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14698/jkcce.2013.9.6.171

A Qualitative Study on Classroom Culture in a Toddler Class of 2 year olds  

Hong, Sung Hee (부산대학교 유아교육과)
Cho, Eun-Lae (부산대학교 유아교육과)
Publication Information
Korean Journal of Childcare and Education / v.9, no.6, 2013 , pp. 171-196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classroom culture in a toddler class of 2 year olds. Data was collected through 16 sessions of non-participatory observations and teacher interviews of toddlers in H daycare center. Collected data was carefully read and categorized accordingly to fit the theme of this qualitative study. Data analysis yielded four conclusions regarding the toddlers' classroom culture: behavior to advance together as a group, communicating through body language, complete reliance and responses towards the instructor, and a dichotomy between disintegration and integration. The result of this study suggests a need for instructor's proper guidance and establishing an appropriate childcare environment, as well as a reconsideration regarding toddlers as a host of the classroom culture, to increase the understanding of toddler's interactions in classrooms and social trends.
Keywords
toddler class of western age 2; classroom culture; a qualitative study;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2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하경용(2011). 만 2세 영아의 또래 간 갈등에서 교사의 개입 전략과 교사의 개입 전략에 따른 영아의 상호작용 전략 분석, 한국교원교육연구, 28(1), 291-312.
2 최은정, 하지영, 서소정(2009). 보육시설에서의 영아-교사 상호작용과 영아의 발달수준, 교사의 민감성 및 초기 가정환경 간의 관련성에 관한 연구, 아동학회지, 30(2), 71-95.   과학기술학회마을
3 최현주, 최연철(2013). 만4세 자유선택놀이에서 나타나는 또래문화의 특성. 한국보육지원학회지, 9(1), 241-262.
4 최혜순(1993). 유아 사회교육의 이론과 실제. 서울: 학문사.
5 하지영, 서소정(2011). 영아와 교사의 상호작용에 관한 단기종단연구 영아와 교사의 상호작용에 관한 단기종단연구, 열린유아교육연구, 16(2), 109-140.
6 Gold-Meadow, S. (2000). Beyond word: The important of gesture to researchers and learners. Child Development, 71(1), 231-239.   DOI   ScienceOn
7 Hatch, J. A. (2008). Doing qualitative research in education settings, 교육상황에서 질적연구 수행하기(진영은 옮김). 서울: 학지사(원판 2002).
8 Hess, S. (1988). Organizing the pesidency. Washington, D. C.: Brookings Institution.
9 Thyssen, S. (2003). Child culture, play and child development. Early Child Development and Care, 173(6), 589-612.   DOI   ScienceOn
10 김길숙(2009). 가정문해환경과 교실 문해환경이 유아의 이야기 이해력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1 김미숙(2006). 영아 학급에서의 일상적(daily) 우정의 형성 과정: 함께하기(being together)와 공동체 문화. 열린유아교육연구, 11(6), 153-175.
12 강창동(2003). 한국의 교육문화사. 서울: 문음사.
13 김성현(2003). 만 2세 영아의 의사소통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4 구수연, 나성식(2006). 재원영아의 적응 특성 이해. 열린유아교육연구, 11(2), 331-359.
15 김미영(2013). 영아발달. 서울: 정민사.
16 김민영, 손수민(2009). 만 2세 영아의 놀이성과 보육시설 기관적응에 관한 연구, 열린유아교육연구, 14(5), 71-92.
17 김영석(2001). 교실문화와 비형식적 사고의 발달. 사회과학교육연구, 2, 81-96.
18 김용정(2009). 교사문화의 진단도구 개발 및 특성분석. 부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 김유화(2008). 유아의 놀이문화 형성 과정 속 '갈등'에 대한 질적연구. 열린유아교육연구, 13(5), 269-284.
20 김의향(2005). 7-24개월 영아의 의사소통적 몸짓과 어휘 습득간의 관계.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1 김정연(1996). 대상과 성별에 따른 영아의 언어적.비언어적 상호작용.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2 김주아(2007). 그림책을 활용한 만 2세 영아의 몸짓 언어 프로그램 개발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3 김지현, 양옥승(2009). 어린이집에서 영아 보육이 지니는 의미: 보살핌과 가르침. 유아교육연구, 29(2), 163-189.
24 김희연, 오문자(2009). 유아 교실에서의 교사 협력: 2교사제 교사들의 내러티브. 열린유아교육연구, 14(4), 277-296.
25 서소정(2009). 영아의 보육기관적응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영아발달, 기질, 교사-영아간의 상호작용, 어머니의 양육 및 보육신념과 적응지원 전략을 중심으로.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6(4), 259-288.
26 목영해(1997). 카오스 이론의 교육학적 함의. 교육사상연구, 6(1), 117-134.
27 보건복지부(2012). 보육통계.
28 이광자, 엄신자, 손승영, 전신현(1999). 21세기 사회학. 서울: 학지사
29 서현아, 신경민(2003). 자연이라는 교실, 그리고 유아들. 열린유아교육연구, 8(3), 317-335.
30 오정희, 김성숙(2011). 교사-유아 간 교실대화의 의미 탐색. 열린유아교육연구, 16(4), 33-59.
31 이성숙(2000). 유치원 교실문화. 문화연구, 4, 161-179.
32 이순형, 김정연(1997). 보육 시설 내 성별에 따른 영아와 교사 및 또래간의 사회적 상호작용. 아동학회지, 18(1), 23-38.
33 이연선(2006). 교사-유아 가 교실 담론 분석. 열린유아교육연구, 11(3), 23-45.
34 이연선, 윤정혜(2006). 현상학적 관점에서 본 유아의 성에 따른 또래 놀이 문화. 유아교육연구, 15(2), 171-194.
35 이영자, 유효순, 이정욱(2002). 유아사회교육. 서울: 교문사.
36 이정선, 최영순(2007). 초등학교문화 이해. 서울: 양서원.
37 임부연, 김성숙(2010). 유아교실문화에 대한 문화 기술적 연구. 열린유아교육연구, 15(5), 315-340.
38 장사형(2004). 유아교실에서의 교사-유아 담론의 도덕적 함의 고찰. 열린유아교육연구, 9(4), 219-238.
39 장영희, 곽승주(2004). 2세 영아-교사간 상호작용에 관한 문화기술적 연구, 아동학회지, 25(4), 71-92.
40 정미조, 김희진(2009). 교사가 인식한 영아-교사 관계와 놀이 시 나타난 영아-교사 및 영아-또래 상호작용. 아동학회지, 30(3), 99-112.   과학기술학회마을
41 정수현(2009). 교실 문화 이해를 위한 카오스 이론의 적용 가능성 탐색. 초등교육학연구, 16(1), 117-135.
42 차영숙(2009). 영아들의 초기 사회적 삶에 대한 이야기,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6(4), 227-257.
43 Robert, S. (1993). Art and creative development for young children. Nelson, Canada: Delmar Publishers Inc.
44 김정선(2003). 어머니의 언어통제유형과 유아의 사회적 능력의 관계. 총신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