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ensile properties

검색결과 5,794건 처리시간 0.039초

인공신경망에 의한 스터럽 없는 FRP 콘크리트 보의 전단강도 예측 (Prediction of Shear Strength of FRP Concrete Beams without Stirrups by Artificial Neural Networks)

  • 이차돈;김원철
    • 한국콘크리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크리트학회 2008년도 추계 학술발표회 제20권2호
    • /
    • pp.801-804
    • /
    • 2008
  • FRP는 중량이 가볍고, 녹이 슬지 않으며 높은 인장 강도를 가진다. 철근에 비해 월등한 재료적 특성을 가지고 있는 FRP는 콘크리트 구조물에 철근이나 긴장재 대용으로 휨 보강재로써 널리 대체되어지고 있다. 현재 FRP 콘크리트 보의 전단강도를 산정함에 있어 설계지침들이 기존의 설계방식을 따르고 있지만 이들 설계 방식에서 제시한 식들은 매우 상이한 형태를 나타낸다. 이 연구에서는 FRP 콘크리트 보의 전단 강도를 예측하는 방법의 대안으로 인공신경망(이하 ANN) 기법을 채택하였다. 전단 강도에 미치는 영향 요소는 문헌조사에 의하여 선정된 후 ANN에 입력되었고, ANN은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얻은 극한 전단 강도를 목표 값으로 하여 학습되었다. ANN을 이용하여 얻은 결과 값과 현존하는 이론식의 값을 비교한 결과 이 연구에서 개발한 ANN은 현재 사용하고 있는 예측 이론식에 비하여 더욱 정확하게 예측하였다.

  • PDF

물결형 강섬유를 이용한 초고성능 콘크리트의 역학적 특성 평가 (The Evaluation of Mechanical Properties of Ultra High Performance Concrete with Using Steel Fiber of Wave Type)

  • 류금성;고경택;강수태;박정준;김성욱
    • 한국콘크리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크리트학회 2008년도 추계 학술발표회 제20권2호
    • /
    • pp.353-356
    • /
    • 2008
  • 초고성능 콘크리트(Ultra High Performance Concrete)는 압축강도 200MPa, 인장강도 15MPa 및 휨강도 35MPa 정도의 높은 강도 특성과 열화인자의 침투 및 확산 속도가 보통콘크리트에 비해 1/20에서 최대 1/10,000까지 낮은 고내구성을 나타내면서 동시에 슬럼프 플로우가 약 220mm 정도의 자기충전성 특성을 갖는 콘크리트이다. 또한 초고성능 콘크리트의 가장 큰 특징으로는 강섬유의 혼입함으로써 휨강도와 인성의 향상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초고성능 콘크리트의 섬유 형상에 따라 휨거동특성에 미치는 효과를 평가하였다. 그 결과 섬유 형상에 따라 휨강도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초기균열강도에는 큰 영향을 미치지 않고 물결타입의 강섬유 사용으로 최대 휨강도가 높게 나타났다.

  • PDF

DLC 코팅된 SACM645 소재의 마모 특성 (Wear Property of SACM645 Material with DLC Coating)

  • 김남석;남기우;박종남;안석환;김현수
    • 한국해양공학회지
    • /
    • 제24권6호
    • /
    • pp.76-80
    • /
    • 2010
  • Oil hydraulic piston pumps are being extensively used around the world, because of their simple design, light weight, effective cost, etc. An oil hydraulic pump is likely to have the serious problems of high leakage, friction, and low energy efficiency after a long period of use. In an oil hydraulic piston pump, the clearance between the valve block and piston plays an important role for volumetric and overall efficiency. In this study, the wear property of the SACM645 material with DLC coating used for a hydraulic piston pump was determined by experimentation with variable heat treatment. To investigate the effect according to the piston surface condition, five different types of specimens were prepared. The maximum tensile strengths of the QT and QT Nitration specimens had similar values of about 800 MPa, but the strains indicated a big difference. In a wear test, the wear characteristic of the DLC coating specimen was shown to be excellent. The QT, QT + IH, QT + Nitration, and matirx specimen showed similar wear characteristics. In the case of a dry condition without oil, the DLC coating specimen had good wear resistance, with no wear shown.

제면 적성 시험을 위한 쌀국수 제조 방법 (A Rice Noodle Making Procedure for Evaluating Rice Flour Noodle-Making Potential)

  • 최수영;조준현;고봉경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1권12호
    • /
    • pp.1823-1829
    • /
    • 2012
  • 국내에서 육종된 쌀 품종들의 제면성을 시험하기 위하여 실험실 규모의 소규모(시료 쌀가루 100 g 이하)로 실험이 가능한 표준화된 쌀국수 제조 방법을 개발하였고, 이 방법에 따라서 제조된 국수의 품질을 평가하여 제면성이 우수한 품종을 판별하였다. 쌀국수를 제조하는 두 가지 방법 가운데 압출 면은 반죽의 수분 첨가량에 비교적 예민하지 않아서 수분 첨가량 결정이 용이한 방법이었으나 세절 면은 수분 첨가량에 따라서 제조과정에서 면대 형성이 달라지므로 수분 첨가량을 가루의 수분 흡수력에 따라서 조절해야 한다. 제조방식에 따라서 국수의 물성에는 차이가 있지만 Chenmaai가 두 가지 방법 모두에서 가장 우수한 제면 적성을 나타내었다. 제면성이 우수한 품종일 경우 제분 방법에 비교적 영향을 적게 받으며 제면 방법에 관계없이 우수한 품질의 면을 만들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Chenmaai는 두 가지 제면방법에 따라서 제면하였을 때 조리 손실률이 가장 낮고 조리된 면의 탄성이 높아서 우수한 제면 적성을 나타내었다. Goamibyeo는 제면용으로 국내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어 익히 잘 알려져 있으나(8,13), 초 다수성인 Chenmaai도 제면용으로 사용하면 경제성과 더불어 우수한 제면용 쌀로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고온 고분자 연료전지용 인산 도핑 폴리(2,5-벤지이미다졸) 막의 제조 및 특성 (Synthesis and Characterization of Phosphoric Acid-doped Poly (2,5-benzimidazole) Membrane for High Temperature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Fuel Cells)

  • 쑤언 히엔 니구엔;아난타 쿠마르 미쉬라;최지선;김남훈;이중희
    • 한국수소및신에너지학회논문집
    • /
    • 제23권1호
    • /
    • pp.26-33
    • /
    • 2012
  • Phosphoric acid-doped poly (2,5-benzimidazole) (DABPBI) was prepared by condensation polymerization of 3,4-diaminobenzoic acid for high temperature proton electrolyte membrane fuel cells. The membranes were casted directly using a hot-press unit and characterized by fourier transform infrared spectroscopy, thermogravimetric analysis, conductivity measurement,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and tensile test. The proton conductivities of DABPBI are observed to be 0.062 and 0.018 $S{\cdot}cm^{-1}$ under 30 and 1% relative humidity, respectively at a temperature of $120^{\circ}C$ which is appreciably higher than that of Nafion 115 under similar conditions. The DABPBI membrane has demonstrated excellent thermo- mechanical properties and proton conductivity suggesting its suitability as a high temperature membrane.

Effects of differently hardened brass foil laminate on the electromechanical property of externally laminated CC tapes

  • Bautista, Zhierwinjay;Shin, Hyung-Seop;Mean, Byoung Jean;Lee, Jae-Hun
    • 한국초전도ㆍ저온공학회논문지
    • /
    • 제18권4호
    • /
    • pp.21-24
    • /
    • 2016
  •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REBCO coated conductor (CC) wires under uniaxial tension are largely determined by the thick component layers in the architecture, namely, the substrate and the stabilizer or even the reinforcement layer. Depending on device applications of the CC tapes, it is necessary to reinforce thin metallic foils externally to one-side or both sides of the CC tapes. Due to the external reinforcement of brass foils, it was found that this could increase the reversible strain limit from the Cu-stabilized CC tapes. In this study, the effects of differently hardened brass foil laminate on the electromechanical property of CC tapes were investigated under uniaxial tension loading. The tensile strain dependence of the critical current ($I_c$) was measured at 77 K and self-field. Depending on whether the $I_c$ of CC tapes were measured during loading or after unloading, a reversible strain (or stress) limit could be determined, respectively. The both-sides of the Cu-stabilized CC tapes were laminated with brass foils with different hardness, namely 1/4H, 1H and EH. From the obtained results, it showed that the yield strength of the brass laminated CC tapes with EH brass foil laminate was comparable to the one of the Cu-stabilized CC tape due to its large yield strength even though its large volume fraction. It was found that the brass foil with different hardness was mainly sensitive on the stress dependence of $I_c$, but not on the strain sensitivity due to the residual strain induced in the laminated CC tapes during unloading.

혼화재를 혼입한 투수콘크리트의 물리적 특성 (Physical Properties of Porous Concrete Using Admixtures)

  • 채창우
    •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
    • 제14권2호
    • /
    • pp.257-265
    • /
    • 2002
  • 투수콘크리트는 보통 10~20%의 공극으로 인하여 비교적 높은 투수성을 가진 건축재료로 국내에는 1980년대 초에 알려졌으나 정형화된 배합의 부재, 낮은 강도와 내구성 등의 문제로 아직까지는 널리 사용되지 못하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투수 콘크리트의 물리적 특성을 만족시키면서 건설현장에 적용 가능한 고성능 투수콘크리트를 제조함과 아울러 일정한 수줄이상의 품질을 확보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혼화재를 혼입한 투수콘크리트의 물리적 특성에 관한 본 연구의 결과로, 압축강도 범위는 132~221 kgf/$\textrm{cm}^2$, 인장강도 범위는 15~25 kgf/$\textrm{cm}^2$, 휨강도 범위는 36~54 kgf/$\textrm{cm}^2$, 투수계수 범위는 1.05$\times$$10^{-1}$~ 9.20$\times$$10^{-2}$ cm/sec로 나타났다. 향후, 최대골재크기의 변화 또는 기타 혼화재의 사용 등 배합인자에 대한 다양한 검토를 통하여 계속적인 고성능 투수콘크리트의 개발이 요구되어진다.

3개의 캐비티를 가지는 냉장고 내상의 3차원 진공 열성형 해석 (Three-Dimensional Thermoforming Analysis of an Inner Case with Three Cavities for Refrigerator)

  • 이호진;안동규;이상훈;기준철;고재홍
    • 대한기계학회논문집A
    • /
    • 제40권5호
    • /
    • pp.505-511
    • /
    • 2016
  • 이 연구에서는 3차원 진공 열성형 해석을 통하여 3개의 캐비티를 가지는 냉장고 내상의 진공 열성형 특성을 분석/고찰 하고자 한다. 3개의 캐비티를 가지는 냉장고 내상 금형의 3차원 모델을 이용하여 냉장고 내상 제품의 기초 성형성을 분석하였다. 고온 인장시험을 수행하여 진공 열성형 재료에 대한 물성데이터 도출과 재료 특성 분석을 하였다. 3개의 캐비티를 가지는 냉장고 내상의 열성형 공정의 세부 공정들을 설계하고 세부 공정들에 적합한 유한요소해석 모델을 개발하였다. 각 세부 공정들에 대한 3차원 유한요소해석을 수행하여 제품의 변형 형상 및 두께 분포를 분석하였다. 최종적으로 3개의 캐비티를 가지는 냉장고 내상의 성형성과 진공 열성형 특성을 고찰하였다.

열가소성 유리섬유/PP 복합재의 반구돔 열성형 평가 및 비직교 구성방정식을 이용한 FEM 수치해석 (Half-dome Thermo-forming Tests of Thermoplastic Glass Fiber/PP Composites and FEM Simulations Based on Non-orthogonal Constitutive Models)

  • 이원오
    • Composites Research
    • /
    • 제29권5호
    • /
    • pp.236-242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유리섬유/폴리프로필렌 기반의 열가소성 복합재의 열성형 시험 평가를 위해, 성형온도에서의 인장 및 면내 전단 물성 시험을 실시하였고, 이를 비직교 구성방정식을 이용하여 정량화 하였다. 이를 통해 실험값과 잘 일치하는 고온에서의 인장 및 전단 물성값을 수식화하여 얻을 수 있었다. 열성형 시험을 위해 반구돔 시험을 실시하였고, 이형제 사용 유무 및 홀더의 무게를 달리해가며 성형품의 최종형상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 이형제를 사용하면 성형품의 대칭성이 확보되고 주름 개선 효과에 유리하다는 것을 확인하였고, 적당한 힘의 홀딩력 제어가 필수적이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더 나아가 비직교 구성방정식이 고려된 열성형 수치해석을 실시하여 실험 결과와 유사한 양상을 확인할 수 있었고, 홀딩력이 낮을 수록 주름이 많아지고, 마찰력이 클수록 더 많은 펀치력을 필요로 함을 확인하였다.

구리-크롬 소결단조 합금의 크롬 함유량 변화에 따른 동적 물성특성 (Dynamic Material Property of the Sinter-Forged Cu-Cr Alloys with the Variation of Chrome Content)

  • 송정한;허훈
    • 대한기계학회논문집A
    • /
    • 제30권6호
    • /
    • pp.670-677
    • /
    • 2006
  • Vacuum interrupters are used in various switch-gear components such as circuit breakers, distribution switches, contactors. The electrodes of a vacuum interrupter are manufactured of sinter-forged Cu-Cr material for good electrical and mechanical characteristics. Since the closing velocity is 1-2m/s and impact deformation of the electrode depends on the strain-rate at the given velocity, the dynamic material property of the sinter-forged Cu-Cr alloy is important to design the vacuum interrupter reliably and to identify the impact characteristics of a vacuum interrupter accurately. This paper is concerned with the dynamic material properties of sinter-forged Cu-Cr alloy for various strain rates. The amount of chrome is varied from 10 wt% to 30 wt% in order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the chrome content on the dynamic material property. The high speed tensile test machine is utilized in order to identify the dynamic property of the Cu-Cr alloy at the intermediate strain-rate and the split Hopkinson pressure bar is used at the high strain-rate. Experimental results from both the quasi-static and the high strain-rate up to the 5000/sec are interpolated with respect to the amount of chrome in order to construct the Johnson-Cook and the modified Johnson-Cook model as the constitutive relation that should be applied to numerical simulation of the impact behavior of electrod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