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RAP

검색결과 2,104건 처리시간 0.041초

프리 플로우트 스팀트랩 밸브의 오리피스 지름 변화에 따른 작동 원리 및 응축수 배출량에 관한 연구 (Study of Performance Properties and Steam Condensate Capacity by Orifice Diameters of Free Float Steam Trap Valve)

  • 최인규;강정호
    • 한국기계가공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31-37
    • /
    • 2016
  • In the steam system, a stream trap valve discharges a condensate and a non-condensable gas. It also prevents stream from being leaked. The free float stream trap valve is a mechanical type of stream trap. The valve is opened when a hallow ball is floated due to the density of the condensate through the condensate flows into the valve. On the other hand, when the flow of the condensate is completed, the valve is closed as the float subsides due to the weight of the structure and the stream is blocked. In addition, the bimetal lifts the hallow ball, which discharges the non-condensable gas. In this study, the performance of the properties of the free float stream trap valve, the method of support for three points, and the orifice design are researched. Moreover, the condensate discharge capacity of the free float stream trap valve is calculated from the experiment.

전하보유모델에 기초한 SONOS 플래시 메모리의 전하 저장층 두께에 따른 트랩 분석 (Analysis of Trap Dependence on Charge Trapping Layer Thickness in SONOS Flash Memory Devices Based on Charge Retention Model)

  • 송유민;정준교;성재영;이가원
    • 반도체디스플레이기술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134-137
    • /
    • 2019
  • In this paper, the data retention characteristics were analyzed to find out the thickness effect on the trap energy distribution of silicon nitride in the silicon-oxide-nitride-oxide-silicon (SONOS) flash memory devices. The nitride films were prepared by low pressure chemical vapor deposition (LPCVD). The flat band voltage shift in the programmed device was measured at the elevated temperatures to observe the thermal excitation of electrons from the nitride traps in the retention mode. The trap energy distribution was extracted using the charge decay rates and the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the portion of the shallow interface trap in the total nitride trap amount including interface and bulk trap increases as the nitride thickness decreases.

그루브의 Trap 효과에 대한 CFD 해석: 제2부 - 그루브 모서리의 곡률반경 변화 (CFD Analysis of Trap Effect of Groove in Lubricating Systems: Part II - Variation in Radius of Curvature of Groove Edge)

  • 홍성호
    • Tribology and Lubricants
    • /
    • 제36권6호
    • /
    • pp.359-364
    • /
    • 2020
  • Numerical investigation of the groove trap effect with variation in the groove-edge radius of curvature is presented here. The trap effect is evaluated in a two-dimensional sliding bearing using computational fluid dynamics (CFD). This simulation is based on the discrete phase model (DPM) and standard k - ε turbulence model using commercial CFD software, FLUENT. The numerical results are evaluated by comparisons with streamlines and particle trajectories in the grooves. Grooves are applied to various lubrication systems to improve their lubrication characteristics, such as load carrying capacity increment, leakage reduction, frictional loss reduction, and preventing three-body abrasive wear due to trapping effect. This study investigates the grove trapping effect for various groove-edge radius of curvature values and Reynolds numbers. The particle is assumed to be made of steel, with a circular shape, and is injected as a single particle in various positions. One-way coupling is used in the DPM model because the single particle injection condition is applied. Further, the "reflect" condition is applied to the wall boundary and "escape" condition is used for the "pressure inlet" and "pressure outlet" boundaries. From the numerical results, the groove edge radius is found to influence the groove trap effect. Moreover, the groove trap effect is more effective when applying the groove edge radius.

제주지역 모기의 계절적 발생소장 및 Real Time RT-PCR을 이용한 Flavivirus 감염조사(2017) (Mosquito Distribution and Detection of Flavivirus Using Real Time RT-PCR in Jeju Island, 2017)

  • 이제욱;황규계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57권3호
    • /
    • pp.177-183
    • /
    • 2018
  • 기후온난화 현상이 지속되고 있는 제주지역에서 환경적으로 다른 지역 모기의 계절적 발생밀도를 조사하기 위해 제주시의 국제공항, 항만구역과 축사 그리고 서귀포 도심지의 11지점을 선정하여 3월부터 11월까지 매달 2회씩 Black light trap과 BG sentinel trap을 이용하여 모기를 채집하였다. 채집된 모기는 5속 7종. 6,042마리였으며, 이 중 빨간집모기(Culex pipiens)가 4,159마리(68.8%)로 우점종이었으며 흰줄숲모기(Aedes albopictus)는 1,348마리(24.4%)였다. Black light trap를 이용한 채집에서 중앙동주민센터는 트랩당 72.8마리를 채집하여 모기 밀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제주국제공항은 트랩당 1.4마리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BG sentinel trap을 이용한 채집에서는 항만에서 트랩당 71.7마리로 가장 많았고 도심지의 걸매생태공원에서 28.3마리로 가장 낮았다. 시기별로 모기의 밀도는 5월부터 증가하기 시작하여 8월에 1,156마리(19.1%)로 가장 높은 밀도를 나타내었다. 채집된 암컷모기를 종별, 시기별, 지점별로 나누어 pool당 50마리 이하로 설정하여 총 364 pools에서 flavivirus 존재여부를 real time RT-PCR로 검사하였으나, 검출되지 않았다.

유기와 관행재배 배 과수원의 무척추동물의 종 다양성 연구 (Biodiversity of Invertebrate on Organic and Conventional Pear Orchards)

  • 김도익;김선곤;고숙주;강범용;최덕수;임경호;김상수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93-107
    • /
    • 2011
  • 유기 배 과수원의 생물종 다양성을 조사하기 위해 토양 미소동물은 토양채취를 하였으며 지상부의 생물 조사는 pitfall 트랩, malaise 트랩, 유아등을 사용하여 채집하였다. 토양채취에서는 유기재배에서 37종 1,184마리, 관행 재배 28종 501마리였으며 pitfall 트랩에서는 각각 38종 648마리, 29종 440마리였다. malaise 트랩과 유아등에서는 각각 55종 650마리, 47종 508마리와 23종 201마리, 9종 42마리였다. 토양채취에서 톡토기목이 389마리로 많이 채집되었는데 관행재배지 보다 5배 이상 많이 채집되었으며 pitfall 트랩에서도 183마리로 3배 이상 채집되어 지표생물로 선발되었다. 토양미소동물의 유기재배지의 종 다양도는 3월에 1.956, 8월에 2.638로 관행의 1.426, 2.011보다 더 높아 유기 재배지에서 생물 다양성이 더 높았다. Pitfall 트랩에서 주로 출현한 종들은 거미류, 톡토기류, 딱정벌레였다. 딱정벌레 중에 관행재배지에는 점박이먼지벌레, 폭탄먼지벌레가 유기재배지에서는 큰넓적송장벌레가 지표생물이 될 가능성이 높았다. malaise 트랩에 의한 곤충종은 벌목, 파리목이 많이 채집되었으며, 그중에서 벌류는 고치벌과 맵시벌이 주를 이루었다. 지상부 생물의 종 다양성 조사 결과, pitfall 트랩의 종다양도가 유기재배지에서 2.952, 관행 2.587이었으며, malaise 트랩은 유기 3.120, 관행 2.398, 유아등은 유기 2.010, 관행 1.507로 나타나 malaise 트랩에서의 종 다양도가 가장 높았다.

정상 개의 관절액에서 TRAP(Tartrate resistant acid phosphatase)농도 측정 (The Concentration of Tartrate Resistant Acid Phosphatase in Synovial Fluid of Canine Stifle Joint)

  • 이해범;알람;최성진;박상렬;이영훈;전승기;최익혁;김남수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190-193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십자인대 손상견의 무릎관절액의 TRAP의 농도와 비교 할 수 있는 정상 관절액의 TRAP 농도의 지표를 제시 하기 위하여, 정상 무릎 관절액의 TRAP의 농도를 측정하였다. 십자인대 손상이 없는 23두 건강한 잡종견(14두 노령견과 9두 성견)을 실험견으로 선택하고 성별, 나이, 몸무게로 구별하였다. 무릎 관절액을 채취 한뒤, Lang method로 관절액의 TRAP을 측정하였다. 측정된 TRAP의 농도를 성별, 나이, 몸무게 등으로 구별하여 $Mean{\pm}SD$로 표시 하였으며, 유의성 차이를 T-test로 구별하였다. 노령견(14두, 2년이상) TRAP의 농도는 $0.083{\pm}0.039\;IU/ml(mean{\pm}SD$, 성견(9두, 2년 이하) $0.064{\pm}0.023\;IU/ml$, 대형견(15두, >22 kg) $0.075{\pm}0.028\;IU/ml$, 소형견(8두, <22 kg) $0.076{\pm}0.046\;IU/ml$, 중성화견(15두) $0.085{\pm}0.036\;IU/ml$, 중성화 되지 않은견(8두) $0.056{\pm}0.022\;IU/ml\;(Mean{\pm}SD)$로 나타났으며, 중성화 견과 중성화 되지 않은 견에서만 유의성 있는 차이 (P<0.05)가 보였다. 본 연구의 정상견에서 TRAP 농도는 십자인대의 손상견과 비교할수 있는 지표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저밀도 폴리에틸렌 일렉트렉트에 있어서 케리어의 성질과 Trap 깊이 해석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analysis of carrier properties and trap energy depth in the low-density polythylene electrets)

  • 이준웅
    • 전기의세계
    • /
    • 제29권8호
    • /
    • pp.511-518
    • /
    • 1980
  • The thermostimulated discharge currents of low-density polyethylene electrets were measured versus the principal experimental variables. Several electrode types were used for the charging and discharging procedures. The results led to know the experimental conditions for the heterocharge and homocharge accumulating and decreasing. The electronic structure parameters of polyethylene such as trap level, density of traps, hopping length, mobility, trap time constants were deduced. A method for evaluating the local electric field inside the electret is proposed.

  • PDF

Analysis of Interface Trap Density between Semiconductor-Gate insulator with C-V characteristics

  • Jeong, Seung-Hyeon;Kim, Se-Min;Song, Chung-Kun
    • 한국정보디스플레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디스플레이학회 2008년도 International Meeting on Information Display
    • /
    • pp.645-647
    • /
    • 2008
  • In this paper, we analyzed interface trap density between pentacene and PVP and SiO2 gate dielectric by using high-low C-V characteristics. The interface trap density was $10^{13}\;cm^{-2}eV^{-1}$.

  • PDF

토마토 온실에서 청색 발광 및 점착트랩을 이용한 온실가루이 유인 효과 (Attraction Effect of Blue Light Emitting Trap Combination of Sticky Trap for Trialeurodes vaporariorum (Hemiptera : Aleyrodidae) Capture in Tomato Greenhouse)

  • 이중섭;이재한;권준국;박경섭;김진현;이동수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239-244
    • /
    • 2018
  • 시설 토마토 온실에서 다양한 발광 램프가 장착된 트랩을 가지고 온실가루이의 유인 효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설치된 램프의 종류는 청색, 황색 그리고 흰색 발광 램프가 장착된 트랩을 이용하였다. 실험 결과 청색 발광 램프가 설치된 트랩에서 110마리로 가장 많은 온실가루이 성충이 유인되었고 황색램프 트랩과 흰색램프 트랩에서는 각각 71마리와 45마리가 포획되었다. 이때 청색 발광램프 트랩의 파장대역은 330nm에서 430nm를 나타내었다. 그러나, 황색광과 흰색광 발광램프 트랩에서도 청색광 램프의 파장대역을 가지고는 있었으나 한편으로 온실가루이가 회피하는 파장대역 또한 동시에 포함하고 있었다. 이 결과 이들 두 개의 트랩에서 보다 청색광 발광트랩이 유인 포획률이 높아 시설 토마토 온실에서 온실가루이의 방제와 예찰에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