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Qualitative Study on Classroom Culture in a Toddler Class of 2 year olds

만 2세 영아반의 교실문화에 관한 질적연구

  • 홍성희 (부산대학교 유아교육과) ;
  • 조은래 (부산대학교 유아교육과)
  • Received : 2013.08.15
  • Accepted : 2013.12.24
  • Published : 2013.12.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classroom culture in a toddler class of 2 year olds. Data was collected through 16 sessions of non-participatory observations and teacher interviews of toddlers in H daycare center. Collected data was carefully read and categorized accordingly to fit the theme of this qualitative study. Data analysis yielded four conclusions regarding the toddlers' classroom culture: behavior to advance together as a group, communicating through body language, complete reliance and responses towards the instructor, and a dichotomy between disintegration and integration. The result of this study suggests a need for instructor's proper guidance and establishing an appropriate childcare environment, as well as a reconsideration regarding toddlers as a host of the classroom culture, to increase the understanding of toddler's interactions in classrooms and social trends.

영아에게 어린이집 교실은 물리적 환경을 넘어서 영아와 교사가 서로 상호작용하며 관계를 형성해 가는 공간이며, 사회적 삶을 시작하는 공간이다. 영아가 교실 속에서 어떠한 문화를 경험하고 형성해 가는가를 이해하는 것은 영아의 바람직한 성격형성과 사회성 발달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할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만2세 영아반 교실문화의 특성에 대하여 살펴보고자 하였다. 자료수집은 H어린이집 만 2세반 영아들을 대상으로 16회기 동안 비 참여 관찰, 교사면담을 통하여 이루어졌으며, 수집된 자료는 질적 연구의 주제 분석에 따라 주의 깊게 읽고 범주화 하는 과정을 거쳤다. 그 결과 만 2세 영아반의 교실문화는 '함께하기'로 나아가는 과도기적 문화, 몸을 통한 의사소통 문화, 교사를 향한 절대적 의지와 반응의 문화, 해체와 통합이 공존하는 문화의 4가지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영아의 교실에서의 생활과 사회관계의 경향성에 대한 이해를 높이는데 도움이 되고, 교실문화의 주체자로서의 영아에 대한 재인식, 교사의 적절한 지도방향의 모색, 보육환경을 마련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창동(2003). 한국의 교육문화사. 서울: 문음사.
  2. 구수연, 나성식(2006). 재원영아의 적응 특성 이해. 열린유아교육연구, 11(2), 331-359.
  3. 김길숙(2009). 가정문해환경과 교실 문해환경이 유아의 이야기 이해력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4. 김미숙(2006). 영아 학급에서의 일상적(daily) 우정의 형성 과정: 함께하기(being together)와 공동체 문화. 열린유아교육연구, 11(6), 153-175.
  5. 김미영(2013). 영아발달. 서울: 정민사.
  6. 김민영, 손수민(2009). 만 2세 영아의 놀이성과 보육시설 기관적응에 관한 연구, 열린유아교육연구, 14(5), 71-92.
  7. 김성현(2003). 만 2세 영아의 의사소통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8. 김영석(2001). 교실문화와 비형식적 사고의 발달. 사회과학교육연구, 2, 81-96.
  9. 김용정(2009). 교사문화의 진단도구 개발 및 특성분석. 부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0. 김유화(2008). 유아의 놀이문화 형성 과정 속 '갈등'에 대한 질적연구. 열린유아교육연구, 13(5), 269-284.
  11. 김의향(2005). 7-24개월 영아의 의사소통적 몸짓과 어휘 습득간의 관계.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2. 김정선(2003). 어머니의 언어통제유형과 유아의 사회적 능력의 관계. 총신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3. 김정연(1996). 대상과 성별에 따른 영아의 언어적.비언어적 상호작용.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4. 김주아(2007). 그림책을 활용한 만 2세 영아의 몸짓 언어 프로그램 개발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5. 김지현, 양옥승(2009). 어린이집에서 영아 보육이 지니는 의미: 보살핌과 가르침. 유아교육연구, 29(2), 163-189.
  16. 김희연, 오문자(2009). 유아 교실에서의 교사 협력: 2교사제 교사들의 내러티브. 열린유아교육연구, 14(4), 277-296.
  17. 목영해(1997). 카오스 이론의 교육학적 함의. 교육사상연구, 6(1), 117-134.
  18. 보건복지부(2012). 보육통계.
  19. 서소정(2009). 영아의 보육기관적응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영아발달, 기질, 교사-영아간의 상호작용, 어머니의 양육 및 보육신념과 적응지원 전략을 중심으로.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6(4), 259-288.
  20. 서현아, 신경민(2003). 자연이라는 교실, 그리고 유아들. 열린유아교육연구, 8(3), 317-335.
  21. 오정희, 김성숙(2011). 교사-유아 간 교실대화의 의미 탐색. 열린유아교육연구, 16(4), 33-59.
  22. 이광자, 엄신자, 손승영, 전신현(1999). 21세기 사회학. 서울: 학지사
  23. 이성숙(2000). 유치원 교실문화. 문화연구, 4, 161-179.
  24. 이순형, 김정연(1997). 보육 시설 내 성별에 따른 영아와 교사 및 또래간의 사회적 상호작용. 아동학회지, 18(1), 23-38.
  25. 이연선(2006). 교사-유아 가 교실 담론 분석. 열린유아교육연구, 11(3), 23-45.
  26. 이연선, 윤정혜(2006). 현상학적 관점에서 본 유아의 성에 따른 또래 놀이 문화. 유아교육연구, 15(2), 171-194.
  27. 이영자, 유효순, 이정욱(2002). 유아사회교육. 서울: 교문사.
  28. 이정선, 최영순(2007). 초등학교문화 이해. 서울: 양서원.
  29. 임부연, 김성숙(2010). 유아교실문화에 대한 문화 기술적 연구. 열린유아교육연구, 15(5), 315-340.
  30. 장사형(2004). 유아교실에서의 교사-유아 담론의 도덕적 함의 고찰. 열린유아교육연구, 9(4), 219-238.
  31. 장영희, 곽승주(2004). 2세 영아-교사간 상호작용에 관한 문화기술적 연구, 아동학회지, 25(4), 71-92.
  32. 정미조, 김희진(2009). 교사가 인식한 영아-교사 관계와 놀이 시 나타난 영아-교사 및 영아-또래 상호작용. 아동학회지, 30(3), 99-112.
  33. 정수현(2009). 교실 문화 이해를 위한 카오스 이론의 적용 가능성 탐색. 초등교육학연구, 16(1), 117-135.
  34. 차영숙(2009). 영아들의 초기 사회적 삶에 대한 이야기,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6(4), 227-257.
  35. 최은정, 하지영, 서소정(2009). 보육시설에서의 영아-교사 상호작용과 영아의 발달수준, 교사의 민감성 및 초기 가정환경 간의 관련성에 관한 연구, 아동학회지, 30(2), 71-95.
  36. 최현주, 최연철(2013). 만4세 자유선택놀이에서 나타나는 또래문화의 특성. 한국보육지원학회지, 9(1), 241-262.
  37. 최혜순(1993). 유아 사회교육의 이론과 실제. 서울: 학문사.
  38. 하경용(2011). 만 2세 영아의 또래 간 갈등에서 교사의 개입 전략과 교사의 개입 전략에 따른 영아의 상호작용 전략 분석, 한국교원교육연구, 28(1), 291-312.
  39. 하지영, 서소정(2011). 영아와 교사의 상호작용에 관한 단기종단연구 영아와 교사의 상호작용에 관한 단기종단연구, 열린유아교육연구, 16(2), 109-140.
  40. Gold-Meadow, S. (2000). Beyond word: The important of gesture to researchers and learners. Child Development, 71(1), 231-239. https://doi.org/10.1111/1467-8624.00138
  41. Hatch, J. A. (2008). Doing qualitative research in education settings, 교육상황에서 질적연구 수행하기(진영은 옮김). 서울: 학지사(원판 2002).
  42. Hess, S. (1988). Organizing the pesidency. Washington, D. C.: Brookings Institution.
  43. Robert, S. (1993). Art and creative development for young children. Nelson, Canada: Delmar Publishers Inc.
  44. Thyssen, S. (2003). Child culture, play and child development. Early Child Development and Care, 173(6), 589-612. https://doi.org/10.1080/03004430320000705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