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eaching evaluation element

검색결과 26건 처리시간 0.026초

대학 교수자의 수업전문성 향상을 목적으로 하는 e-티칭 포트폴리오의 구성요소 탐색 (An Exploration on Elements of e-Teaching Portfolio for Enhancing Teaching Expertise in Higher Education)

  • 이은화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20권2호
    • /
    • pp.236-248
    • /
    • 2008
  • This study has explored the elements of e-teaching portfolio for enhancing teaching expertise in higher education. This study is carried out through the literature review and expert's focus group interview. As the result of this study, seven elements of e-teaching portfolio for enhancing teaching expertise in higher education have been found. First, 'personal background' include curriculum vitae, course responsibility, and other educational activities. Second, 'teaching philosophy' include the principals on teaching and learning, statements of teaching philosophy. Third, 'learning environment' include the characteristics of students, the previous learning contents, and physical environment. Forth, 'course contents and methods' include teaching strategies and instructional materials, Fifth, 'instructional evaluation' includes the principals of evaluation and the examples of learning outcomes. Sixth, 'endeavor for improvement of instruction' include evidence of activity for teaching improvement and instruction feedback from peer and students. And e-teaching portfolio also includes research career and awards history element.

수학 수업평가 기준 개발에 관한 기초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the Standards on the Mathematics Teaching Evaluation)

  • 최승현;황혜정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9권3호
    • /
    • pp.327-352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현직 교사 전문성 발달의 일환으로, 교사 전문성의 핵심 영역인 수업과 관련된 일련의 활동에 대하여 수학 교과를 중심으로 학교 현장에 적용 가능한 수업평가 기준을 개발하고, 그 활용 방안을 안내하고자 하였다. 이 연구는 한국교육과정평가원에서 2년간 수행한 선행 연구(임찬빈 외, 2005, 2006)에 후속하는 제3차년도 연구에 해당하는 것으로, 이 연구에서의 수학과 수업평가 기준 개발은 제1, 2차년도의 연구 결과를 토대로 국내 외 교사 평가 및 수업평가에 관한 선행연구, 수학교육 전문가 협의회, 수업 관찰 및 면담 결과, 면담 교사의 수업 관련 자료 분석를 통하여 이뤄졌다. 또, 현장 교사들을 대상으로 수업평가 기준에 대한 적합성과 중요도를 묻는 설문 조사를 통해 기준(안)에 대한 적절성을 검토하여 최종안을 확정하였다. 수학과 수업평가 기준은 '지식', '계획', '실천', '전문성'의 4개 대영역하에, 6개의 중영역과 36개의 요소를 두고 있으며, 또 각 요소에 대하여 관찰지표와 수행수준을 마련하였다.

  • PDF

중등 과학 교사 수업 평가에 대한 사례 연구 (Case Study on Secondary Science Teachers' Classroom Teaching Evaluation)

  • 전화영;홍훈기;박은이;김현정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106-115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과학교사 모임에 참여하고 있는 교사의 수업 전문성을 알아보고자 교실 수업을 촬영하고 분석하였다. 수업 평가 기준은 한국교육과정평가원에서 제시한 과학과 수업 평가 기준의 평가 요소 중 12개를 사용하였다. 조사 결과, 첫째, 교사들은 학생과의 상호작용에서 가장 높은 수행 수준을, 수업 목표 진술 요소에서 가장 낮은 수행 수준을 나타내고 있었다. 둘째, 수업 수행 수준을 기준으로 분석했을 때, 우수 수준의 교사들은 경력이 15년 이상인 베테랑 교사들이었고 다양한 수업 자원을 사용하고 유의미한 학습 프로그램을 설계하고 있었다. 이에 비해 초보 수준의 교사들은 경력이 짧아서 수업 자원이 다양하지 못하고, 탄력적 수업 운영 요소가 부족하며 학생들과의 긍정적 상호작용이 적은 경직된 유형의 수업을 하고 있었다.

교사의 학습자 이해 지식에 초점을 둔 수학 수업평가 요소 탐색 (The Study on the Investigation of the Mathematics Teaching Evaluation Standards Focused on Understanding of Learners)

  • 황혜정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13권4호
    • /
    • pp.569-594
    • /
    • 2010
  • 교사의 수업 전문성 발달의 일환으로, 교사 전문성의 핵심 영역인 수업과 관련된 일련의 활동에 대하여 수업평가 기준을 마련하는 것은 의미 있는 일이라 하겠다. 이러한 취지하에, 좋은 수업, 교사 지식, 수업평가, 수업컨설팅 등에 관한 연구가 한국교육과정 평가원을 통해 지난 십년간 꾸준히 수행되어 왔다. 이러한 연구 결과 중, 교사 지식의 핵심 요소로 '교과 내용 지식', '학습자 이해', '교수 학습 방법 및 평가', '수업 상황' 등의 지식이 제안된 바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교사의 '학습자 이해' 지식에 초점을 두고 이에 관한 수학 수업에서의 평가 요소를 탐색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우선 교사의 학습자 이해 지식에 관한 의미를 재 탐색하고, 또한 학습자 이해와 관련된 몇몇 수업평가에 관한 선행 연구 결과들을 분석하여, 학습자인지 수준, 학습자 오 개념, 학습 동기, 수학적 태도, 학습 방법 등의 5개 영역에 따른 수업평가 요소(안)를 마련하였다.

  • PDF

수업 평가와 반성 저널쓰기를 통한 예비 과학교사들의 수업 수행 능력 개선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Teaching Competence of Pre-service Science Teachers based on the Teaching Evaluation and Reflective Journal Writings on Science Class)

  • 김현정;홍훈기;전화영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0권6호
    • /
    • pp.836-849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수업 평가와 수업 동영상을 활용한 반성 저널쓰기를 통해 예비교사들의 수업 수행 능력이 어떻게 변화하는지를 알아보았다. 6명의 예비 과학교사들의 수업을 촬영하고, 각 수업을 평가하였으며, 이들이 작성한 수업 동영상, 반성 저널, 인터뷰, 수업 자료, 수업 평가 등을 수집하였다. 수업 평가 기준은 한국교육과정평가원에서 제시한 과학과 수업 평가 기준의 평가 요소 중 16개를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 예비교사들은 대부분의 수업 평가 요소에서 수업시연 차시를 거듭할수록 수업 수행 능력이 향상되었다. '과학에서의 연계성 짓기'는 첫 수업에서 예비교사들이 가장 낮은 수행 능력을 보인 수업 요소로 차시를 거듭해도 크게 평가가 향상되지 않았으며, 실제 수업에선 생략되는 경우가 많았다. '유의미한 학습프로그램 설계하기'요소의 향상이 가장 적게 나타났으며, 예비교사들의 수업 수행 능력은 각 수업 평가 요소 별로 개인별 차이가 크게 나타났다. 예비교사들은 교육 실습 초기에 과학 수업에서 '과학개념의 이해'가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했으나, 후반기에는 상호작용과 존중, 학생 행동 관리하기 등의 중요성을 인식하는 생각의 변화를 보여주었다. 예비교사들은 수업 평가와 동영상을 통한 반성 저널의 작성이 수업 준비와 개선에 도움이 된다고 인식하고 있었으며, 수업 수행 능력의 향상이 예비교사들의 교사로서의 진로 지향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혼합현실 기반 중증외상 처치 시뮬레이션 교육 요구 조사: 군병원 간호사 대상 포커스 그룹 인터뷰 적용 (Educational needs of severe trauma treatment simulation based on mixed reality: Applying focus group interviews to military hospital nurses)

  • 장선미;황신우;정유미;정은영
    •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423-435
    • /
    • 2021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educational needs of a severe trauma treatment simulation program based on mixed reality which combines element of both virtual reality and augmented reality. Methods: Focus group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ten military hospital nurses on February 4 and 5, 2021.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a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As a framework for data analysis, the educational needs were clustered into the following four categories: teaching contents, teaching methods, teaching evaluation, and teaching environment. Results: The educational needs for each category that emerged were as follows: three subcategories including "realistic education reflecting actual clinical practice" and "motivating education" for teaching contents; five subcategories including "team-based education," "repeated education that acts as embodied learning," and "stepwise education" for teaching methods; six subcategories including "debriefing through video conferences," "team evaluation and evaluator in charge of the team," "combination of knowledge and practice evaluation" for teaching evaluation; six subcategories including "securing safety," "similar settings to real clinical environments," "securing of convenience and accessibility for learners," and "operating as continuing education" for teaching environment. Conclusi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can provide a guide for the development and operation of a severe trauma treatment simulation program based on mixed reality. Moreover, it suggests that research to identify the educational needs of various learners should be conducted.

수업 설계 및 실연의 자기평가 기준에 대한 고찰 (A Study of Criteria for Self-Assessment of Lesson Planning and Teaching Performance)

  • 김소형;김용석;한선영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55권2호
    • /
    • pp.171-192
    • /
    • 2016
  • As teachers' competency is evaluated based on their teaching performance. pre-service teachers need to have an opportunity to reflect on themselves by systematically analyzing and evaluating their own lesson planning and teaching performance through self-assessment. In this study, we aimed to examine what evaluation criteria for lesson planning and teaching performance pre-service mathematics teachers consider in the process of self-assessment. This study used a mixed-methods research design. To draw the self-evaluation criteria for lesson planning and teaching performance, pre-service self-reported assessments were analyzed using qualitative analyses. In addition, descriptive statistics were used to investigate the pre-service teachers' distribution across the criteria and check the ratio of pre-service mathematics teachers for each element. As a result, it was disclosed that pre-service mathematics teachers considered eight elements in self evaluating their own lesson planning and teaching performance. In addition, we found that pre-service mathematics teachers tended to consider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PCK) more than Subject-Matter Knowledge (SMK). Moreover, the results of this study provide educational implications for the curriculum in the pre-service teacher's education program.

전산 및 실험적 실무기반의 응용재료역학 교과목 적용에 관한 사례연구 (A Case Study on the Application of Hands-on Computational and Experimental Practices in Applied Mechanics of Materials)

  • 박선희;서영성
    • 공학교육연구
    • /
    • 제17권6호
    • /
    • pp.62-68
    • /
    • 2014
  • The purpose of this work is to provide systematic lecture materials for instructers who search for the effective teaching of applied mechanics of materials course with respect to lecture contents, teaching methods, and itemized course evaluations according to each class learning objective. For this. the evolution of teaching contents since 2010 until 2014 are briefly depicted and then most recent course learning objectives, lecture contents, and evaluation schemes are presented in detail. The results of this study may be used as base line data for the lecturers who teach similar courses and for the evaluation of program outcomes in ABEEK scheme through course-embedded assessment.

대학 강의평가 도구 개선 방안 연구 -"A" 대학의 강의평가 문항 개선 사례-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a Lecture Evaluation Tool in Higher Education -A case of improvement of a lecture evaluation questionnaire in "A" university-)

  • 박혜림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3권11호
    • /
    • pp.5033-5043
    • /
    • 2012
  • 본 연구의 목적은 현행 A대학의 강의평가 문항의 문제점을 보완하고 강의의 질 제고라는 강의평가의 본래 목적에 부합하도록 강의평가 문항을 개선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대학 교육에서의 좋은 수업의 의미, 선행 연구의 강의평가 영역 및 요소, A대학의 현행 강의평가 도구의 내용 및 문제점을 살펴보았으며, 이를 토대로 개선안을 제시하였다. 연구 결과로 제안된 개선안의 주요한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평가 영역, 평가 항목, 평가 문항의 구성 체계를 재구성하였다. 둘째, 강의 개선에 중요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대학에서의 좋은 강의의 특징을 토대로 문항을 개발하였다. 셋째, 선행 연구의 강의평가 도구들이 공통적으로 제시하고 있는 평가 요소 등과 관련한 문항을 개발하였다. 넷째, 강의의 질 제고를 위해 필요한 정보가 있다면, 산술평균으로 결과를 제시할 수 없더라도 관련 문항을 개발하였다. 다섯째, 현행 강의평가 문항의 문제점으로 지적된 부분을 수정 보완하였다.

중등 "가정" 교사 임용시험 문항 분석 - 평가 영역별 평가 내용 요소를 기준으로 - (An analysis of examination items for secondary Home Economics teaching certification - Focusing on evaluation content elements of Home Economics -)

  • 정상희;박미정;채정현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135-154
    • /
    • 2012
  • 본 연구의 목적은 2002년도부터 2011년도까지 10년간의 가정과 '임용시험 문항'(이하 '총 문항'이라 칭함)을 대상으로 분야별 출제 비율 분석, 평가 내용 요소(이하 '평가 요소'라고 칭함)에 따른 문항 분석, 임용 상세화 기준 개발 이전과 이후의 분야별 평가 내용 요소를 분석하는데 있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가정과교육학 분야의 분석 결과 총 문항 중 30.9%의 비중을 차지했으며, 최근에는 35%의 출제 비율을 보이고 있다. 평가 요소별 출제 비율을 보면 '가정과 교수 학습 방법의 실제'(33.2%)가 가장 높았으며, '가정과교육의 본질'(3.2%)은 가장 낮았다. 둘째, 식생활 분야의 분석 결과 총 문항 중 17.5%의 비중을 차지했으며, 최근에는 15%의 출제 비율을 보이고 있다. 평가 요소별 출제 비율을 보면 '조리원리 실습'(26.1%)이 가장 높았으며, '식생활 문화'(3.7%)는 가장 낮았다. 셋째, 의생활의 분야의 분석 결과, 총 문항 중 15%의 비중을 차지했으며 최근에는 12.5%의 출제 비율을 보이고 있다. 평가 요소별 출제비율을 보면 '의복 관리'(25.1%)와 '의복 및 생활용품 제작'(25.1%)이 가장 높았으며, '의복의 선택과 자기표현'(3.0%)은 가장 낮았다. 넷째, 주생활 분야의 분석 결과, 총 문항 중 11%의 비중을 차지했으며 최근에는 12.5%의 출제 비율을 보이고 있다. 평가 요소별로는 '주거생활문화의 이해'(22.5%)가 가장 높고, '주거실내디자인의 이해'(10.7%)는 가장 낮았다. 다섯째, 소비생활 분야의 분석 결과, 총 문항 중 12.4%의 비중을 차지했고, 최근에는 12.5%의 출제 비율을 보이고 있다. 평가 요소별 출제 비율을 보면 '가정자원관리'(34%)가 가장 높았으며, '생애설계와 가정복지'(0%)에서는 전혀 출제되지 않았다. 여섯째, 가족생활 분야의 분석 결과 총 문항 중 13.3%의 비중을 차지했고, 최근에는 12.5%의 출제 비율을 보이고 있다. 평가 요소별 출제 비율은 '가족에 대한 이해와 가족의 변화'(23.8%)가 가장 높았고, '결혼과 가족발달'(2%)은 가장 낮았다. 마지막으로, 전반적으로 임용 상세화 기준의 개발은 가정과 중등 임용 시험의 평가 영역별 내용 요소의 균등화와 다양화의 문제를 다소 완화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