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eacher's question

검색결과 117건 처리시간 0.022초

광선추적과 스펙트럼에 대한 교사와 중학생의 개념 유형 분석 (An Analysis of the Types of Teacher and Student's Concept on Ray-Tracing and Spectrum in the Middle School)

  • 이재봉;남경운;손정우;이성묵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4권6호
    • /
    • pp.1189-1205
    • /
    • 2004
  • 본 연구의 목적은 중학교 교사와 학생들을 대상으로 광선추적과 스펙트럼에 대한 교사와 학생의 개념 유형을 비교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7학년 '빛' 단원에서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되는 핵심개념은 광선추적과 스펙트럼에 의해 파악할 수 있다고 전제하고, 이에 대한 교사와 학생의 개념 유형을 조사하였다. 연구 대상은 서울 경기지역 과학교사 10명과 이들에게 배운 학생 328명이다. 모든 검사문항은 광선추적법과 스펙트럼 방법을 적용하는 문항으로 구성하였다. 연구결과 광선추적과 스펙트럼에 대한 교사와 학생들의 개념유형에는 차이가 있었다. 또한 대부분의 교사와 학생들은 상이 생기는 근본원리에 대하여 정확하게 알지 못하였다. 광선추적법을 알지 못하여 반사와 굴절에 의한 상을 찾을 때, 물체에서 나온 두 개 이상의 광선을 그려서 상을 찾는 경우는 거의 없었고, 하나의 광선으로 임의의 위치에서 상을 찾거나 평소 암기하고 있던 상의 위치를 표시하였다. 그리고 색에 대하여는 교사와 학생들은 개념을 이해하지 못하고, 교사들은 학생들에게 원리에 대한 설명 없이 현상을 제시하였다. 즉 교사와 학생들은 색에 대해서 단순 암기하고 있었다.

GeoGebra 활용 문항 출제 연수를 통한 평가 문항 제작 사례 연구 (A case study of assessment items construction through the teacher's training for making up questions utilizing GeoGebra)

  • 양성현;허난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29권1호
    • /
    • pp.73-90
    • /
    • 2015
  • 교사는 도형과 그래프를 포함하는 내용 영역에 대한 평가 문항을 제작하는데 있어서 문항이 포함하는 그림이 가지는 역할을 제대로 나타낼 수 있도록 도형과 그래프를 제시해야 한다. 본 연구는 2014 수능형 문항 출제 전문성 향상 연수에 참여한 교사들이 GeoGebra를 활용하여 도형과 그래프를 작도하고, 이를 활용하여 문항을 수정하는 과정과 이 과정에서 나타난 문항 제작에 대한 사례를 제시하고 문항제작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을 살펴보고자 한다. 9명의 교사들은 연수 후 작성한 설문에서 GeoGebra를 활용한 문항 제작 과정을 통하여 문항 출제에 대한 자신의 한계를 극복하였고 GeoGebra가 창의적 문항 개발의 도구적 역할을 할 수 있다고 언급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토대로 교사들의 평가 문항 제작 능력 제고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프로그래밍 직업능력개발훈련교사의 직업정체성 형성 과정에 대한 연구 (A Study on Programming Vocational Training Teacher's Occupational Identity Formation Process)

  • 이성옥;정회경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25권2호
    • /
    • pp.294-300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직업훈련분야에서 프로그래밍을 가르치고 있는 직업능력개발훈련교사의 직업정체성이 어떻게 형성되었는가를 파악하여 시사점을 도출함에 있다. 이를 위해 프로그래밍 교육훈련에 20여년 이상 종사하고 있는 A 교사를 내러티브 연구방식으로 인터뷰하였다. 연구문제인 '프로그래밍 직업능력개발훈련교사의 직업정체성 형성과정은 무엇인가?'에 대하여 입직전, 입직, 성장, 성숙의 시간적 흐름을 거치면서 총 12 가지 주제가 도출되었고, A 직업능력개발훈련교사의 교사교육경험이 직업 정체성 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프로그래밍 직업능력개발훈련교사의 직업정체성 형성과정을 알아보고 그 의미를 살펴보고자 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향후 연구를 위한 제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후속 연구에서는 나이, 근무한 기간, 소속된 기관 등에 따른 다양한 프로그래밍 직업능력개발훈련교사들을 대상으로 폭넓은 경험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둘째, 현장에서 경험하게 되는 정책과 이슈에 대하여 연구되어야 하겠다.

문항 반응 이론에 의한 학습자 평가 시스템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 Learner Testing System with Item Response Theory)

  • 송은하;박복자;하태령;정영식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6권2호
    • /
    • pp.1-8
    • /
    • 2003
  • 기존의 학습자 평가 시스템은 교수자의 주관적인 관점과 견해에 의해 각 문항의 난이도가 결정되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학습자의 개별 능력 평가가 가능하고 개인별 학습 수준에 적합한 문항을 난이도, 변별도 및 추측도를 이용하여 학습자에게 제공함으로써 개인별 문항 평가가 가능한 학습자 평가 시스템을 개발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학습자 평가 시스템은 CAT 기법의 문항 반응 이론 중 3-모수 로지스틱 모델을 이용하여 개발한다.

  • PDF

초등학교 3, 4학년 수학 교과서에 제시된 ''열린 질문''에 대한 고찰 (On the Open Questions in the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Textbooks)

  • 홍갑주;박정련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12권3호
    • /
    • pp.425-438
    • /
    • 2010
  • '열린 질문'은 2007년 개정 초등학교 수학 교과서의 중요한 특정이다. 본 연구는 개정 초등 3, 4학년 교과서와 교사용 지도서를 검토하여, 현행 열린 질문 제시 방식과 그것이 가정하고 있는 전제에 대해 논의하는 한편, 열린 질문의 제기 맥락, 표현 형식, 배치 등 열린 질문의 내용과 구성상의 몇 가지 구체적인 문제점을 지적하였다. 또한 열린 질문과 관련된 후속 논의의 쟁점을 열린 질문의 의미, 교사를 위한 지침, 교사와 교과서의 역할 측면에서 정리하였다.

  • PDF

사용자 경험에 기반한 자기주도학습 수학 프로그램 개발 (Development of mathematical program based on user experience for self-directed learning)

  • 이가람;김정은;구성우;안원주;조규락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19권3호
    • /
    • pp.21-34
    • /
    • 2016
  • 본 연구는 사용자 경험에 기반한 자기주도학습을 위한 수학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서 교육 프로그램의 일반적인 설계모형인 ADDIE 모형에 따라 분석, 설계, 개발, 실행 및 평가의 과정을 거쳐 프로그램을 설계하고 개발하였다. 프로그램은 자기주도학습 증진을 위한 사용자 경험 요소를 고려하여 구현되었으며, 개발된 프로그램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교수자는 웹으로 편리한 문제출제가 가능하고, 학습자는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언제 어디서나 즉시 접속하여 문제를 풀어볼 수 있다. 둘째, 학습자는 풍부한 문제데이터베이스를 기반으로 다양한 유형의 문제풀이와 실시간 질문이 가능하며, 교수자는 그에 대한 즉각적인 피드백이 가능하다. 셋째, 지면 및 동영상 해설 제공과 오답노트의 활용으로 학습자의 순환학습을 가능하게 하며, 교수자는 그룹 성취도 관리를 통하여 학습자의 능동적 학습관리를 지원한다.

남자유아교사에 대한 교사와 학부모의 인식 비교 (A Comparative Study on Parents' and Female Teachers' Perceptions of Male Teacher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are Centers)

  • 최지훈;임원신
    • 아동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165-183
    • /
    • 2012
  • This was a comparative study, focusing on the perceptions of male teacher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al settings on the part of both parents and female teachers at such institutions. The results of the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regarding the question of whether it is necessary or not to employ qualified male teacher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es, both the female teachers and the parents responded positively in general. Second, when analyzing the perceptions of the role of male teachers, both teachers and parents believed that male teachers would be able to help children to develop their potential. Third, the female teachers indicated that they believed that the male teachers may need to develop a stronger sense of vocation, fairness, and sincerity when engaging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According to the parents, female teachers generally show greater affection and magnanimity towards children. Fourth, when examining the female teachers' perceptions of the male teachers' teaching capabilities, the findings indicated that their opinions were generally that the capabilities of male teachers depend on their training and educational level. Fifth, when examining the parent's perceptions of the male teacher's teaching capabilities, the results revealed that those parents who have experience of male teachers gave higher ratings regarding their capabilities than those parents who had no previous experience of male teachers. Finally, it was observed that, when comparing the teacher group with the parent-group, the teacher-group assessed the male teachers' teaching abilities higher than the parent-group did.

학생부종합전형에 따른 고교 교육의 변화 분석 (An Analysis of Impacts of the Admission Officer System in High School Education)

  • 허정은;원효헌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27권3호
    • /
    • pp.804-812
    • /
    • 2015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perception of a high school teacher on Admission Officer System. The subjects were limited to 324 high school teachers of Busan, Ulsan, and Gyeongsangnam-do regions. The major research question for the study was how are the perceptions of high school teachers about the Admission Officer System. The main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high school teachers showed high understanding of the admissions overall. Second, high school teachers with counseling experience about applying to colleges considered the score of the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 less important. Third, high school teachers have recognized that there is a distance between high school education activities and the Admission Officer System. Eliciting sympathy from the high school teachers for the Admission Officer System is a very important task. Negative perceptions of high school teachers on the Admission Officer System is still remained. The cooperation between leading universities and high schools would help the Admission Officer System work with its original purpose or goal.

PULLBACKS OF 𝓒-HEREDITARY DOMAINS

  • Pu, Yongyan;Tang, Gaohua;Wang, Fanggui
    • 대한수학회보
    • /
    • 제55권4호
    • /
    • pp.1093-1101
    • /
    • 2018
  • Let (RDTF, M) be a Milnor square. In this paper, it is proved that R is a ${\mathcal{C}}$-hereditary domain if and only if both D and T are ${\mathcal{C}}$-hereditary domains; R is an almost perfect domain if and only if D is a field and T is an almost perfect domain; R is a Matlis domain if and only if T is a Matlis domain. Furthermore, to give a negative answer to Lee, s question, we construct a counter example which is a C-hereditary domain R with $w.gl.dim(R)={\infty}$.

ESL Teachers' Corrective Sequences and Second Language Socialization

  • Seong, Gui-Boke
    • 영어어문교육
    • /
    • 제13권2호
    • /
    • pp.177-200
    • /
    • 2007
  • The language socialization approach states that novices are socialized into cultural norms through participating in routine, repeated interactional acts and sequences (e.g., Ochs & Schieffelin, 1984; Ochs, 1988; Schieffelin & Ochs, 1986a; 1986b; Watson-Gegeo & Gegeo, 1986). One of the cultural norms or dominant epistemological orientations in American culture is the tendency to avoid the overt display of power asymmetry in novice-expert relationship (Ochs & Schieffelin, 1984). This study examines how this cultural preference is reflected and encoded in ESL teachers' use of routine discourse patterns in corrective sequences. Eight hours of ESL classes taught by three Caucasian teachers born and educated in the U.S. were analyzed for the study. The analysis showed that the cultural tendency in question is keyed and indexed in the teacher's routine corrective discourse patterns in the form of various questioning, elicitation, and mitigation practices. Findings support that teachers' routine classroom discourse practices represent their cultural ideologies and transfer these cultural predispositions to second language learners and that they possibly socialize the learners into the target language-oriented belief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