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15267/keses.2022.41.2.217

Changes and Issues Regarding the Elementary Science Curriculum: Focusing on Physics  

Byun, Taejin (Gwangju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Publication Information
Journal of Korea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 v.41, no.2, 2022 , pp. 217-235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changes in the physics curriculum of elementary schools over the past years and to discuss the issues faced by the science curriculum for elementary education prior to the next curriculum revision. We analyzed changes in the elements of the contents from the 7th curriculum to the 2015 revised curriculum and reviewed studies conducted after the revision in 2015. Additionally, three professors majoring in physics education discussed the results of the curriculum analysis. The result indicates that content of the physics curriculum for elementary education was generally reduced after the 7th curriculum. Specifically, difficult concepts were omitted or designated to a higher school level. Concerns related to the science curriculum pertain to the content adequacy and difficulty of the current curriculum, its relationship with mathematics, connection between the Nuri curriculum and the integrated curriculum for the 1st and 2nd grades, and the achievement standard predicate problem.
Keywords
science curriculum; physics curriculum; elementary school; achievement standards;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1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주형미, 김종윤, 배화순, 변희현, 유금복, 서지영, 장근주, 박소영, 배주경(2020).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초,중학교 교과 교육내용의 적정성 분석: 수학, 과학(RRC 2020-6-2).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 교육부(2015b).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총론. 교육부 고시 제2015-74호 [별책 1]. 교육부.
3 김정애, 노석구(2003). 제7차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학교 3, 4학년 과학 교과서의 체제와 내용에 대한 인식 조사. 초등과학교육, 22(1), 37-50.
4 김동국(2013). 초등 사회과 역사영역 성취기준 분석에 따른 대안 제시. 역사교육연구, 17, 47-86.
5 김윤화, 유준희(2019). 자생적 온라인 교사 공동체의 질문분석을 통한 초등교사의 과학 교수 관련 어려움 탐색 -인디스쿨의 물리 관련 질문 게시글을 중심으로-.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9(1), 73-88.   DOI
6 김인숙, 장정운(2016). 도시와 농촌지역 초등학생들의 굴절상태 비교에 관한 연구. 한국안광학회지, 21(2), 147-152.   DOI
7 김주희, 강은주, 박종호(2021). 유치원과 초등학교 교육과정에 나타난 과학교육 내용의 연계성 분석, 40(3), 295-310.
8 김현정(2020).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 초등학교 3~4학년 운영 실태 분석. 현장과학교육, 14(3), 307-320.   DOI
9 동효관, 하소현, 김용진(2015). 미국 차세대과학표준(NGSS) 수행기대와 한국 과학교육과정 성취기준의 비교 분석. 교육연구, 64, 95-125.   DOI
10 박준형, 전영석(2020). 초등학교에서 무게와 질량 단위도입의 문제에 대한 고찰, 새물리, 70(7), 603-612.
11 변태진(2021). 과학과 역량 및 기능 체계화 방안에 대한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1(17), 545-564.
12 변태진, 이해영, 김종윤(2019). 물리와 역사 교육과정 성취기준 서술어에 대한 물리 교사와 역사 교사의 해석비교 연구. 교육과정평가연구, 22(3), 61-86.   DOI
13 신상민(2012). 초등학교 7차 교육과정과 2007년 개정교육과정의 과학 교과서 물리 영역 비교 분석.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4 교육부(2015a). 과학과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2015-74호 [별책 9]. 교육부.
15 교육부(1997b). 초등학교 교육과정 총론. 교육부 고시 제1997-15호 [별책 2]. 교육부.
16 황윤세(2012). 유치원과 초등학교의 새 교육과정에 대한 통합적 관점에서의 연계성 분석. 유아교육연구, 32(5), 569-345.
17 장영록, 강남화, 강석철, 고선영, 곽영순, 권홍진, 김기상, 김명화, 김순욱, 김율, 김재우, 김해동, 김현경, 김현정, 나지연, 민병욱, 박권태, 박병철, 박상희, 박선영, 박창용, 박현주, 방담이, 변태진, 손정우, 송진웅, 신영준, 심규철, 안종제, 안필헌, 오상욱, 오원근, 윤혜경, 이기영, 이명제, 이미경, 이미하, 이양락, 이용철, 이인호, 이준규, 이한민, 이현숙, 임혁, 장신호, 전화영, 정원선, 좌용주, 최임정, 최중철, 최현동, 최호성, 현종오, 홍준의, 황의욱, 황인신(2015). 2015 과학과 교육과정 시안 개발 연구. 한국과학창의재단.
18 차조일, 안유민, 변태진(2019). 통합사회, 통합과학 교수학습 및 평가 개선 방안 모색 (RRI 2019-2). 한국교육과정평가원.
19 최성진, 조성연(2015). 0-2세 표준보육과정, 3-5세 누리과정, 초등 통합교과과정 과학교육내용의 연계성 분석. 교과교육학연구, 19(1), 69-91.   DOI
20 최혜윤(2020). 2019 개정 누리과정과 초등학교 통합교과과정 과학교육 내용의 연계성 분석연구: 과학개념을 중심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0(16), 341-363.
21 Ausubel, D. P. (2000). The acquisition and retention of knowledge: A cognitive view. Kluwer Academic Publishers. ISBN 9780792365051.
22 OECD (2003). Definition and selection of competencies: Theoretical and conceptual foundation. OECD Press.
23 Redish, E. F. (2005). Problem solving and the use of math in physics courses. World View on Physics Education in 2005: Focusing on Change, 21-26 Aug, Delhi.
24 박은규(2008). 초등학생들의 굴절이상과 시력과의 관계. 한국안광학회지, 13(4), 141-143.
25 정미경, 김경자(2006). 교사의 교육과정 변화 능력(change capacity) 함양을 위한 적응적 전문성(adaptive expertise) 신장방안. 교육과학연구, 37(3), 25-45.
26 교육인적자원부(2007a). 과학과 교육과정. 교육인적자원부 교시 제2007-79 [별책 9]. 교육인적자원부.
27 송진웅, 강석진, 곽영순, 김동건, 김수환, 나지연, 도종훈, 민병곤, 박성춘, 배성문, 손연안, 손정우, 오필석, 이준기, 이현정, 임혁, 정대홍, 정용재, 정종훈, 김진희(2019). 미래세대 과학교육표준. 서울: 한국과학창의재단.
28 이재봉, 남경운, 손정우, 이성묵(2004). 광선추적과 스펙트럼에 대한 교사와 중학생의 개념 유형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4(6), 1189-1205.
29 이채영, 조경진(2022). 제4차 표준보육과정, 2019 개정 누리과정, 2015 개정 초등학교 통합교과과정 과학교육 내용의 연계성 분석. 미래유아교육학회지, 29(1), 105-132.
30 전승준, 고훈영, 이영식, 곽영순, 최성연, 강훈식, 박민아(2017). 모든 한국인을 위한 과학 개발. 한국과학창의재단.
31 조광희(2015). 초, 중학교 과학과 교육과정의 내용 진술에 사용된 서술어 비교: 제7차 교육과정 이후를 중심으로. 과학교육연구지, 39(2), 239-254.   DOI
32 곽영순(2016). 과학과 역량중심 교육과정. 교육과학사.
33 곽영순, 구자옥, 김미영, 손정우, 노동규(2013). 미래 사회대비 국가 수준 교육과정 방향 탐색: 과학(CRC2013-23). 한국교육과정평가원.
34 곽향림(2006). 초등과학교육과의 연계를 위한 유아과학 교육내용에 관한 연구. 유아교육학논집, 10(3), 211-236.
35 교육과학기술부(2009).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총론. 교육과학기술부 고시 제2009-41호 [별책 1]. 교육과학기술부.
36 교육과학기술부(2011). 과학과 교육과정. 교육과학기술부 고시 제2011-361호 [별책 9]. 교육과학기술부.
37 교육부(2015c). 수학과 교육과정 총론. 교육부 고시 제2015-74호 [별책 8]. 교육부.
38 조헌국(2021).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의 에너지 관련 내용에 대한 과학적 관점에서의 접근: 초등학교 3~6학년 군을 중심으로. 에너지기후변화교육, 11(3), 321-333.   DOI
39 교육부(2017a). 초등학교 과학 4-1 교과서. 교육부.
40 교육부(1997a). 과학과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1997-15호 [별책 9]. 교육부.
41 교육부(2017b). 초등학교 수학 3-2 교과서. 교육부.
42 교육부(2021). '2022 개정 교육과정' 총론 주요사항 발표: 더 나은 미래, 모두를 위한 교육. 2021.11.24. 보도자료.
43 교육인적자원부(2007b). 초등학교 교육과정. 교육인적자원부 교시 제2007-79 [별책 2]. 교육인적자원부.
44 김도훈, 한경희, 장덕호(2016). 2030 미래사회 인재상 및 핵심 과학역량 마일스톤 연구. 한국과학창의재단.
45 김민정(2014). 역사과 교육과정 내용체제의 대강화와 성취기준 제시 방식에 대한 재검토. 사회과교육연구, 21(3), 1-13.
46 태진순, 윤은정, 박윤배(2015). 한국, 미국, 싱가포르 물리 교과서의 학습목표에 사용된 서술어 비교.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5(3), 375-382.   DOI
47 National Research Council (NRC) (2013). Next genceration science standards. Washington, DC: National Academies Press.
48 Wallace, J., & Louden, W. (2002). Dilemmas of science teaching perspectives on problems of practice. Routled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