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Stylobate of the Wooden Pagoda Site in Hwangnyongsa Temple

황룡사 목탑 기단 연구

  • 이상명 (국립문화재연구소 건축문화재연구실)
  • Received : 2021.09.24
  • Accepted : 2021.11.10
  • Published : 2021.12.31

Abstract

This study was prepared to understand the changes in the stylobate and the characteristics of contrasting with the wooden pagoda of Hwangnyongsa Temple, which occupies an important position in ancient architecture. Literature data related to the wooden pagoda of Hwangnyongsa Temple, excavation data, and newly identified stylobate stone were examined.The reconstruction period of the wooden pagoda of Hwangnyongsa Temple, the size and form of the stylobate, the plan of the stylobate, the height plan, and the elevation plan were reviewed one after another.Since its foundation in 646, the wooden pagoda of Hwangnyongsa Temple has been rebuilt during the reign of King Gyeongmun in 873 and a stylobate has been rebuilt. Through the analysis of similar cases with the wooden pagoda's face stone members, the elevation of the stylobate was proved. It is estimated that the size and format of the wooden pagoda stylobate were similar to those of the reconstruction stylobate. It seems that the Sumijwa style stylobate was first introduced to the foundation of the wooden pagoda of Hwangnyongsa Temple. This is of great significance in that it provided a fundamental motif for the stylobate of architecture and stone architecture of the Unified Silla period.

Keywords

Acknowledgement

이 연구는 국립문화재연구소 건축문화재연구실의 건축유적 복원정비 연구(과제번호 : NRICH-2105-B01F-1)의 지원을 받아 작성되었습니다.

References

  1. 경주시, 「경주 불국사 대웅전 단청 문양 모사 및 정밀실측조사보고서」, 2017
  2. 경주시.한국전통문화대학교, 「황룡사 구층목탑 모형설계.제작 연구보고서」, 2016
  3. 國立慶州文化財硏究所, 「感恩寺發掘調査報告書」, 1997
  4.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 「경연고고」, 제18호, 2008
  5.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 「四天王寺I 金堂址 발굴조사보고서」, 2012
  6.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 「四天王寺II 回廊內廓 발굴조사보고서」, 2013
  7. 국립문화재연구소, 「한국 고대건축의 기단」, 2012
  8. 국립문화재연구소, 「한국 고대건축의 기단II」, 2013
  9. 국립문화재연구소.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경주시, 「황룡사 복원정비사업 발굴조사I-중문지.동문지 등-」, 2018
  10. 국립문화재연구소.경주시, 「황룡사 건물복원 기초연구」, 2012
  11. 국립문화재연구소.경주시, 「황룡사 중금당 복원심화연구 1차」, 2015
  12. 국립문화재연구소.경주시, 「황룡사 복원 제1차 심화연구」, 2013
  13. 국립문화재연구소.경주시, 「황룡사 연구의 현황과 과제」, 2009
  14. 국립문화재연구소.경주시, 「황룡사지 보존정비 기본계획」, 2018
  15. 국립문화재연구소.경주시, 「황룡사지 진입구 기단고증연구」, 2020
  16. 국립문화재연구소.익산시, 「익산 미륵사지 건축유구보존정비 계획」, 2017
  17. 김숙경, 「황룡사 답도 연구」, 건축역사연구, Vol.25, No.3, 2016
  18. 대구광역시 동구, 「桐華寺 極樂殿 精密實測調査報告書」, 2009
  19. 동아대학교박물관, 「합천영암사지I」, 1985
  20. 文化財管理局, 「皇龍寺 遺蹟發掘調査報告書I」, 1984
  21. 文化財管理局, 「皇龍寺 遺蹟發掘調査報告書I(圖版編)」, 1984
  22. 문화재청, 「구례 화엄사 대웅전 정밀실측조사보고서」, 2013
  23. 문화재청, 「봉정사 극락전 수리.실측보고서」, 2003
  24. 문화재청, 「부석사 무량수전 실측조사보고서(본문)」, 2002
  25. 문화재청, 「華嚴寺 覺皇展 實測調査報告書」, 2009
  26. 배병선, 「황룡사 9층목탑 복원연구」, 「황룡사 복원연구포럼」(국립문화재연구소.경주시), 2012
  27. 임경미, 「계단축조에 관한 소고」, 정토학연구, 제10호, 2007
  28. 이상명, 「신라 사천왕사 금당 기단의 변화 양상과 조영 특징」, 건축역사연구, Vol.30, No.2, 2021
  29. 이상명, 「신라 목조건축물의 가구식기단 연구-수미좌식 기단의 출현과 전개 양상을 중심으로」, 건축역사연구, Vol.28, No.5, 2019
  30. 通度寺, 「通度寺 大雄殿 및 舍利塔 實測調査報告書」, 19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