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actors Impacting Public Technology Transfer and Commercialization and Its Strategy for R&D Management

공공기술이전·사업화 영향요인 및 연구개발 관리전략

  • 성웅현 (한신대학교 응용통계학과) ;
  • 문혜정 (연구성과실용화진흥원) ;
  • 강훈 (연구성과실용화진흥원)
  • Received : 2015.06.19
  • Accepted : 2015.09.08
  • Published : 2015.09.30

Abstract

The major objective of this research is to suggest the proactive strategy and management of public R&D for the active transfer of technology based on the influential factor analysis of technology transfer. This study identified influential factors which make the greatest impact on the success of public technology transfer and commercialization through three points of view-technology supplier's view, technology adopter's view and view of commercialization-which contribute to successful technology transfer and commercialization. The core influential variables for blocking technology transfer are identified such as additional technological development, search for technology adopter followed by mass production technology and testing of confidence. Technology adopter is to create new markets or expand existing markets through the superiority (innovation) of licensing technology, increasing the internal innovation capabilities and maximizing the impacts of technology. This research suggests two effective strategies for improving technology transfer such as technology planning and marketing in the view of technology license. The strategy of technology planning should be established and executed to meet both technology trends and adopter's needs. And strong patents should be secured in terms of licensing of technology. Also the technological performance should be evaluated at mid-term appraisal, confirming the needs of adopter and competitive advantage of technology and patent. In addition to this, the customized technology marketing strategy for different fields of applications is also required in order to improve the likelihood of technology transfer. If the performance of R&D organization could be evaluated by global technological competitiveness and spillover effects of commercialization rather than quantitative output, the flow of technology transfer and commercialization would be accelerated.

본 연구의 목적은 공공 기술이전 활성화를 위해서 연구개발 단계에서 선행적으로 도입할 연구개발 관리관점과 전략을 제시하는 것이다. 기술이전 사업화 영향요인은 기술공급자 관점에서 기술미활용 영향요인, 기술수요자 관점에서 기술이전 영향요인과 기업의 사업화 영향요인 등으로 구성하였고, 영향요인을 도출하기 위해서 21세기 프론티어사업단 기술자료를 활용하였다. 기술 미활용에 대한 주요 영향변수는 추가 기술개발, 수요기업의 발굴, 대량생산 기술의 확보와 신뢰성 검증 등으로 나타났고, 기술이전 영향변수는 기술의 우수성(혁신성)과 새로운 시장창출로 나타났다. 기업의 사업화 성공요인은 추가기술 개발과 개량, 연구개발 인력의 우수성과 CEO역량 등으로 도출하였다. 연구개발 기술이전 성과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연구개발단계부터 기술이전 사업화 목표를 분명히 하고, 향후 라이선스 관점에서 상용화 가능한 원천형 핵심기술을 창출하여야 한다. 또한 연구개발조직의 성과관리가 정량적 성과보다는 글로벌 기술경쟁력, 상용화 파급효과 등으로 평가된다면, 기술이전 사업화 흐름이 가속화될 수 있을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강만영.전인오 (2013), "중소기업의 기술경쟁력과 기술마케팅이 사업화성과에 미치는 영향", 디지털정책연구, 11(12): 213-227.
  2. 김선우 (2015), 공공기술사업화기업 육성 방안, 162호, 서울: STEPI Insight.
  3. 김순선.김동환 (2008), "공공 R&D 기관의 기술 상용화 과정에 관한 시스템 사고 분석", 한국시스템다이내믹스연구, 8(2): 191-207.
  4. 김우진 (2013), "국가 R&D 과제의 사업화 촉진방안", 한국금융연구원 주간금융브리프, 22(3): 3-9.
  5. 구본철 (2014), "연구성과의 기술이전 및 사업화 촉진요인 도출 및 실증분석", 벤처창업연구, 9(5): 69-81.
  6. 구본철.이동명.유왕진.정경택 (2012), "연구성과 활용성 제고를 위한 발전요인 분석", 한국경영공학회지, 17(1): 161-179.
  7. 권재철.문종범.유왕진.이철규 (2012), "대형 연구개발사업의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21세기 프론티어연구개발사업을 중심으로", 기술혁신학회지, 15(1): 185-202.
  8. 미래창조과학부 (2013), 21C프론티어사업 미래를 향한 10년의 도전, 서울: 미래창조과학부.(재)연구개발성과지원센터.
  9. 박종복 (2008), 한국 기술사업화의 실태와 발전과제: 공공기술을 중심으로, 서울: 산업연구원.
  10. 박지원.윤수진.박범수 (2015), "공공R&D 이전기술의 사업화 성공요인 분석 및 성과제고 방안", 기술혁신학회지, 18(1): 28-48.
  11. 박재수.박정용 (2013), "성공적인 기술사업화를 위한 솔루션 프로세스-정부의 기술개발지원사업 참여기업을 대상으로-",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17(7): 1522-1530. https://doi.org/10.6109/JKIICE.2013.17.7.1522
  12. 백승희.정도범 (2013), "국내 공공연구기관의 성과관리.활용에 관한 우수 사례 연구", 한국기술혁신학회지, 16(4): 1032-1054.
  13. 성웅현 (2010), "생명제약 기술 라이선스 경상로열티 추정에 관한 연구", 지식경영연구, 11(1): 37-51.
  14. 성태경 (2012), "기술사업화 수단으로서의 기술마케팅: 개념.전략.과정의 정립 및 시사점", 지식재산연구, 7(3): 101-128.
  15. 신용세.하규수 (2012), "기술경영능력이 기술사업화 성공에 미치는 영향", 디지털정책연구, 10(8): 97-110.
  16. 이영덕 (2005), 신기술사업화의 이해, 서울: 도서출판 두남.
  17. 이종민.노민선.정선양 (2013), "중소기업의 기술기획 역량이 기술사업화 성공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기술혁신연구, 21(1): 253-278.
  18. 이종일.김찬준 (2007), "R&D지원정책이 기술성과에 미치는 영향분석", 기술혁신학회지, 10(1): 1-21.
  19. 임채윤 (2010), "중소기업의 기술이전 장애요인: 사전적 고찰과 연구방향", 대한산업공학회 ie 매거진, 17(4): 47-50.
  20. 양동우.김수정 (2008), "기술공급자(R&D기관)의 기술이전 애로요인에 관한 기초연구", 대한경영학회지, 21(1): 205-227.
  21. 윤요한.김윤배.강지석.정가섭 (2015), "출연(연)의 기술이전.사업화 추적조사를 통한 영향요인 연구: A연구원 사례 연구", 대한산업공학회지, 41(1): 105-114. https://doi.org/10.7232/JKIIE.2015.41.1.105
  22. 진홍윤 (2014), "공공부문의 기술사업화 동향", KISDI 정보통신방송정책, 26(3): 36-46.
  23. 최치호 (2011), 출연(연) 기술이전 및 사업화 촉진 방안, 서울: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24. 한국산업기술진흥원 (2014), 기술이전.사업화 조사분석 자료집, 서울: 한국지식재산연구원, 한국산업기술진흥원.
  25. Arora, A. and Merges, R. P. (2004), "Specialized Supply Firms, Property Rights and Firm Boundaries", Industrial and Corporate Change, 13: 451-475. https://doi.org/10.1093/icc/dth018
  26. Bozeman, B. and Coker, K. (1992), "Assessing the Effective of Technology Transfer from US Government R&D Laboratories: The Impact of Market Orientations", Technovation, 12(4): 239-255. https://doi.org/10.1016/0166-4972(92)90045-J
  27. Cooper R. G. and Scott, E. (2005), Ideation for Product Innovation: What are the best methods?, Product Innovation Best Practices Series.
  28. Cornford, A. (2004), Innovation, Commercialization and Knowledge Based Economic Competitiveness, GT Management Ltd., Northampton.
  29. Franza, R. and Grant, K. (2006), "Improving Federal to Private Sector Technology Transfer", Research-Technology Management, 49(3): 36-40.
  30. Jolly, V. K. (1997), Commercializing New Technologies, Boston, MA, Harvard Business School Press.
  31. Kumar, V. and Jain, P. K. (2002), "Commercializing New Technologies in India : A Perspective on Policy Initiatives", Technology in Society, 24: 285-298. https://doi.org/10.1016/S0160-791X(02)00009-X
  32. Lin, C., Chang, S. and Chang, C. S. (2004), "The Impact of Technology Absorptive Capacity on Technology Transfer Performance", International Journal of Technology Transfer and Commercialization, 3(4): 384-409. https://doi.org/10.1504/IJTTC.2004.005610
  33. Naruemon, W. (2006), "An Empirical Study of the Relationship Between Absorptive Capacity and Technology Transfer Effectiveness", International Journal of Technology Transfer and Commercialization, 5(1,2): 31-55. https://doi.org/10.1504/IJTTC.2006.008652
  34. OECD (2013), Commercializing Public Research: New Trends and Strategies.
  35. Raymond, L. and St-Pierre, J. (2010), "R&D as a Determinant of Innovation in Manufacturing SMEs: An Attempt at Empirical Clarification", Technovation, 30(1): 48-56. https://doi.org/10.1016/j.technovation.2009.05.005
  36. Rhee, J., Park, T. and Lee, D. H. (2010), "Drivers of Innovativeness and Performance for Innovative SMEs in South Korea: Mediation of Learning Orientation", Technovation, 30(1): 65-75. https://doi.org/10.1016/j.technovation.2009.04.008
  37. Sung, T. K. and Gibson, D. V. (2005), "Knowledge and Technology Transfer Grid:Empirical Assessment", International Journal of Technology Management, 29(3): 216-230. https://doi.org/10.1504/IJTM.2005.005997
  38. Wakeman, S. (2004), "IP Portfolios and R&D Firm Commercialization Strategy: Evidence from Biotechnology Alliances", http://www.elsa.berkeley.edu/-bhhall/others/Wakeman04_IPPortfolios.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