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Systemic Functional Linguistics Analysis of Texts in Elementary Science Textbooks by Curriculum Revision

교육과정 변천에 따른 초등 과학 교과서 텍스트에 대한 체계기능언어학적 분석

  • Published : 2007.04.30

Abstract

This study analyzed the science texts covering 'air pressure' and 'wind' in common with every curriculum from the syllabus period to the $7^{th}$ curriculum in terms of Systemic Functional Linguistics. Important findings revealed in this study were as follows: In the aspect of ideational metafunction, the texts including much scientific information were reduced by curriculum revision. Most forms of information were 'definition' and 'fact' rather than 'principle'. In the aspect of interpersonal metafunction, the gap between students and texts were getting closer and the social position of students were concerned gradually by curriculum revisions. In the aspect of textual metafunction, the ratios of technical terminology and notation were reduced, however the amount of texts in science textbooks were reduced as well. While the subject was presented in the early texts, it was omitted as time went on. The consistency of subject and theme were reduced in the $7^{th}$ curriculum remarkably.

이 연구는 교수요목기부터 7차 교육과정까지의 모든 과학(자연) 교과서에서 공통적으로 제시되는 '기압'과 '바람'을 다루는 텍스트를 체계기능언어학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관념적 메타기능 측면에서 과학적 정보를 많이 담고 있는 텍스트는 교육과정 개정에 따라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대부분의 정보의 형태는 '원리'보다는 '정의'와 '사실'이었다. 상호적 메타기능 측면에서 학생과 텍스트 사이의 거리는 점점 줄어들었으며, 학생들의 사회적 지위는 교육과정 개정에 따라 점차적으로 고려되었다. 구성적 메타기능 측면에서 전문적 용어와 기호의 비율은 감소 추세에 있었으나, 과학 교과서에서 텍스트양 또한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초기에는 문장에 주어가 제시되었으나, 시간이 흐르면서 주어가 생략되었다. 또한 주어와 문장 첫 구의 일치율은 7차의 교과서 텍스트에서 그 일치도가 현저히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Keywords

References

  1. 교육부 (1997). 자연 5-1 국정교과서주식회사
  2. 교육인적자원부 (2002) 과학 6-2. 대한교과서주식회사
  3. 김영수, 임수진 (1997) 과학 및 생물 교과서의 생 물 용어 분석과 생물 용어 난이도에 대한 학생과 교사의 인식 조사. 한국생물교육학회지, 25(1), 89-103
  4. 김현아 이동준, 이준규 (2006). 중학교 과학교과서 생명의 연속성 관련 단원의 개념 수준과 구성 체제 분석. 한국생물교육학회지, 34(3), 342-354
  5. 노태희, 차정호, 왕혜남 (2004). 7차 초등학교 과학 교과서의 삽화에 나타난 성역할 고정관념 분석. 초등과학교육, 23(1), 85-91
  6. 문교부 (1953). 과학공부 5-1. 대한문교서적주식회사
  7. 문교부 (1959). 자연 5-2. 대한문교서적주식회사
  8. 문교부 (1965). 자연 5-1. 국정교과서주식회사
  9. 문교부 (1973). 자연 5-1. 국정교과서주식회사
  10. 문교부 (1983). 자연 5-1. 국정교과서주식회사
  11. 문교부 (1990). 자연 5-1. 국정교과서주식회사
  12. 박인근, 정양선 (2005). 한국. 일본. 대만의 중등학교 과학교과서 생물학 용어의 비교. 한국생물교육학회지, 33(1), 33-54
  13. 송판섭, 김정덕, 문병찬 (2003). 제6차와 제7차 교육 과정의 슬기로운 생활 교과서 삽화 비교 분석-1학년 교과서를 중심으로. 초등과학교육, 22(3), 251-259
  14. 이상현, 최규상 (2000). 중학교 과학교과서에 나타난 물리용어에 대한 선호도 및 이해도 조사. 새물리, 41(5), 279-286
  15. 이선희, 이지연, 정병갑 (2003). 제6,7차 교육과정에 따른 중학교 과학 교과서의 체제 및 내용 분석. 한국생물교육학회지, 31(1), 24-41
  16. 이화자 (1989). M A. K. Halliday's language theory and its implications on literacy instruction. 응용언어학, 2, 25-47
  17. 전경문, 박현주, 노태희 (2004). 고등학교 과학교과 서의 과학의 탐구 단원에 제시된 과학사 내용분석:6 차와 7차 비교.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4(5), 825-832
  18. 정화숙, 박현숙, 임영진, 김자림 (2005) 제7차 교육 과정에 의한 중등 과학 교과서의 광합성 영역에 대한 용어와 탐구의 연계성 분석. 한국생물교육학회지, 33(2), 196-208
  19. 최봉영 (2005). 한국 사회의 차별과 억압: 존비어 체계와 형식적 권위주의. 서울: 지식산업사
  20. 최영란, 이형철 (1998). 초등학교 자연 교과서의 삽 화 분석. 초등과학교육, 17(2). 45-53
  21. Bernstein, B. (1996). Pedagogy, symbolic control and identity: Theory, research, critique. London: Taylor and Francise
  22. Bloor, T., & Bloor, M (2004). The functional analysis of English (2nd ed.). New Yok: Arnold Publisher
  23. Cardinal, L. A. (1992). Using explication to improve vocabulary acquisition. The American Biology Techer, 54(3), 291-292 https://doi.org/10.2307/4449481
  24. Cobley, P. (2001). Introducing semoitics (2nd ed.). Cambridge: Totem Books
  25. Dimopoulos, K., Koulaidis, V., & Matiatos, S. (2006). Textual analysis of a science center: Expressive modes and positioning implications. The 9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Public Communication of Science and Technology, Seoul. 542-548
  26. Eggins, S. (2004). An introduction to systemic functional linguistics (2nd ed.), London: Continuum
  27. Fang, Z. (2005), Scientific literacy: A systemic functional linguistics perspective. Science Education, 89(2), 335-347 https://doi.org/10.1002/sce.20050
  28. Lemke, J. L. (J990). Talking science: Language, learning, and values. NJ: Alex Publishing Corporation
  29. Halliday, M A. K. (J985). An introduction to functional grammar. London: Edward Arnold
  30. Halliday, M A. K., & Hasan, R. (J985). Cohesion in English. London: Longman
  31. Halliday, M A. K., & Martin, J. R. (J993). Writing science: Literacy and discursive power, London: The Falmer Press
  32. Halliday, M. A. K., & Matthiessen, C. M. I. M. (2004). An introduction to functional grammar. (3rd ed.). London: Arnold
  33. Storey, J. (J993). An introductory guide to cultural theory and popular culture. Athens: University of Georgia Press
  34. Wellington, J., & Osborne, J. (2001), Language and literacy in science education. PA: Open University press
  35. Yager, R. E. (1983). The importance of terminology in teaching K-12 science.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20(6), 577-588 https://doi.org/10.1002/tea.36602006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