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eacher-child Interactions

검색결과 69건 처리시간 0.028초

보육교사의 교사-유아 상호작용 평가 척도 개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Interaction Scale between Teachers and Children for Childcare Teachers)

  • 김현지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1-19
    • /
    • 2005
  • 본 연구의 목적은 여성가족부에서 발간한 2005년 보육시설 평가인증지침을 기초로 보육교사의 교사-유아 긍정적 상호작용을 평가할 수 있는 도구를 개발하는데 목적이 있으며, 본 척도의 타당도와 신뢰도를 검증함으로써 그 적합성을 알아보는데 있다. 어린이집에서 만 3세 이상의 보육을 담당하는 보육교사 205명이 연구대상이며, 보육교사의 교사-유아 상호작용 평가도구의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해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8요인으로 분류되었고, 각각 '긍정적인 교사의 말과 행동', '또래간 긍정적 상호작용의 격려', '낮잠시간배려', '화장실 사용배려', '유아의 부정적 정서수용 및 문제상황개입', '유아의 자유놀이에 긍정적 참여', '유아에 대한 평등한 대우', '식사와 간식시간배려'등으로 명명되었다. 보육교사의 교사-유아 상호작용 평가 도구의 신뢰도는 .94이며, 제작된 보육교사의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영역들간에 유의한 정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갈등적 수줍음형 사회적 위축 유아를 위한 증강현실 기반 개입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검증 (The Effect of an Augmented Reality-Based Intervention Program on Social Withdrawal in Children with Conflicted Shyness)

  • 김윤경;박주희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1-27
    • /
    • 2023
  • Objective: This study designed an Augmented Reality-based intervention program for children with conflicted shyness and examined its effects on social avoidance motivation and preference for being with others. Methods: Sixteen six-year-old children were randomly assigned to either the experimental or control group. The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ed in a six-week AR-based program. Both teachers and children rated social avoidance motivation and preference for being with others to evaluate the program's effectiveness.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Wilcoxon signed-rank test and the Mann-Whitney U test. Results: Social avoidance motivation decreased only for the experimental group. Conversely, the control group showed increased motivation scores as reported by the children. The preference for being with others increased in the experimental group based on teacher reports. For the control group, preference scores reported by teachers and children were maintained and decreased, respectively. Conclusion/Implications: This study highlights the effectiveness of the intervention in reducing social avoidance motivation and maintaining a preference for being with others in children experiencing conflicted shyness. Furthermore, the use of AR technology provided a psychologically safe environment for them to initiate social interactions without fear of negative evaluation, highlighting its potential as a primary intervention tool for this population.

어린이집 이용 영유아의 어머니와 교사에 대한 애착과 교사의 반응성과의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young children's attachment to their mothers and teachers respectively and teachers' responsiveness)

  • 김숙령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4호
    • /
    • pp.215-221
    • /
    • 2016
  • 본 연구의 목적은 어린이집을 이용하는 영유아의 어머니 및 교사에 대한 애착과 교사의 반응성과의 관계를 검증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D시 어린이집에 재원중인 12개월에서 36개월 사이의 영유아 64명과 어머니, 그리고 영유아를 담당하는 교사들이다. 연구도구로 애착 Q-set검사와 교사의 반응성도구를 사용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조사도구의 신뢰도를 위해 Cronbach's ${\alpha}$와 연구문제를 위해 Pearson 적률상관계수를 구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첫째, 교사의 일관성, 온정성, 민감성은 영유아의 교사에 대한 안정된 애착과 유의미한 상관이 있었다. 둘째, 교사의 온정적인 태도와 민감한 반응은 영유아의 어머니에 대한 안정된 애착과 유의미한 상관이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영유아를 담당하는 보육교사의 민감하고 반응적인 특성이 영유아의 교사에 대한 애착뿐 아니라 어머니에 대한 애착 형성에도 매우 중요한 변인임을 말해주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영유아를 담당하는 교사가 애정적인 신체접촉과 함께 긍정적인 정서로 일관되고 민감하게 영유아에게 상호작용하는 반응성이 얼마나 중요한지 검증함과 동시에, 이러한 교사의 특성이 영아-교사간의 관계에 대한 영향을 넘어 영아-부모간의 관계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중요한 요인이 된다는 것을 밝혀주었다.

주의력결핍 과잉활동 장애 아동에서 약물 단독 치료와 부모 훈련 병합 치료의 효과 비교 (COMPARISON OF THE TREATMENT EFFECTS BETWEEN MEDICATION ONLY AND MEDICATION-PLUS-PARENT TRAINING IN ADHD CHILDREN)

  • 신민섭;오경자;홍강의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제6권1호
    • /
    • pp.65-73
    • /
    • 1995
  • 본 연구에서는 ADHD로 진단된 5세에서 11세 연령 범위의 임상 환아 집단을 대상으로 부모 훈련과 약물(메칠펜)을 병행한 치료와 약물만을 단독으로 사용한 치료 효과를 비교하였다. 8주간의 부모 훈련과 약물 치료를 실시한 결과, ADHD 아동들이 학교나 가정에서 보이는 주의산만함, 충동성, 과잉활동성 등 문제 행동을 감소시키고 부모의 양육 스트레스를 감소시키는데 부모 훈련과 약물 치료를 병행하는 것이 약물치료를 단독으로 사용하는 것보다 매우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약물 치료만을 사용한 경우, 부모가 평정한 아동의 문제 행동 잠수와 양육 스트레스 점수상에서는 거의 변화가 없는 반면, 교사의 평정치와 TOVA 검사의 Reaction Time과 Variability 점수가 비록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는 않았으나 약물 치료후에 정상 범위로 감소되는 경향이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메칠펜이 주의력 결핍 중상의 치료에 효과적일 수 있으나, ADHD 아동이 학교나 가정에서 보이는 문제 행동을 변화시키고 부모나 교사가 ADHD 아동에 대해 가지고 있는 부정적인 인식을 변화시킬 뿐만 아니라 부모들의 자녀양육 스트레스를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부모 훈련이 반드시 필요하다는 점을 시사해 주었다.

  • PDF

자유놀이에 나타난 영아와 교사의 상호작용 의도 (The Intention during the Interaction between Infants and Their Teachers while Playing Freely)

  • 조혜경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8권10호
    • /
    • pp.203-216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어린이집의 자유놀이에서 나타나는 영아와 교사가 각각 상호작용을 시작하려는 의도를 검토하여 발달을 도모하는 상호작용이 무엇인지를 탐구하려고 한다. 연구방법은 질적 연구방법으로 연구대상은 영아 9명과 영아반 교사 3명이다. 자료 수집은 영아의 오전일과에서 교사-영아 상호작용에 초점을 두고 캠코더로 녹화한 후 전사하였다. 3개월 동안 총 24회 관찰과 교사와 심층면담 그리고 연구대상 어린이집의 생활안내 책자, 일간/월간/연간계획안, 관찰기록, 행동발달 관찰기록서 등을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연구문제 1인 자유놀이에 나타난 영아의 상호작용 의도는 첫째, 어떻게 놀이해야 하는지를 알기위해 둘째, 일상 관련한 그림책의 내용을 보기위해 셋째, 정서적 요구의 충족을 위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문제 2인 자유놀이에 나타난 교사가 먼저 상호작용을 시작하는 의도는 첫째, 사물탐색과 놀이시도를 돕기 위해 둘째, 교사중심에서 영아주도의 놀이전이를 위하여 셋째, 울음으로 의사를 표현하는 영아를 달래기 위한 것으로 나타났다. 상호작용의 질을 높이고 영아의 발달을 도모할 수 있는 영아 중심적 관점에서의 영아-교사의 상호작용에 대한 장기적 심층적 연구가 요망된다.

만 2세 영아반의 교실문화에 관한 질적연구 (A Qualitative Study on Classroom Culture in a Toddler Class of 2 year olds)

  • 홍성희;조은래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9권6호
    • /
    • pp.171-196
    • /
    • 2013
  • 영아에게 어린이집 교실은 물리적 환경을 넘어서 영아와 교사가 서로 상호작용하며 관계를 형성해 가는 공간이며, 사회적 삶을 시작하는 공간이다. 영아가 교실 속에서 어떠한 문화를 경험하고 형성해 가는가를 이해하는 것은 영아의 바람직한 성격형성과 사회성 발달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할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만2세 영아반 교실문화의 특성에 대하여 살펴보고자 하였다. 자료수집은 H어린이집 만 2세반 영아들을 대상으로 16회기 동안 비 참여 관찰, 교사면담을 통하여 이루어졌으며, 수집된 자료는 질적 연구의 주제 분석에 따라 주의 깊게 읽고 범주화 하는 과정을 거쳤다. 그 결과 만 2세 영아반의 교실문화는 '함께하기'로 나아가는 과도기적 문화, 몸을 통한 의사소통 문화, 교사를 향한 절대적 의지와 반응의 문화, 해체와 통합이 공존하는 문화의 4가지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영아의 교실에서의 생활과 사회관계의 경향성에 대한 이해를 높이는데 도움이 되고, 교실문화의 주체자로서의 영아에 대한 재인식, 교사의 적절한 지도방향의 모색, 보육환경을 마련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메타인지를 활용한 초등과학 영재프로그램이 학습 몰입도와 언어적 상호작용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Scientific Program for Gifted Elementary Students using Metacognition on Learning-flow and Lingual Interaction)

  • 이남주;백성혜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32권4호
    • /
    • pp.415-422
    • /
    • 2013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cientific program for gifted elementary students using metacognition on learning-flow and lingual interaction. For the purpose, the two classes for elementary science of P Institute for Gifted Education located in Pusan were assigned to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respectively. The experimental and controls groups received eight sessions applying a program for scientifically gifted students using metacognition and same program without using it, respectively. The learning-flow test and the lingual interaction observed among students and between teacher and students pre and post program were compared and analyzed. The results shows tha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pretest and posttest in experimental group, indicating that learning-flow is not a construct obtained by short-term using of metacognition. For the lingual interactions, however, the amounts of conversation and the ratio of high level conversation in experimental group were 1.6 and 1.5 times higher than those in control group. This suggests that the lingual interaction may be varied among classes even with same experiments, by instruction method. The lingual interaction is not active in control group where the experimental results may be obtained easily only with sincere attitude while, in experimental group, questions using metacognition and providing intellectual stimulation is continuously presented, leading to high level of lingual interaction, therefore it is considered that the development of scientific program for gifted elementary students using these advantages is needed.

유아교사용 다문화 교육실제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Development and Validity of Preschool Teacher's Multicultural Education Practices Scale)

  • 유효순;이채호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81-96
    • /
    • 2011
  •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교육기관 교사의 다문화 교육실제 척도를 타당화 하는데 있다. 본 연구의 연구대상은 탐색적 요인분석을 위한 서울지역의 유아교육기관 20곳에서 표집된 교사 200명과 확인적 요인분석을 위한 서울, 경기 지역의 유아교육기관 40곳에서 표집된 교사 310명이었다.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 본 척도는 다양한 민족알기, 다문화 유아와 상호작용, 다양한 문화알기의 3개 하위요인으로 총 13문항으로 개발되었다. 유아교육기관 교사의 다문화교육 실제척도의 신뢰도(Cronbach's ${\alpha}$)는 .87으로 나타났으며 하위요인에 대한 신뢰도는'다양한 민족 알기' .82, '다문화 유아와의 상호작용' .82, '다양한 문화 알기' .74로 나타났다.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유아교육기관 교사의 다문화 인식척도 모델의 적합도를 검증한 결과 RMSEA=.08, SRMR=.06, NNFI=.90, CFI=.92으로 나타나 유아교육기관 교사의 다문화 교육실제 척도가 적합한 도구임이 확인되었다.

유아의 또래 상호작용 유형에 대한 유아의 내적 변인과 환경적 변인 차이 연구 (On the type of peer interaction The difference between the inner and the environmental variables of infants)

  • 최항준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6호
    • /
    • pp.448-459
    • /
    • 2019
  • 본 연구는 유아의 또래 상호작용 유형에 대한 유아의 내적 변인(성별, 기질, 발달)과 환경적 변인(교수효능감, 교수-유아 상호작용, 교실환경)의 차이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를 위해 수집된 자료는 SPSS 2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신뢰도분석, 상관분석, 군집분석, t-검증을 실시하였다. 이에 따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의 또래 상호작용은 유형간 성별에 대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유아의 또래 상호작용은 유형 간 기질과 언어발달 및 인지발달에 차이가 있었다. 셋째, 유아의 또래 상호작용은 유형 간 환경적 변인인 교수효능감, 교사-유아 상호작용, 교실환경에서 차이가 있었다. 이러한 결과로 유아가 긍정적 또래 상호작용을 할수록 유아의 사회성 기질은 또래 상호작용을 건강하게 유도할 것이며, 언어발달과 인지발달도 긍정적 발달과정으로 유도할 것이라고 사료된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유아의 또래 상호작용을 살펴봄에 있어서 유아가 소유한 내적 변인에 속하는 성별과 기질, 언어와 인지발달, 그리고 환경적 변인인 교수효능감, 교사-유아상호작용, 교실환경이 지니는 의미를 알아보았다. 또한 유아의 또래 상호작용을 살펴봄에 있어서 긍정적 부정적 또래 상호작용을 세분화하여 구체적으로 알아본 데 그 의의가 있다고 사료된다. 그러나 유아의 개인적 변인과 환경적 변인에 속하는 모든 분야를 살필 수 없어 한정된 범위에서 변인을 결정한 점이 본 연구가 가지는 제한점에 해당되기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