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eaching Career

검색결과 318건 처리시간 0.03초

대학생의 영어캠프 보조교사 경험에 관한 연구 -역량, 영어능력, 직무와의 연관성을 중심으로- (The effects of participation at English camp as a teaching assistant)

  • 김지나;조인철
    • 영어어문교육
    • /
    • 제17권4호
    • /
    • pp.293-312
    • /
    • 2011
  • Many immersion programs have been established and managed throughout Korea in recent years in schools, English villages and camps. Research on the effects of various programs has been reported with focus on the program types or the benefits and learning outcomes for the participant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effects of participation at English camp as a teaching assistant by comparing some factors such as competence, English abilities, and connection to current studies/career before and after camp experience. The results show that all 17 competence rates rose with 'crisis management' showing prominent change. Also, the camp experience provides opportunity for improving English Test scores, conversational skills, teaching skills, and mostly language confidence. Lastly, the camp helped in setting career goals and was helpful in the preparation process of job seeking. Most of the subjects, the teaching assistants at camp, replied that the impact of camp experience is useful in current studies/career. In conclusion, the experience as camp teaching assistant is valuable in many aspects.

  • PDF

도서관을 활용한 실천적 문제중심 수업이 '생애설계와 진로탐색'에 관한 학습자의 의식 및 태도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Library Assisted Practical Problem-Based Home Economics Instruction on Student's Consciousness and Attitude of 'Life and Career Planning')

  • 김영신;이연숙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61-79
    • /
    • 2010
  • 본 연구는 현장에서 '생애설계와 진로탐색' 단원의 효과적인 수업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도서관을 활용한 실천적 문제 중심 학습의 활용 가능성을 제시하는데 목적을 두고 설계되었다. 제7차 교육과정 고등학교 10학년 12종 교과서의 '생활설계' 단원과, 2007 개정 교육과정 해설서의 9학년 '생애설계와 진로탐색' 단원에 대한 내용을 분석한 결과를 바탕으로 실천적 문제를 정의하고 '생애설계와 진로탐색' 단원의 내용을 재구성하여 10차시의 학교도서관을 활용한 실천적 문제중심 가정과 교수-학습 과정안을 개발하였다. 경기도 S고등학교의 재학생 139명을 대상으로 실험집단에는 개발된 학교도서관을 활용한 문제중심 수업을 도서관에서, 비교집단에는 동일주제를 가지고 교실에서 수업을 진행한 후 '생애설계와 진로탐색' 단원에 대한 의식 및 태도와 가정과에 대한 인식의 향상정도를 공변량 분석(ANCOVA)으로 알아보고, 학생의 수업방법에 대한 만족도를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개발된 도서관을 활용한 실천적 문제중심 수업은 교실에서의 실천적 문제중심 수업보다 '생애설계와 진로탐색'과 관련된 바람직한 의식과 태도를 형성하고 발전시키는데 크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가정교과를, 과학지식을 가정생활에 응용하는 능력을 기르는 교과, 가정과 연결된 사회문제 분석 능력을 기르는 교과, 주변사람들을 돌보고 존중하는 능력을 기르는 교과, 현대사회에서 중요한 교과라고 긍정적으로 인식하게 하는데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며, 수업방법과 수업 전반에 대한 학생들의 만족도가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 PDF

가정교과에서 '생활과 연계된' 생애 관점의 진로교육 탐색 (An Exploratory Study on the Life Career Education in Home Economics Education across the life span)

  • 이수희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123-142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가정교과에서 진로교육은 어떻게 자리매김 되어 왔으며, "진로와 직업" 과목과의 공통점과 상이점의 검토를 통해, 가정교과에서 진로교육의 정체성을 밝히고, 이러한 특성을 살릴 수 있는 대안적 진로교육 교수 학습 전략을 탐색하였다. 이를 위해 2007 및 2009 개정 실과(기술 가정) 교육과정, 2007 개정 교육과정에 기초해 집필된 중학교 1-3학년 가정과 교과서 각각 7권씩 21권과 진로와 직업 교과서 1권을 분석했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가정과 교육과정과 가정과 관련 학회지를 분석한 결과, 가정과에서의 진로교육은 가정교과의 중요한 한 영역으로서 자리매김 되고 있었다. 둘째, 가정교과와 "진로와 직업" 과목에서 다루는 진로교육의 내용은 자신의 이해, 진로탐색, 진로의사결정, 진로계획 수립 및 진로라는 내용을 다루고 있는 점에서는 공통점을 가지고 있으나, 교육내용을 다루는 관점과 구체적 내용에서는 차이를 보이고 있었다. 즉, "진로와 직업" 과목에서는 '직업과 연계된' 진로(vacational career) 개념의 진로교육에 초점을 맞추고 있는 반면, 가정교과에서는 가정생활, 직업생활, 지역생활을 고려하면서, 직업에 한정하지 않고 '생활과 연계된' 진로(life career) 개념의 진로교육에 초점을 맞추고 있었다. 셋째, 파악된 가정교과에서의 진로교육의 정체성을 살린 대안적 교수 학습 전략을 제안했다.

  • PDF

유아교사의 의사소통능력이 교수효능감 및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The Impact of Communicative Competence on the Teaching Efficacy and Job Satisfaction of Early Childhood Teachers)

  • 김사녀;부성숙
    • 한국생활과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511-524
    • /
    • 2013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mpact of the communicative competence of early childhood teachers on their teaching efficacy and job satisfaction in an attempt to provide some information on the development of the communicative competence of early childhood teachers. Study results show that, first, the teaching efficacy of early childhood teachers differed according to their age, education and career level and their communicative competence differed according to their career level. Second, communicative competence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teaching efficacy and job satisfaction. Third, among the sub-factors of communicative competence, focusing attention and responding exert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influence on teaching efficacy. Among the sub-factors of communicative competence, focusing attention, analyzing and evaluating exert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influence on job satisfaction.

교수자의 교수 스타일(Teaching Style)과 교육경험이 수업 분석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Class Climates Assessment on the Teaching Style and Teaching Career of Instructor)

  • 박형성;박정환;김수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5권1호
    • /
    • pp.256-263
    • /
    • 2014
  • 본 연구의 목적은 교수자의 교수 스타일과 교육경험이 수업분석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해 보는데 있다. 이를 통해 해당 요인들이 수업을 바라보는 관점에 차이가 있는지 확인할 수 있으며, 교육현장에서 교사들이 수업비평과 수업분석을 바라보는 분석관점의 차이를 확인할 수 있다. 연구대상은 초등학교에 근무하는 교사 198명을 대상으로, 교수 스타일을 분류하였다. 자료처리는 교육경험에 해당하는 교직경력을 확인하여 공변인으로 두고, 각각 교수 스타일에 따라 수업 분위기를 분석하는 관점의 차이를 확인하였다. 연구결과 수업분위기 분석의 요인인 창의성, 활기성, 치밀성, 온화성의 4가지 항목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수업분위기 분석에서 교수 스타일 중 전문성은 동일한 수업에서 창의성에 높은 점수를 부여했으며, 촉진자 스타일은 활기성에 가장 높은 점수를, 역할모델은 치밀성에 가장 높은 점수를, 촉진자와 역할모델은 온화성에 가장 높은 점수를 부여했다. 반면 권위적인 스타일과 위임자 스타일은 전체적인 수업분위기에서 가장 낮은 점수를 부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교수 스타일에 따라 수업을 분석하는 관점이 다르며, 전문가, 역할모델, 촉진자 스타일이 수업분석에 있어 반성적인 성찰과 허용적인 인식을 통해 분석하려는 의도가 비교적 강한 것으로 볼 수 있다.

학습 포트폴리오를 통한 '학습전략과 진로탐색' 교과목의 개선 효과 - A대학교 교양필수과목 사례를 중심으로- (The Effect of 'Learning Strategies and Career Development' Classes for Freshman - Focused on Utilization of the Learning Portfolio -)

  • 한안나
    • 교양교육연구
    • /
    • 제6권1호
    • /
    • pp.241-267
    • /
    • 2012
  • 본 연구는 신입생들이 대학생활에서 실제적으로 필요한 학업수행과 진로 탐색을 중심으로 이에 대한 방법적인 지식을 습득할 수 있는 교과목의 운영방법을 개선하고 그 효과를 탐색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A대학교에서 신입생들을 대상으로 교양필수로 개설, 운영 중인 '학습전략과 진로탐색' 교과목을 학습 포트폴리오(Learning Portfolio) 활용 중심의 교수-학습법으로 개선하여 운영하고 그 효과를 측정하였다. 연구를 위하여 문헌연구, 국내외 우수 사례 분석, 전문가 자문, 교수자 및 학습자 설문조사 등의 연구방법을 통해 학습 포트폴리오를 활용한 '학습전략과 진로탐색' 교과목을 2011학년도 1학기의 수업에 전면적으로 운영하고 그 효과를 살펴보았다. 활용결과, 담당 교수자와 과목 수강생들이 학습 포트폴리오 활용 교수-학습방법에 대해 만족하였으며, 과목 수강생 대상의 사전-사후 설문조사 결과 본 교과목의 수강이 학습전략과 진로탐색에 도움이 되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대학생의 가족건강성과 진로결정 어려움 간의 관계에서 진로자기조절의 매개효과 (Mediation effect of career self-regulation on the relation between family strength and career decision-making difficulties)

  • 신윤정;전주람
    • 한국가족복지학
    • /
    • 제56호
    • /
    • pp.105-133
    • /
    • 2017
  • 본 연구는 대학생들이 인식한 가족건강성, 진로자기조절과 진로결정 어려움 세 변인간의 구조적관계를 탐색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소재 4년제 대학교에 재학 중인 남녀대학생 172명을대상으로 가족건강성, 진로자기조절, 진로결정 어려움 척도로 구성된 설문을 실시하여, 진로자기조절의 매개효과를 가정한 부분매개모형인 연구모형을 검증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가족건강성은 진로결정 어려움에 직접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가족건강성과 진로결정 어려움 간의 관계를 진로자기조절이 유의미하게 매개하였다. 셋째, 부분매개모형이 완전매개모형보다더 자료에 부합함이 확인되었다. 이는 대학생들의 진로문제에 가족건강성이 미치는 직 간접적인영향력이 높음을 보여주는 결과로, 진로상담시, 가족환경에 대한 탐색 뿐 아니라 진로자기조절능력 증진을 위한 개입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일부 치위생과 학생의 수업방법에 따른 수업인식과 진로인식 변화에 관한 연구: 치면세마 수업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Changes in Class Awareness and Career Awareness According to the Teaching Methods of Some Dental Hygiene and Students: Focusing on the professional tooth cleaning class)

  • 손은교;박일순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8권11호
    • /
    • pp.355-363
    • /
    • 2020
  • 본 연구는 강원도 일부 지역의 치위생과 학생들을 대상으로 수업방법에 따른 수업 인식과 진로 인식의 변화를 살펴보기 위한 연구이다. 동일한 설문지를 사용하여, 2019년 12월에 대면 수업 후 1차 설문을 진행하였고, 2020년 7월에 비대면 수업 후 2차 설문을 진행하였다. 통계분석은 SPSS 24.0을 사용하였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다. 학년에 따른 수업 인식과 진로 인식에 차이를 보였고, 학교생활 만족도와 치면세마 수업 만족도에 따라 진로 관심과 진로 호기심, 진로 자신감 차이를 보였다. 비대면 수업의 경우 인터넷을 통한 진로 결정의 비중이 높아졌으며, 진로 자신감도 상승하였다. 이 결과들은 실기과목 수업 운영에 있어 융복합적 측면을 고려한 플립러닝 수업과 같은 방법의 활용과 실기시험을 위한 표준화된 실기 동영상 제작에 필요한 기초자료로 제공될 수 있을 것이다.

공과대학 학생의 전공-진로 일치 여부에 따른 학업 성취, 태도 및 진로타협 양상 비교 분석: 서울대학교 공과대학 사례를 중심으로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Academic Achievements, Learning Attitudes, and Career Compromising Processes of the Undergraduate Students in the Colleges of Engineering According to Their Levels of Major-Career Connection : Focusing on the Engineering Students in Seoul National University)

  • 최정아;이희원
    • 공학교육연구
    • /
    • 제15권2호
    • /
    • pp.20-29
    • /
    • 2012
  • 직업흥미와 적성에 맞는 일을 하는 것이 개인의 정서적 안정 및 일의 효율성 면에서 긍정적인 영향을 끼친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는 학업우수 공대학생들의 전공진입에 따른 학업성취, 학습태도, 진로결정 양상을 검토하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하여 공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자신이 선택한 전공과 진로와의 연관성을 조사하였고, 연관성이 있는 집단과 그렇지 않은 집단 간에 학업성취, 학습태도, 진로타협 양상이 차이를 보이는지 분석하였다. 그 결과 공대학생의 전공과 진로방향과의 일치정도는 그들의 학업성취와 연관성이 높으며, 실제로 그들의 학습태도는 학업성취동기와 상관성이 높았고, 아울러 미래 학습태도에도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일치 정도는 향후 진로 결정과정에도 영향을 주기 때문에 본 연구 결과는 공대학생의 진로 지도 및 교육적 지원 방안을 모색하는 데 기초 자료를 제공할 것이다.

STEM 전공 대학생의 진로동기, 진로탐색행동에 대한 인식 차이와 영향요인 (Differences in Career Motivation and Career Exploration Behavior Among STEM Students and Their Affecting Factors)

  • 황순희;조성희
    • 공학교육연구
    • /
    • 제27권1호
    • /
    • pp.13-31
    • /
    • 2024
  • In recent times, STEM graduates are confronting a decline in employment rates influenced by economic, social, cultural, and policy-related factors. Career decisions are closely linked to education, college experiences, and university settings. To comprehend the reasons behind the decline in STEM employment, it is essential to explore the relationships among these factors. This study aims to comprehensively examine differences in career motivation and career exploration behavior among 2,393 STEM undergraduates in Korea. Additionally, factors affecting career motivation and career exploration behavior were investigated. The findings indicate significant differences in perceived career motivation and career exploration behavior based on individual backgrounds and university characteristics. And analyzing the data, 37.8% of career motivation is explained by contextual supports, career barriers, individual backgrounds (grade, GPA), university characteristics (major fields, location), field to enter after graduation, and timing of job preparation. For career exploration behavior, 30.1% is explained by contextual supports, career barriers, individual backgrounds (gender, grade, GPA), university characteristics (major field, location), field to enter after graduation, and timing of job preparation. Practical implications underscore the need for tailored educational and policy support, considering individual backgrounds and university characteristics, to effectively address challenges faced by STEM graduates in the evolving employment landscap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