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Development of mathematical program based on user experience for self-directed learning  

Lee, GaRam (영남대학교 교양교육원)
Kim, JeongEun (영남대학교 일반대학원 교육학과)
Gu, SeongWoo (영남대학교 일반대학원 교육학과)
An, WonJu (세븐어클락(소프트웨어 개발업체))
Cho, KyooLak (영남대학교 교육학과)
Publication Information
The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Computer Education / v.19, no.3, 2016 , pp. 21-34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This study aims to develop user experience based mathematical program for self-directed learning. To meet its aim this program is designed and developed according to the process and method of 'ADDIE', general design model of education program. The features of this program are as follows. First, teacher can set questions conveniently through intuitive system of web and learner can solve questions at anytime and anywhere through instant access to application. Second, learner can solve different types of questions based on powerful question database and teacher can provide instantaneous feedback on them. Third, learner's circulation learning can be possible by utilizing paper-video explanation and wrong answer note and teacher supports learner's active learning management though group achievement management.
Keywords
User Experience; Self-directed learning; Mobile-learning;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3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임정훈.성은모 (2015). 스마트기기의 속성 및 스마트교육의 교육적 가능성에 대한 스마트 교육 선도교사들의 인식. 교육정보미디어연구, 21(1), 137-163.
2 박성익.이선희 (2011). 웹기반 학습환경에서 '학습에의 자기주도성'의 다차원적, 위계적 요인모형에 대한 실증적 탐색. 교육공학연구, 27(2), 317-340.
3 정지은.전지윤.최유주 (2014). 도서 유형 분류법을 적용한 교육용 모바일 앱의 분류 및 기능 분석. 한국지식정보기술학회, 9(2), 237-245.
4 김원.김헌 (2015). 0-3세 영유아 교육 콘텐츠에 적용된 사용자 경험 디자인 연구.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1(2), 95-107.
5 교육부 (2015). 제2차 수학교육 종합 계획. 융합교육지원팀.
6 Alben, L. (1996). Quality of Experience: Defining the Criteria for Effective Interaction Design. Interactions, 3(3), 11-15.
7 Desmet, P. & Hekkert, P. (2007). Framework for Product Experience. International Journal of Design, 1(1), 57-66.
8 김현경.한성호 (2010). 사용 시간에 따른 사용자 경험의 구성요소 별 중요도 변화: 모바일 서비스 사례 중심. 대한산업공학회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397-403.
9 박정순 (2012). 제품의 사용자 경험과 디자인. 경기도: 한국학술정보(주).
10 장진철.김현지.박유경.배동환.이문용 (2014). 경험 샘플링 방법을 이용한 스마트폰 사용자 경험 요소 도출. 한국HCI학회 학술대회, 249-252.
11 허은영 (2010). 창의적 재량활동 자기주도학습 프로그램이 중학생 학업적 자기효능감. 교과교육학연구, 14(1), 1-20.
12 이다희 (2012). 중학생의 자기주도 학습능력이 수학적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고려대학교.
13 윤현미.황우형 (2014). 스마트폰 수학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문제해결 학습이 학생들의 수학적 성향과 태도 및 인식 변화에 미치는 영향. 교과교육연구, 7(1), 1-35.
14 윤현철 (2012). 스마트러닝에 기반한 학습이 수학적 성향 및 태도에 미치는 영향: 초등학교 6학년 측정영역을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대구교육대학교.
15 이재우 (2012). 스마트 러닝 환경에서 학업 만족도에 관한 연구 : 초등학교를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건국대학교.
16 박준호.이채우.강복영.권지혜.윤명환 (2009). 고객 요구사항에 기반한 사용자 경험 및 향상에 대한 연구: 동작 인식 기반 MP3 플레이어 사례를 중심으로. 대한인간공학회 학술대회논문집, 458-462.
17 채재선.강윤수 (2014). 스마트폰앱을 활용한 수학 토론학습. 수학교육, 53(2), 239-261.
18 이지현 (2000). 수학 교과에서 자기평가 학습에 대한 연구 : 중학교 3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 한정선 (2004). 교육공학: 인포맵을 통해 찾아 본 뿌리와 줄기. 서울:교육과학사.
20 윤권기 (2009). 시뮬레이션 학습 환경에서 학습자의 인지양식과 교사의 피드백 유형이 학습동기에 미치는 효과. 석사학위논문, 힌국교원대학교.
21 조규락 (2012). 고등학생의 모바일 러닝 실태 및 인식 분석. 한국컴퓨터교육학회, 15(6), 53-6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