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eaching-learning Contents

검색결과 1,250건 처리시간 0.028초

지역화시대의 지역지리 교육내용 구성 방안연구 - 화천지역을 사례로 - (The Study of Plans to Construct the Content of Regional Geography for Regionalization - Centered on Hwacheon Area as a Studying Case -)

  • 최홍규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9권3호
    • /
    • pp.395-409
    • /
    • 2003
  • 본 연구에서는 세계화의 조류 속에서 지역화의 조류도 명확하게 나타나고 있는 현실을 지리교육에 반영하고자 국가 교육과정의 운영과 편성의 자율화에 대한 의미와 필요성을 살펴보았다. 국가 교육과정의 자율화와 지리교육의 지역화에 따른 새로운 지리교육 학습내용 선정과 구성 및 교수 학습을 하기 위한 사례지역으로서 화천지역을 대상으로 적용해 보았다. 지리적인 사실을 단순히 학습내용으로 구성하기보다는 지리교육적인 관점에서 학령수준에 맞게 내용을 재구성하여 현재 초 중학교에서 제작 운영하고 있는 지역교과서의 차원에서 지역학습을 해야만 한다. 학습 내용도 일상생활이 이루어지고 있는 학습자들의 생활공간을 대상으로 하여 구성되어야만 하겠다. 아울러 학습 지역의 규모에 따른 교수 학습 방법도 고려되어야 함으로 본 연구에서는 생활권 범위내의 일상적인 사실을 중심으로 한 소규모지역을 학습 내용으로 하였기에 야외조사 학습방법을 중심으로 하였다.

  • PDF

공과대학 교수학습의 질적 향상을 위한 공학 교수자의 교수지향 탐색 (Exploration of Engineering Professors' Teaching Orientations toward Engineering Courses)

  • 장지영;이현주
    • 공학교육연구
    • /
    • 제19권3호
    • /
    • pp.23-34
    • /
    • 2016
  • Teaching orientations represent teachers' general way of conceptualizing their teaching. The orientations are regarded as a very important factor in developing teachers'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because they often guide their instructional decisions such as the selection of contents and teaching strategies, the use of curricula materials, and the evaluation of learning. Thus, understanding teachers' orientations can provide meaningful suggestions to understand their instructional approaches and furthermore to enhance the quality of engineering education in college. The research question for this present study was what kinds of teaching orientations engineering professors possessed in teaching engineering courses and how the orientations were represented in their teaching. Six engineering professors, particularly interested in instructional approaches, participated in the research. The data sources included in-depth interviews with individual professors, classroom observations with field notes, and related documents. In results, four teaching orientations toward engineering courses were identified: 1) expert knowledge in engineering, 2) engineering practice, 3) social practice, and 4) interdisciplinary design. Individual professors had between one to three different teaching orientations. Even though the professors had similar orientations but their instructional strategies somewhat varied based on the disciplines.

미술·디자인계열 전공 실습교육을 위한 증강현실기반 이러닝(AREL: AR based e-Learning) 프레임워크 디자인 (AREL(AR based E-Learning) for PBE(Practice-Based Education) Framework Design in the Field of Art and Design Major)

  • 이기호
    • 만화애니메이션 연구
    • /
    • 통권43호
    • /
    • pp.363-386
    • /
    • 2016
  • 본 연구는 대학의 미술 디자인계열 전공 실습 교과목의 실습수업을 위한 이러닝 교수학습법을 개발하기 위해 기본 틀이 될 프레임워크를 디자인하는 연구이다. 특히 일방향적인 이러닝 교육방식에서 탈피하여 증강현실(AR)의 콘텐츠 재현 과정을 학습방법으로 적용함으로써 가상적 상황을 현실상황에 증강시켜 학습자로 하여금 학습환경에 대한 현실감을 높이는 데에 초점을 두고 있다. 본 프레임워크 구축 과정 및 교수학습법 개발은 이전에 발표된 "증강현실을 이용한 대학 e-Learing 실습교육"의 학습효과 실험연구를 위한 증강현실 기반의 실습교육 교수학습법 개발 과정에 관한 논문으로써 시기적으로는 이전 논문의 선행연구임을 밝히며, 기 발표 논문과 본 논문을 기반으로 본격적인 학습효과 실험에 들어가기 위한 교과과정 개발에 목적을 둔다. 학습방식에 따른 구분은 기본 학습유형에 따라 대면학습(FFL), 블랜디드학습(BL), 완전이러닝(EL), 그리고 증강현실 기반 이러닝(AREL) 4개 교수 학습방법으로 구분한다. 본 연구를 위해 FFL, BL, EL의 각 교수학습 프레임을 비교 분석하고 AREL의 교수학습유형과 비교분석 및 종합적 결합을 통해 효과적인 증강현실 기반의 교수학습 프레임워크 구축하였다. 또한 향후 학습효과 실험을 위한 AREL 실습교과목 교수학습 과정 설계 틀을 제시함으로써 연구를 마친다.

모바일 탐구학습 지원도구의 개발과 적용 (The Development and Its Application of the Mobile Learning Support Device for the Inquiry Learning)

  • 유상미;신승용;김미량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12권5호
    • /
    • pp.35-47
    • /
    • 2009
  • 유비쿼터스(Uniquitous)기술 기반의 U-learning 학습과 관련한 몇몇 연구에서 지적하는 것처럼 학습자의 상황성과 맥락성은 반드시 반영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탐구학습 방법과 모바일 탐구학습 지원도구를 제안했다. 탐구학습은 학습자가 스스로 실제 현장에서 경험한 내용을 기초로 운영되므로 학습자를 자연스럽게 학습 상황과 맥락속에 위치하게 해 줄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교육과정의 일부를 탐구학습의 형태에 맞게 변형하여 적용했으며, 또한 연구에서 개발한 모바일 탐구학습 지원도구는 학습자가 탐구학습의 과정을 자연스럽게 밟아 갈 수 있도록 하는 가이드 기능과, 모바일 기술을 바탕으로 습득한 자료를 원격지 학습서버에 저장하여 재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학생들이 수행하는 탐구학습을 지원하였다. 이들은 학교현장에 적용되었고, 결과적으로 학생들의 학습 흥미와 학업성취도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범위에서 향상된 결과를 나타냈다.

  • PDF

스마트폰 활용을 위한 초.중등 교육용 이러닝 시스템 설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Design of K-12 e-Learning System for Utilization Smartphone)

  • 김용;손진곤
    •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 /
    • 제12권4호
    • /
    • pp.135-143
    • /
    • 2011
  • 스마트폰은 학습자에게 언제 어디서나 학습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 주었다. 학습자는 항상 인터넷에 연결할 수 있는 환경이 주어지므로 이동 중 학습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스마트폰의 다양한 기능을 이용하여 효율적인 학습이 가능하다. 스마트러닝이란 정보 검색·공유 및 다양한 응용프로그램 활용이 가능한 모바일 디지털 기기 기반의 학습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 이러닝 시스템에서 스마트폰의 효과적인 활용을 위해서는 상호작용, 협동학습 등 효과적인 교수-학습 원리를 기반으로 콘텐츠 및 학습관리시스템(LMS) 등을 설계해야한다. 학습 콘텐츠는 스마트폰의 고유 기능과 융합하여 학습에 효과적인 콘텐츠 설계가 필요하며, 이동 중 학습이 편리한 소규모의 학습 주제별 콘텐츠 개발이 필요하다. 학습관리시스템(LMS)의 경우 PA에이전트 프로그램 등을 이용해 학습자 환경을 파악하여 학습자에게 적합한 맞춤형 학습 서비스를 제공해야한다.

화학 I 교과에 대한 화학 교사들의 인식과 학습 지도 방식에 대한 조사 (Survey of Chemistry Teachers' Perceptions and Teaching Style on Chemistry I Course)

  • 이은주;조영자;김은숙;유란영;김동진;박국태
    • 대한화학회지
    • /
    • 제51권1호
    • /
    • pp.73-81
    • /
    • 2007
  • 이 연구의 목적은 제7차 교육과정에 의한 화학I 교과의 목표와 성격에 대한 화학 교사들의 인식을 조사하고, 학습 지도 시 화학 교사들의 학습 내용 선택도와 학습 지도 방식에 대해 조사하여, 화학I 교과가 교육 현장에서 어떻게 운영되고 있는지 알아보고자 한 것이다. 연구를 위하여 40개 고등학교 화학 교사 44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화학 교사들은 제7차 교육과정의 화학I 교과의 목표가 화학적 소양을 갖춘 민주 시민의 양성이라고 인식하고 있었으며, 화학I 교과의 목표에 적합한 수업 방식은 실험·실습 수업 혹은 조사 및 토의 수업과 같은 탐구 중심의 수업 방식이라고 인식하고 있었다. 그러나 실제 수업에서는 개념 중심의 수업이 이루어지고 있었으며, 화학 교사에 따라 학습 내용 선택도에 차이가 많았다. 그리고 화학 교사들은 화학I 교과가 화학 학습에 흥미와 호기심을 갖게 하는데 적합하다고 생각하지만 화학 개념을 체계적으로 이해시키기엔 부적당하기 때문에, 화학I 교과의 학습 내용을 개선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제7차 교육과정에 의한 화학I 교과의 목표에서 탐구 학습을 강조하고 있으므로 탐구 중심의 수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충분한 교사 연수와 교수-학습 자료의 개발이 필요하며, 교육과정 개정 시에 화학 교사들의 경험이 충분히 반영되어야 한다고 생각된다.

Interaction-based Collaborative Recommendation: A Personalized Learning Environment (PLE) Perspective

  • Ali, Syed Mubarak;Ghani, Imran;Latiff, Muhammad Shafie Abd
    • KSII Transactions on Internet and Information Systems (TIIS)
    • /
    • 제9권1호
    • /
    • pp.446-465
    • /
    • 2015
  • In this modern era of technology and information, e-learning approach has become an integral part of teaching and learning using modern technologies. There are different variations or classification of e-learning approaches. One of notable approaches is Personal Learning Environment (PLE). In a PLE system, the contents are presented to the user in a personalized manner (according to the user's needs and wants). The problem arises when a new user enters the system, and due to the lack of information about the new user's needs and wants, the system fails to recommend him/her the personalized e-learning contents accurately. This phenomenon is known as cold-start problem. In order to address this issue, existing researches propose different approaches for recommendation such as preference profile, user ratings and tagging recommendations. In this research paper, the implementation of a novel interaction-based approach is presented. The interaction-based approach improves the recommendation accuracy for the new-user cold-start problem by integrating preferences profile and tagging recommendation and utilizing the interaction among users and system. This research work takes leverage of the interaction of a new user with the PLE system and generates recommendation for the new user, both implicitly and explicitly, thus solving new-user cold-start problem. The result shows the improvement of 31.57% in Precision, 18.29% in Recall and 8.8% in F1-measure.

영어학습을 위한 E-Learning 연구 (A Study of E-Learning by Multimedia for English)

  • 홍성룡
    • 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 /
    • 제7권1호
    • /
    • pp.59-65
    • /
    • 2006
  • 학습자들은 기존의 전형적인 교재와 강의실을 통한 학습 방법보다는 e-teaming 같은 새로운 학습 방법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터넷의 긍정적인 역할을 감안할 때, 외국어 학습에 멀티미디어 활용은 유용한 교수 방법이 될 것임에 틀림없다. 학습자가 언어 학습에서 시각적 자료의 활용을 선호한다는 점에서 멀티미디어를 이용한 E-learning은 영어 학습에 매우 중요한 교육 학습 방법이 될 수 있다. 이러한 장점은 언어 학습에서 학습자의 흥미를 유발하고 높은 학습 동기를 부여할 수 있다. 인터넷이나 웹을 통한 영어 학습의 장점은 컴퓨터의 다양한 멀티미디어 자료와 이러한 자료를 무한대로 반복재생 할 수 있어 반복 학습이 절대적인 영어 학습의 특성을 잘 적용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 영어 학습에 필요한 네 가지 Reading, Writing, Speaking, Listening을 중심으로 e-learning에서 멀티미디어를 활용하는 학습 방법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 PDF

자아정체감 형성을 돕는 교수 - 학습 과정안 개발과 수업 적용 효과 : 중학교 1학년 기술.가정교과'자아정체감의 발달'영역을 중심으로 (Research on the Application and Effectiveness of a Teaching and Learning Curriculum Fostering the Development of Self-Identity: With a Focus on the 'Self-Identity Development' Units in Technology and Home Economics Textbooks)

  • 이현정;조병은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7권3호
    • /
    • pp.23-34
    • /
    • 2009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analyze the development of a teaching and learning curriculum contributing to the development of self-identity, one of the most important developmental tasks during adolescence, and its effectiveness. This research analyzed the contents concerning self-identity and its subordinate concepts in 12 different technology and home economics textbooks for 7th graders. Based on the analysis, a teaching and learning curriculum contributing to the development of adolescents’' self-identity was developed and applied to classes through discretional creative activities. The effectiveness of the curriculum was analyzed by conducting a survey on the students before and after its application. Assessments were also conducted on the lessons applied. As a result, the lessons designed to help the development of self-identity increased the scores of self-identity, as well as all subordinate concepts, including subjectivity, self-acceptance, future planning, intimacy, stability and uniqueness. An ANCOVA analysis was conducted in order to determine whether the enhanced results of the survey after the classes were due to the application of the curriculum. It was found that the classes proved helpful to the students as the application of the curriculum remained effective even after the other influencing factors affecting selfidentity were controlled.

과학사를 활용한 '우리 몸' 단원의 교수·학습 프로그램이 초등학생들의 학업성취도, 과학 태도, 과학 탐구 능력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a Teaching-Learning Program Using the History of Science on Academic Achievement, Science Attitude, and Science Process Skill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 Focused on the Unit of 'Our Body' -)

  • 권정아;신동훈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34권3호
    • /
    • pp.325-337
    • /
    • 2015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 teaching-learning program using the history of science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science attitude, and science process skill. Subjects were 72 students of two groups in the 5th Grade. A experimental group of 36 was instructed 10 lessons in unit of 'our body' using the history of science. The history of science materials used in this program included 4 explicit method, which are Eii, Eij, Eik and Ea type, and 1 implicit method which is I type. The contents validity of this program was reviewed by the science education specialists.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Students of experimental group showed statistically more significant increase in academic achievement and science attitude than control group students.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on science process skill between the instruction by applying a teaching-learning program using the history of science and the traditional instruction. Since this program using the history of science is effective for the attitude improvement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as well as academic achievement, it is highly likely to be used as the science education material for students with the low affective ar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