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emple

검색결과 1,227건 처리시간 0.024초

조선 초기 수선본사(修禪本寺) 흥천사(興天寺) 사리각 영건에 관한 고찰 (A Study on the Construction of Stupa in Heungcheon-Temple which represents Buddhism in Early Joseon Era)

  • 김버들;조정식
    • 건축역사연구
    • /
    • 제24권1호
    • /
    • pp.61-70
    • /
    • 2015
  • This is a study on the construction of the Heungcheon-Temple. The results are follows. 1) The Heungcheon-Temple was anticipated to be the Jeongneung. However, when completed, the Heungcheon-Temple was symbolized Buddhism; moreover, there was a stupa enshrined sarira. The stupa was a land mark in Hanyang. While king Sejong repaired the stupa, it disappeared during the regin of King Jungjong. Before it disappeared the stupa signified a Buddhist event and a rite of good fortune. 2) The stupa was constructed using a double-frame, and there was a stone-stupa in an octagonal multi-layer temple. This single location consisted of a sarira space and a worship space. 3) Buddhist Relic(Sarira) worship was to witness holiness and therefore reics could be moved according to need. It appeared as though Buddhist Relic worship occurred in Southeast Asia. 4) The Heungcheon-Temple stupa was considered a new and superior architectural-symbol to comfort people and recognize the new order of Ming and neo-Confucianism. Therefore, the stupa was a good alternative to politics, religion, and external relations during the early Joseon era.

A Comparison in Characteristics of Chemical Composition of Glass Vessels Excavated from Neungsalli Temple in Buyeo, Korea, from Baekje Period

  • Koh, Min Jeong;Kang, Hyung Tae;Kim, Na Young;Kim, Gyu Ho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33권12호
    • /
    • pp.4173-4179
    • /
    • 2012
  • From Neungsalli Temple located in Buyeo, ancient glass vessel fragments were discovered along with hundreds of glass beads. In this research, we used SEM-EDS to analyze glass vessel fragments and beads excavated from Neungsalli Temple. Then, we analyzed their chemical composition and examined their characteristics. In particular, we investigated a relationship between glass vessels from Neungsalli temple and Hwangnamdaechong (South tomb). The result of our experiment showed that the glass artifacts from Neungsalli temple were all soda glass. To be specific, the vessel fragments were soda-lime glass and spherical beads were high-alumina soda glass. Then, we compared glass vessel fragments from Neungsalli temple to glass vessels excavated from Hwangnamdaechong. Glass vessels from both sites turned out to be soda lime glass. We classified them further based on raw material used for soda - natron and marine plant ash.

신라 사천왕사 금당 기단의 변화 양상과 조영 특징 (A Study on the Changing Aspect and Architectural Characteristics of the Geumdang Hall Stylobate of the Sacheonwangsa Temple in Silla)

  • 이상명
    • 건축역사연구
    • /
    • 제30권2호
    • /
    • pp.55-70
    • /
    • 2021
  • The Sacheonwangsa temple was established in 670 under the leadership of Myeongnyang in response to the invasion of the Tang Dynasty. At this time, Geumdang hall stylobate was constructed, which was about 30% smaller than the reconstruction. Due to the wartime situation, the construction of wooden buildings did not seem to have been achieved. The Sacheonwangsa temple was reconstructed in 679 as a symbol of the Hoguk(護國) temple. The size of the Geumdang Hall stylobate was planned as an important module for the entire temple. The stylobate fasad was designed at intervals of Tangju(撑柱), just like the JuKhan(柱間) plan of wooden architecture. There is a possibility that eight Devas may have been decorated in Front fasad. When the Sacheonwangsa Temple was rebuilt, the Geumdang Hall was added by the ChayangKhan(遮陽間) and an Ikrang(翼廊) was installed next to it. These changes affect the material and form of the stylobate. It was changed to a durable stone post-lintel style stylobate and the intervals of Tangju(撑柱) in Front fasad was also adjusted. As the highest-quality stylobate in East Asia at the time, the Geumdang Hall stylobate is considered to have taken Silla's architectural skills to the next level.

황룡사 목탑 기단 연구 (A Study on the Stylobate of the Wooden Pagoda Site in Hwangnyongsa Temple)

  • 이상명
    • 건축역사연구
    • /
    • 제30권6호
    • /
    • pp.7-22
    • /
    • 2021
  • This study was prepared to understand the changes in the stylobate and the characteristics of contrasting with the wooden pagoda of Hwangnyongsa Temple, which occupies an important position in ancient architecture. Literature data related to the wooden pagoda of Hwangnyongsa Temple, excavation data, and newly identified stylobate stone were examined.The reconstruction period of the wooden pagoda of Hwangnyongsa Temple, the size and form of the stylobate, the plan of the stylobate, the height plan, and the elevation plan were reviewed one after another.Since its foundation in 646, the wooden pagoda of Hwangnyongsa Temple has been rebuilt during the reign of King Gyeongmun in 873 and a stylobate has been rebuilt. Through the analysis of similar cases with the wooden pagoda's face stone members, the elevation of the stylobate was proved. It is estimated that the size and format of the wooden pagoda stylobate were similar to those of the reconstruction stylobate. It seems that the Sumijwa style stylobate was first introduced to the foundation of the wooden pagoda of Hwangnyongsa Temple. This is of great significance in that it provided a fundamental motif for the stylobate of architecture and stone architecture of the Unified Silla period.

부여 동사리사지(東寺里寺址) 오층석탑 건립 연대 고찰 (A Study on the Construction Date of the Five-story Stone Pagoda at the Dongsa-ri Temple Site in Buyeo)

  • 강삼혜
    • 미술자료
    • /
    • 제99권
    • /
    • pp.50-71
    • /
    • 2021
  • 부여 동사리사지 오층석탑은 수도 개성 양식 계열의 남방한계선을 점하는 중요한 위치에 건립된 고려 전기 탑이다. 갑석 받침인 부연의 사선형 곡면 처리 등에서는 고려 개경 중심의 탑에서 보이는 고려중앙 양식의 특징을 잘 살펴볼 수 있었으며, 11세기 석탑과 양식을 공유하는 특징들도 뚜렷하게 관찰되었다. 하층기단의 안상문에서는 고려 1028년(현종 19)에 대대적으로 중수된 것으로 추정되는 부여 정림사지에 있는 석불좌상 대좌와, 천안의 천흥사지 당간지주에서 동일한 문양과 치석 수법이 조사되어, 동사리사지 오층석탑 건립 연대를 11세기로 추정했다. 부여 동사리사지는 금강 인근에 위치해 고려의 조운제도상 중요한 교통로이며, 고려 왕실의 원찰인개태사로 가는 길목에 자리잡고 있어 고려 현종대(1009~1031) 부여 정림사지가 크게 중수되고 동사리사지도 주요 거점으로 부각되면서 석탑이 조성되었을 것으로 짐작된다. 또한 동사리사지 석탑은 1021년(현종 12) 천안의 홍경사와 홍경원의 창건과 관련된 것으로 추정되는 인근의 천흥사지 석탑 및 당간지주와도 양식을 공유하고 있어 이를 통해 개경 양식의 유입 루트도 살펴볼 수 있었다. 부여 동사리사지 오층석탑은 고려 11세기 문화의 우수성을 보여주는 이 지역의 또 하나의 석조미술품이다. 수도 개경의 거대한 현화사 석등과 석탑과 비견되는 고려 초 논산 개태사나 관촉사, 부여 대조사 석조미륵보살입상 등의 거불(巨佛)과 함께 이 석탑 역시 고려 특유의 당당하고 자신감 있는 미감을 보이고 있다. 11세기 활발한 지역간 문화교류의 배경 아래 부여 동사리 지역은 고려 개경의 불교문화 영향권 아래 완숙한 문화 역량을 총 발휘해 경쾌하고 날렵하며, 엄정하면서도 세련된 이러한 석탑을 탄생하게 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팔공산(八公山) 동화사(桐華寺)의 풍수(風水) 및 가람배치( 伽藍配置)의 특징(特徵) (A study on the location of Donghwa temple from feng-shui perspective)

  • 성동환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7권4호
    • /
    • pp.65-80
    • /
    • 2001
  • 본 연구는 팔공산의 지형적인 특성을 반영하는 동화사(桐華寺)의 입지와 가람배치의 풍수지리적 특성을 밝히는 것이다. 동화사의 풍수지리적인 특성에 대한 해석과 연구는 향후 동화사의 토지이용이나 건물의 증 개축, 진입로의 개설, 가람의 변경 유지 등에 참고할 수 있는 기초적 자료를 제공할 것으로 생각된다. 동화사는 산과 물이 에워싸인 지세로 풍수지리적인 조건을 잘 갖추고 있는 곳으로 종교적 장소성을 확보하기에 용이한 조건을 갖추었다. 봉황과 관련된 안온한 지세와 어울리게 가람이 배치되었으며, 봉황을 상징하는 시설물들이 누각과 문, 비에 남아있고, 대나무와 오동나무가 많이 식재(植栽)되어 있다. 동화사의 중심공간이 잘 부각되고, 사찰의 경역(境域)을 청정하게 유지하기 위해 주 진입로의 복원, 주차장의 폐쇄, 새로운 진입로의 개설 등과 같은 방안을 제안하였다.

  • PDF

글로벌 융복합을 위한 사찰음식 세분화 연구 - 인식과 선호도를 중심으로 - (A Segmentation Study of Temple Food for the Global Convergence - Focusing on Recognition and Preference -)

  • 이용대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22권5호
    • /
    • pp.134-150
    • /
    • 2016
  • 이 연구의 목적은 전통사찰 템플스테이에 참가한 내국인과 외국인 간의 한국사찰음식에 대한 인식과 선호도를 알아보고자 한국 전통사찰 템플스테이에 참가한 한국인 134명과 외국인 86명을 대상으로 총 220부의 자료를 실증분석에 사용하였다. 분석방법은 일원배치분산분석(ANOVA)과 빈도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한국인(미국인(11.4%), 캐나다인(5.9%), 싱가포르인(5.5%), 프랑스인(5.0%), 네덜란드인(4.1%), 영국인(2.7%), 이탈리아인(2.7%), 독일인(1.8%) 순으로 나타났다. 한국사찰음식에 대한 인식에 대한 분석결과, 지역별로는 아시아인들의 평균값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한국인>미주지역인>유럽인 순으로 나타났다. '한국사찰음식은 약선식이라 생각한다.' 항목의 평균값(4.31)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아시아인(4.58) > 한국인(4.43) > 미주지역인(4.13) > 유럽인(3.94) 순으로 나타났다. 국적으로 분류한 분석에서는 치유음식(p<.05), 성인병 예방 음식(p<.001), 절약정신 내포(p<.05), 약선식(p<.001) 등의 항목에서 외국인과 한국인 간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찰음식 선호도 분석결과, 글로벌 지역 외국인과 한국인 간의 선호도는 밥류(p<.001), 죽류(p<.001), 나물류(p<.01), 무침류(p<.001), 튀김류(p<.01), 찜류(p<.001), 김치류(p<.001), 떡류(p<.001), 면류(p<.01), 다과류(p<.05) 등의 항목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한국사찰음식은 스토리텔링 마케팅이 필요하다.' 항목의 평균값(3.94점)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아시아인(4.33) > 한국인(3.99), 미주지역인(3.97) 순으로 나타났다(p<.05). 사찰음식 홍보 추진전략으로 한국전통사찰을 배경으로 한 음식, 영화 등을 제작하여 TV, 스마트폰 등 매체를 통한 홍보를 강화시켜야 한다.

토함산 불국사의 공간인식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ognitive Factors of the Space in Pulkuksa Temple at Tohamsan Mountain)

  • 허준;김용기;홍광표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125-134
    • /
    • 1999
  • To analyze in detail the cognitive factors in the sense of place in Korea traditional temples and their occurrence and significance, the questionaring was conducted about the actual condition of visitor's using of and preference for Pulkuksa Temple as an object of the investigation. The result from the analysis of the visitors' sense of respective factors forming the image of the temple is as follows: 1. While the male visitors for outnumbered the female, the female visitors are more satisfied with the senses of the temple than male. The younger visitors are larger in number while the older visitors have the more satisfaction. It took the largest number of the visitors at least three hours to come to the temple. The most numerous are the visitors who came to the temple. The most numerous are the visitors who came to the temple by their own cars. The visitors are coming not only from the Kyunsang Provinces but from all over the country and they made a family trip to the temple. 2. 86 people among the questionees replied that the Tower stands best for Pulkuksa temple. The second largest number of the questionees replied that the main sanctuary does. The third largest number of the questionees replied that the natural environment does. 3. The visitors who came to the temple for sightseeing showed their highest preferences for each of the main sanctuary and the tower. The buddhist visitors also showed the same tendency as non Buddhist ones in their preference. 4. On the whole, the space factors such as buildings and scenes which represent Pulkuksa Temple are the towers such as Sukka Tower and Tabo Tower, the sanctuary buildings such as main sanctuary, the natural scenery such as Toham Mountain, and the steps such as Chungwun-Kyo and Paekwun-Kyo. 5. The potential factors to explain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the scenery in Pulkuksa Temple are revealed to be a factor of overall valuation, of orderliness, of individuality and of comfortableness, through hypothetical. T.V was 54.1% and the orderliness of Sukkatap was highly evaluated in factor score analysis.

  • PDF

백제(百濟) '정림사(定林寺)'의 창건연대(創建年代) (The Establishment Year of 'Jeongnimsa' Temple in Buyeo)

  • 김낙중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45권4호
    • /
    • pp.38-53
    • /
    • 2012
  • 이 글에서는 부여 정림사지로 추정되는 백제 '정림사'의 창건 연대를 최근의 고고학적 발굴조사 자료를 바탕으로 살펴보았다. 즉, 본격적인 대지 조성은 왕궁터로 추정되는 관북리 일대와 연동되어 있는데, 그 시기는 6세기 늦은 단계로 추정된다. 그리고 사찰 건립을 위한 대지 조성 이전에 사용된 소형 노 등과 그와 관련하여, 구지표에서 출토된 토기 등을 참고할 때 사비 천도 후 일정 기간 공방이 운영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공방은 정림사지 북쪽에 인접한 관북리유적에서 본격적인 대지조성과 함께 이루어진 기와기단건물의 조영 이전에 운영된 것이 확인되었다. 대지 조성토에 혼입된 토기, 기와, 중국자기를 통해서도 정림사의 조영 연대가 사비 천도 직후까지 올라가기는 어렵다는 점을 지적하였다. 이 점은 석탑 이전에 목탑이 존재할 가능성이 높으며 그 구조는 지하기초부가 없는 높은 지상기단일 가능성과 연계되어 있다. 마지막으로 정림사지 가람배치는 동 서 건물과 강당 좌우의 건물이 하나로 통합되어 강당지 북편 기단보다 북쪽으로 좀 더 돌출되어 대규모 승방으로 통합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는 익산 미륵사지와 유사하여 정림사지가 능산리사지나 왕흥사지보다 늦게 축조되었을 가능성을 높여준다. 강당과 동 서 건물의 배치 관계 등으로 살펴본 이러한 견해는 그동안 정림사지의 창건 연대를 사비 천도 전후로 보아 온 것과 배치된다. 이러한 내용을 통해 볼때, 정림사는 사비 천도 전후가 아니라 도시조성이 활발하게 이루어진 6세기 후엽 이후에 창건되었을 가능성이 높아졌다.

청평사(淸平寺) 선원(禪園)의 시대적(時代的) 형성(形成)과 변천상(變遷相) (The Periodical Formation and Phase of Change of Cheongpyeongsa Temple Zen Garden)

  • 윤영활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1-13
    • /
    • 2011
  • 청평사는 고려 초 창건되었지만 현재와 같은 공간의 틀은 고려 중기 진락공 이자현(1061-1125)이 1089년 입산해 선사상을 바탕으로 구축한 것이다. 이 연구는 이자현이 청평사의 기반을 구축한 문수원 이후 형성, 발달했던 선원 내 인공유적의 출현과 존속의 시대사적인 변천과정을 고문헌을 근거로 하여 개념적으로 구현해 보고자 하였다. 이자현의 문수원 때 조성된 경외 8암자 중 식암, 견성암, 양신암 등 세 암자만이 조선 후기까지 복원, 수리를 거쳐 건재하며 상징적 암자로 보존되어 왔다. 또 이자현 때 조성된 영지도 고려시대 연못의 원형적 의미를 지닌 소중한 조경유적으로 현재까지 남아있다. 이자현이 식재했다는 구송은 후계수를 이어가며 1800년대 중반까지 살아있었다. 조선 중기 보우대사(1509-1565)는 이자현이 구축한 문수원을 기반으로 청평사로 개칭하고 중창하면서 경내를 능인전(대웅전)만 제외하고는 모두 새로 짓고 확장하여 현재와 같은 경내 공간구조로 만들었다. 또 경외 영지의 개축, 궁원으로부터의 조경식물 이식 등 경관의 질을 한층 높여 청평사를 역대 가장 번성한 모습의 선원으로 만들어 놓았다. 그러나 조선 후기인 1800년대 중반 이후 청평사는 더 번성하지 못하고 쇠락의 길로 접어들면서 선원의 건축물은 경내 일부를 제외하고 모두 소멸되고 기타 시설물들은 방치된 채로 현대까지 남아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