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echnology Transfer

검색결과 6,732건 처리시간 0.036초

Wireless Synchronous Transfer of Power and Reverse Signals

  • Li, Yang;Li, Yumei;Feng, Shaojie;Yang, Qingxin;Dong, Weihao;Zhao, Jingtai;Xue, Ming
    • Journal of Power Electronics
    • /
    • 제19권3호
    • /
    • pp.827-834
    • /
    • 2019
  • Wireless power transfer via coupled magnetic resonances has been a hot research topic in recent years. In addition, the number of related devices has also been increasing. However, reverse signals transfer is often required in addition to wireless power transfer. The structure of the circuit for a wireless power transfer system via coupled magnetic resonances is analyzed. The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of both parallel compensation and series compensation are listed. Then the compensation characteristics of the inductor, capacitor and resistor were studied and an appropriate compensation method was selected. The reverse signals can be transferred by controlling the compensation of the resistor. In addition, it can be demodulated by extracting the change of the primary current. A 3.3 MHz resonant frequency with a 100 kHz reverse signals transfer system platform was established in the laboratory. Experimental results demonstrate that wireless power and reverse signals can be transferred synchronously.

국방기술이전 성과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An Analysis of Effective Factors for Defense Technology Transfer)

  • 박현진;이정동;정경인;이춘주
    • 한국국방경영분석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1-12
    • /
    • 2006
  • 본 연구는 전문가 설문기법으로 한국 군사기술의 상용이전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한 요인들을 조사 분석하였다. 국방연구개발 투자의 효과로서 필요한 군사과학기술 개발과 더불어 군에서 민간부문으로의 기술이전을 통한 상용기술개발을 촉진하는 역할도 중요하게 여겨지고 있다. 군사선진국들은 국방기술개발에 대한 효과적이고 효율적인 투자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자국의 특성을 고려하여 국가수준에서 연구개발투자의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최적의 기술이전 메커니즘을 적용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기술이전 메커니즘은 국가마다 다양하며 한국에서 효과적이고 효율적인 기술이전을 위한 영향요인은 무엇인지를 알아보는 것이 필요하다. 본 논문은 전문가 면담과 문헌연구를 통하여 고려대상 영향요인 19개를 식별하였으며 이중 11개가 기술이전활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책적 함의로서 목표 지향적 투자, 기술이전 관련 규정의 검토, 그리고 기술이전 전문가 양성에 대한 필요성을 제기하고 있다.

대학의 내부요인이 기술이전사업화 의욕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Influence on Internal Factors of University on Motivation for Technology Transfer Commercialization: Focusing on Regulation Effect of Social Support)

  • 박영욱;하규수
    • 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23권5호
    • /
    • pp.43-59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첫째 대학의 평가제도, 교육지원, 인적자원등과 같은 내부지원 요인이 기술이전 사업화 활동에 종사하는 관계자들의 기술이전 사업화 의욕에 영향 요인 인지 밝히고자 하였다. 둘째 이러한 내부 요인과 기술이전사업화 의욕의 인과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를 검증 하고자 하였다. 위 연구 내용을 분석 하기 위해 전국 40개 대학의 기술이전 사업화 조직에서 해당업무에 종사하는 산학교수, 직원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으며, 총160부를 배부하여 145부를 회수하였다. SPSS Statistics 22.0을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 내부요인, 즉 업적평가, 교육지원, 인적자원 모두 기술이전사업화 의욕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둘째, 대학내부요인과 기술이전 사업화 의욕과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를 분석한 결과, 업적평가와 기술 이전 사업화 의욕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는 유사조절효과를 나타냈다. 하지만 교육지원 및 인적자원과 기술이전 사업화의욕 관계에서는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이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대학에서 기술이전 사업화 활동을 하는 사람중심의 지원정책수립에 시사점을 제공 하고자 한다.

정보통신기술의 효과적인 기술이전 전략

  • 김영웅;문태희;손소영
    • 기술혁신연구
    • /
    • 제11권1호
    • /
    • pp.51-77
    • /
    • 2003
  • Although Korean government has made a great deal of investment on R&D projects, corresponding amount of efforts has not been effectively made for their commercialization. Effective technology transfer can help to spread the results of IT R&D programs. The main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some strategies for successful commercialization in lieu of technology transfer program at home and abroad. We summarize the present situation of IT R&D programs and analyze the obstacles to improve the process of materializing technology transfer.

  • PDF

The Impacts of Technology Transfer on Productivity Growth of Firms based on Malmquist Productivity Index

  • Han, Jaeseung;Kwon, Youngkwan;Lee, Sang-Yong Tom
    • Asia pacific journal of information systems
    • /
    • 제26권4호
    • /
    • pp.542-560
    • /
    • 2016
  • This study determines whether or not firms can achieve high productivity growth through external technology acquisition. It also identifies the key factors affecting adopting firms' productivity growth by employing the Malmquist productivity index (MPI) methodology, which features computational ease, low data dependency, and decomposition of productivity growth into technical efficiency change and technical change. Results showed that the effects of productivity growth arising from technology transfer became stronger over time. Moreover, patent transfer guaranteed firms' productivity growth, but no evidence was found that factors such as age and size could increase productivity. Finally, cultural similarity could be another factor conditioning the effectiveness of technology transfer in the productivity of adopting firms.

국제기술이전계약상(國際技術移轉契約上)의 부공정조항(不公正條項)에 관한 연구(硏究) (Unfair Contractual Clauses for the Transfer of Technology)

  • 서정두
    • 무역상무연구
    • /
    • 제12권
    • /
    • pp.107-132
    • /
    • 1999
  • The technology transfer agreements, which transfer technology from industrialized countries to developing countries, are subjected to control and restrictions in many developing countries in order to protect national interests. The licensors endeavour, therefore, to ensure that their activities fit satisfactorily into the technological policies and plans of the host countries, and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national scientific and technological potential, including the establishment and improvement in host countries of their capacity to innovate. Secondly, the licensors adopt in the course of their business activities practices which permit the rapid diffusion of technologies with due regard to the protection of industrial and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Thirdly, the licensors endeavour to grant licenses for the use of industrial property rights or to otherwise transfer technology on reasonable terms and conditions.

  • PDF

Effects of Technology Transfer Policies on the Technical Efficiency of Korean University TTOs

  • HAN, JAEPIL
    • KDI Journal of Economic Policy
    • /
    • 제40권4호
    • /
    • pp.23-45
    • /
    • 2018
  • The Korean government has provided various policy devices to boost technology transfers between academia and industry since the establishment of the Technology Transfer Promotion Act in 2000. Along with the enactment of the law, the Korean government mandated the establishment of a technology transfer office at national and public universities and encouraged technology transfer activities. Despite the quantitative expansion of technology transfer offices (TTOs), operational inefficiency was brought up. As a supplementary policy, the Korean government implemented a line of projects to support the labor and business expenses of leading TTOs. This research questions whether the project greatly affected the technical efficiency of TTOs. We analyze publicly available university panel data from 2007 to 2015 using a one-step stochastic frontier analysis. The results suggest that the program was marginally effective at shifting the technical efficiency distribution to the right on average, but it failed to maximize its impact by diversifying the policy means based on targets. The marginal effects of the program on technical efficiency differ according to the research capability and size of each school. We also compare technical efficiency against the licensing income at the start and end of the program. Technical efficiency increased for the leading TTOs, and both measures show improvements for unsupported TTOs. Our empirical results imply that diversifying the program for universities with different characteristics may have improved the effectiveness of the policy.

국내 연구개발 및 기술이전 주체 간의 배경을 고려한 기술이전-사업화 모델 연구 (A study on Technology Transfer Commercialization Model considering the Background between Domestic R&D and Technology Transfer Agents)

  • 이법기;심성철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6권9호
    • /
    • pp.51-61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의 연구개발과 그 결과물의 기술이전, 이전된 기술을 활용한 사업화의 배경적 특징을 반영한 기술이전-사업화 모델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에 기존 연구에서 제시된 기술사업화 모델을 개괄하고, 국내 기술이전 현황과 기술이전 주체의 배경을 조사하여 제시할 모델의 적합성을 밝히고자 한다. 이어서 기술이전-사업화 모델을 제시하고, 이 모델을 적용한 사례를 소개하는 절차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결과로 제시하는 기술이전-사업화 모델은 사업화의 각 단계에서 참여 주체별 역할을 제시하면서 추가개발 단계를 중심으로 공급자 주도 영역 영역과 수요자 주도 영역이 구분하였다. 그리고 기술이전 과정에서의 공급자와 수요자 및 중개기관의 역할을 제안하였다. 본 모델의 활용은 기술공급자의 경우 사업화 완료 단계까지 점진적으로 역할을 줄여가는 방식으로, 기술수요자의 경우 제품화 및 수익실현까지 주도적 역할을 점진적으로 확대하는 기업혁신 모델로 삼을 수 있다. 본 연구는 기술이전 주체들의 역할과 주도 수준을 명확히 제시한 점에서 의의가 있으며, 향후 사례로 분석한 기업에 대한 분석을 통해 기술의 적용 및 성과에 대한 연구로 확장하고자 한다.

A Review on Transfer Process of Two-dimensional Materials

  • Kim, Chan;Yoon, Min-Ah;Jang, Bongkyun;Kim, Jae-Hyun;Kim, Kwang-Seop
    • Tribology and Lubricants
    • /
    • 제36권1호
    • /
    • pp.1-10
    • /
    • 2020
  • Large-area two-dimensional (2D) materials synthesized by chemical vapor deposition on donor substrates are promising functional materials for conductors, semiconductors, and insulators in flexible and transparent devices. In most cases, 2D materials should be transferred from a donor substrate to a target substrate; however, 2D materials are prone to damage during the transfer process. The damages to 2D materials during transfer are caused by contamination, tearing, and chemical doping. For the commercialization of 2D materials, a damage-free, large-area, and productive transfer process is needed. However, a transfer process that meets all three requirements has yet to be developed. In this paper, we review the recent progress in the development of transfer processes for 2D materials, and discuss the principles, advantages, and limitations of each process. The future prospects of transfer processes are also discussed. To simplify the discussion, the transfer processes are classified into four categories: wet transfer, dry transfer, mechanical transfer, and electro-chemical transfer. Finally, the "roll-to-roll" and "roll-to-plate" dry transfer process is proposed as the most promising method for the commercialization of 2D materials. Moreover, for successful dry transfer of 2D materials, it is necessary to clearly understand the adhesion properties, viscoelastic behaviors, and mechanical deformation of the transfer film used as a medium in the transfer process.

공공기술이전·사업화 영향요인 및 연구개발 관리전략 (Factors Impacting Public Technology Transfer and Commercialization and Its Strategy for R&D Management)

  • 성웅현;문혜정;강훈
    • 기술혁신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468-491
    • /
    • 2015
  • 본 연구의 목적은 공공 기술이전 활성화를 위해서 연구개발 단계에서 선행적으로 도입할 연구개발 관리관점과 전략을 제시하는 것이다. 기술이전 사업화 영향요인은 기술공급자 관점에서 기술미활용 영향요인, 기술수요자 관점에서 기술이전 영향요인과 기업의 사업화 영향요인 등으로 구성하였고, 영향요인을 도출하기 위해서 21세기 프론티어사업단 기술자료를 활용하였다. 기술 미활용에 대한 주요 영향변수는 추가 기술개발, 수요기업의 발굴, 대량생산 기술의 확보와 신뢰성 검증 등으로 나타났고, 기술이전 영향변수는 기술의 우수성(혁신성)과 새로운 시장창출로 나타났다. 기업의 사업화 성공요인은 추가기술 개발과 개량, 연구개발 인력의 우수성과 CEO역량 등으로 도출하였다. 연구개발 기술이전 성과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연구개발단계부터 기술이전 사업화 목표를 분명히 하고, 향후 라이선스 관점에서 상용화 가능한 원천형 핵심기술을 창출하여야 한다. 또한 연구개발조직의 성과관리가 정량적 성과보다는 글로벌 기술경쟁력, 상용화 파급효과 등으로 평가된다면, 기술이전 사업화 흐름이 가속화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