식재료와 조미료, 식품에 함유된 '비타민', '단백질' 등의 영양소가 주요 핵심단어로 추출되었고, 제3차 교육과정부터 '영양'·'섭취'·'필요' 제6차 교육 과정에서 '분량', 제7차 교육과정부터 '식단'·'청소년' 등이 핵심단어로 등장했다. 식생활 영역이 가정교과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평균 24.3%였으며, 제6차(29.7%) 및 제7차(31.8%) 교육과정에서 가장 높았고 2009개정 교육과정에서는 15.2%로 크게 감소했다. 아울러 식생활 영역의 구성을 살펴보면 제2차와 3차 교육과정에서 10개를 상회하던 식생활영역의 중영역의 수가 2009개정 교육과정에서는 중영역이 없어지고 소영역 2개로 축소되었다. 1차부터 2009개정 교육과정까지 식생활영역의 교육내용은 점진적으로 구체화되고 시대적 요구와 변화를 반영하고 있었다. 다만 2009개정 교육과정에서 식생활 영역의 비중이 대폭 축소되면서 교과서에 관련내용에 대한 정보와 설명이 부족하여 식생활 교육에 대한 질적 저하가 우려된다.

제 7차 교육과정 개정을 위한 가정계 고등학교 교육과정 체제 및 구조 개선 연구

  • 김경애;윤인경;장명희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65-79
    • /
    • 1996
  • This study proposes a model curriculum for Vocational Home Economics High School in the 7th Curriculum Revision. The model in the study is first drawn from the assumptions that reflect ever changing demands of industrial society for Home Economics education. Another perspective employed in the study is historical analysis that focuses on the evolution of the Vocational Home Economics Curricula from the 1st through the 6th revision. This study also employes comparative research tools for the national level comparison such as USA, Japan, Taiwan, and Korea. The proposed model curriculum in this study is concluded from those step-by-step studies as follows:1) Problem definition and design in current curriculum for Vocational Home Economics high school; 2) Needs and roles analysis of Vocational Home Economics high school for the future; and 3)Historical analysis of our curriculum revisions in the past and coparative analysis with other countries. Authors conducted this research project for 3 month period from June 15, 1996 to September 15, 1996. During this period, authors collected the data and information through those method as an extensive literature review, survey and interview, and curriculum specialist conference. The key and critical features of the proposed curriculum in the study are as follows:1) In the numbers of department, a proposed model curriculum offers 8 as opposed to 6 in the 6th revision, reflecting two additional departments of “Elderly Welfare”and “Cosmotology”. 2) In the statement of educational objectives, a model curriculum emphasizes a more concrete statement to each specific skills according to the changing societal needs. 3) In the numbers of total subject matters, there would be 40 in the new as opposed to 23 in the current curriculum. Among these changes, 17 would occurr in the newly introduced subject matters, while 11 would simply change the subject matter name. Among 40 subject matter, “Introduction to Computer” and “Home Economics in Vocational Education”would be required subject matter. 4) In the total numbers of required unit for graduation in three years, a model offers 86∼132 unit. A maximum unit for each subject matter would be 12.

  • PDF

ICT 통합에 의한 초·중등 교육과정의 재구성 방향 탐색 (A Study of the Restructuring K-12 Curriculum by the Integration of ICT)

  • 서유경;이준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7권3호
    • /
    • pp.23-33
    • /
    • 2004
  • 본 연구는 지식기반사회의 필수적 요소인 ICT가 초 중등교육에 있어서 단순한 도구적 위치가 아닌 초 중등 교육과정 전체 체계 속에서 위상과 역할이 재정비되어야 한다는 관점에서 교육과정과 ICT를 통합하는 방안을 탐색하였다. 우선적으로 현행 교육과정에 ICT가 어떻게 수용되어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현행 7차 교육과정 개정의 의도와 배경에는 지식기반사회의 관점을 포함하고 있으나 실질적인 교육과정 총론의 구성에는 반영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이와 함께 교육과정과 ICT 통합의 의미를 짚어보고, 그 원리를 ICT가 교육과정 구성 변인으로서 갖는 역할에서 찾아보았다. 마지막으로 ICT를 통합할 때에 현행 교육과정이 어떻게 변화해야 할지를 ICT 통합적 관점에서 유형화하여 제시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