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EM-1

검색결과 1,832건 처리시간 0.029초

TEM 관련 이론해설 (6): 투과전자현미경의 고분해능 영상이론: 결맞음 (1) (Theory of High Resolution TEM Image Formation: Coherence (1))

  • 이확주
    • Applied Microscopy
    • /
    • 제35권3호
    • /
    • pp.105-112
    • /
    • 2005
  • 고분해능 TEM 영상 이론의 결맞음 조사에서의 결맞음에 관한 개념을 소개하였다. 현미경에서 부분 결맞음 파동으로 인한 transfer function과 envelope의 발생을 설명하고 현미경의 분해능과 관련된 passband와 Scherzer 초점 조건을 소개하였다.

W밴드 radial 전력 결합기용 TE10-TEM 모드 변환기 설계 (Design of TE10 to TEM mode convertor for W-band radial power combiner)

  • 김영곤;용명훈;류한춘;권세훈;우선걸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23권6호
    • /
    • pp.41-46
    • /
    • 2023
  • 본 논문에서는 W밴드 radial 전력 결합기용 TE10-TEM 모드 변환기에 대한 설계 방법을 제안하였다. 제안한 구조는 일반적으로 이용 가능한 핀을 이용하여 TEM 모드를 구현하도록 하였으며 2단의 임피던스 변환부 및 back-short 구조를 이용하여 TE10 모드에서 TEM 모드로 자연스럽게 변환되도록 설게 하였다. 제안한 모드 변환기의 핀 구조가 하우징에 접합되어 진동 및 충격의 환경이 성능에 영향 없도록 하였다. 제안한 구조의 back-to-back 특성은 92.5~97.7 GHz 대역에서 삽입손실 1.55 dB 이하 및 10 dB 이상의 반사손실을 가짐을 확인하였다. 제안한 모드 변환기를 이용하여 높은 출력 및 안정적인 환경조건을 요구하는 초소형 레이다 및 다양한 응용 분야에 적용이 가능하리라 판단된다.

대구지역 폐수처리장에서 분리한 cefotaxime-resistant Escherichia coli의 특성 (Characterization of cefotaxime-resistant Escherichia coli isolated from wastewater treatment plant in Daegu)

  • 김환득;박대현;이미리;김은정;조재근
    • 한국동물위생학회지
    • /
    • 제37권4호
    • /
    • pp.225-231
    • /
    • 2014
  • In this study, 185 cefotaxime-resistant Escherichia coli were isolated from different stages of a wastewater treatment plant (WWTP) in Daegu in Korea. Among them, 99.5% (184 isolates) originated from raw sewage and 0.5% (1 isolates) from the final effluent. Cefotaxime-resistant E. coli were high resistant to ampicillin, piperacillin, cefazolin, cephalothin, cefachlor and cefamandole (99.5~100%). About 93% of the cefotaxime-resistant E. coli were extended-spectrum ${\beta}$-lactamases (ESBL)-producing E. coli. The $bla_{TEM+CTX}$ gene was the most predominant of the ESBL genes (72.5%), followed by $bla_{CTX-M}$ (16.2%), $bla_{TEM}$ (8.7%), $bla_{TEM+CTX+SHV}$ (1.1%), $bla_{TEM+SHV}$, $bla_{TEM+OXA}$, and $bla_{TEM+CTX+SHV}$ (respectvely 0.5%). Class 1 and 2 integron were found in 49.7% and class 3 integron was not found. All of integron positive isolates were multiresistant (i.e. resistant to four or more antibiotics). Our findings showed WWTP is contaminated with antibiotic resistant bacteria with resistance genes.

열전모듈 제습기의 에너지 효율과 성능에 미치는 설계 인자의 영향 분석 (The Analysis of the Effects of Design Parameters on the Energy Efficiency and Performance of TEM Dehumidifiers)

  • 이태희
    • 한국지열·수열에너지학회논문집
    • /
    • 제16권3호
    • /
    • pp.1-7
    • /
    • 2020
  • To provide a design direction for high efficiency thermoelectric module(TEM) dehumidifiers, the effects of design factors of TEM dehumidifiers on dehumidification energy efficiency and performance were numerically investigated. The design factors considered in this study are the TEM capacity, the performance of heat exchangers on the heating and cooling surfaces of the TEM. The higher capacity of the TEM results the higher dehumidification energy efficiency and performance at some operating voltage. The enhanced performance of the heat exchanger on heating surface increased the dehumidification energy efficiency and performance at all the operating voltage. The enhanced performance of the heat exchanger on cooling surface decreased the dehumidification energy efficiency and performance at all operating voltage.

부산시내 종합병원의 임상 검체에서 분리된 Extended -Spectrum $\beta$-Lactamase 생성 Klebsiella pneumoniae의 형별 분류 (Extended-Spectrum $\beta$-Lactamase (ESBL) Typing of Klebsiella pneumoniae Isolated from Clinical Specimen in Pusan)

  • 김윤태;이훈구
    • 미생물학회지
    • /
    • 제36권3호
    • /
    • pp.221-227
    • /
    • 2000
  • 본 연구는 등전점과 PCR 생성물을 통하여 광범위 $\beta$-Lactamase(ESBL) 를 생성하는 Klebsiella pneumoniae의 ESBL 유형을 결정하였다. 부산시내 소재 3개 종합병원의 임상검체로부터 20균주의 ESBL 을생성하는 Klebsiella pneumoniae를 분리하였다. 제 3세대 cephalosporin인 cefotaime, cef-tazidime, ceftriaxone으로 double disk synergy test를 시행하여 ESBL 생성균주를 확인하였다. 등전점 및 PCR결과 TEM 형 (pI 5.2~6.0, 1080 bp), TEM+SHV 혼합형(pI 5.2~6.0 및 pI 7.0~7.4 로 1080 bp, 599bp), SHV형 (pI 7.0~ 7.4, 599 bp) , 그리고 PCR결과는 SHV형으로 나타났으나 등전점을 나타내지 않는 것과 등전점 및 PCR 결과 어느 쪽에도 속하지 않는 non TEM non SHV 형 등 5개군으로 나뉘어 졌다.

  • PDF

전자현미경을 이용한 건물내 비고형 표면자재의 석면 오염 및 기중 석면농도 특성조사 (Characterization of Asbestos Content in Friable Sprayed-on Surface Material and Airborne Asbestos Concentrations in Buildings by TEM)

  • 유성환;김현욱
    • 한국산업보건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165-175
    • /
    • 1996
  • Fourteen(14) large commercial buildings located in Seoul with friable sprayed-on surface insulation material on ceiling were investigated for fiber types in bulk material and for airborne fiber concentrations in buildings by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 (TEM) in order to compare the results with those by polarized light microscopy (PLM) and phase contrast microscopy (PCM).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Chrysotile asbestos was found in one bulk sample out of total 14 bulk samples collected. Glass fiber and mineral wool were the two major constituents of the bulk samples. 2. The Na-Mg-Si-Ca-Fe-Al ratios of the EDX spectra which were normalized with the Si peak were 0-1.0-10-8.3-4.0-4.0 in mineral wool and 0-5-10-21-0-0 in chrysotile asbestos, respectively. 3. Airborne fiber concentrations were log-normalcy distributed and the geometric mean (geometric standard deviation) fiber concentrations by TEM in the underground parking lots and inside buildings were 0.0048 f/cc(1.93) and 0.0040 f/cc(2.27), respectively with no statistical difference. In the outdoor ambient air, statistically significantly lower concentration of 0.0018 f/cc(2.04) was measured. 4. The TEM/PCM ratios of airborne fiber concentrations ranged 0.5 - 2.0 for 80 % of airborne samples analyzed, end the regression equation between TEM and PCM was PCM=-0.2724+1.1355(TEM) with the coefficient of determination $R^2=0.52$. The results of this study confirmed that the sprayed-on surface insulation material found in some commercial buildings may possibly be contaminated with asbestos fiber. Since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hip of fiber concentrations measured by PCM and TEM inside buildings and ambient air was found, previous results by PCM in ambient air could be used to estimate the ambient fiber concentrations in knowing the ratio of TEM/PCM.

  • PDF

Micro-TEM Cell을 사용한 표준 전자기장의 발생 및 측정불확도 평가 (Standard Field Generation Using a Micro-TEM Cell and Its Measurement Uncertainty Evaluation)

  • 강진섭;김정환;강웅택;강노원;강태원
    •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 /
    • 제20권1호
    • /
    • pp.91-99
    • /
    • 2009
  • 본 논문에서는 micro-TEM cell을 사용한 표준 전자기장 발생법을 기술하고 측정불확도를 평가하였다. 표준 전자기장 발생 시스템은 auto-leveling 기능을 가진 신호발생부, 최대 1.2 GHz까지 동작하는 micro-TEM cell, 서미스터 마운트를 사용한 전력측정부로 구성된다. 표준 전자기장 발생법의 타당성을 보이기 위해 $10\;MHz{\sim}1\;GHz$ 대역에서 전자기장의 세기 20 V/m에 대해 실시된 전자기장의 세기 국제비교(CCEM.RF-K20)의 참여 결과를 제시하였다.

엇갈린 격자를 이용한 3차원 유한차분 시간영역 전자탐사 모델링 (Three-dimensional Finite Difference Modeling of Time-domain Electromagnetic Method Using Staggered Grid)

  • 장한길로;남명진;조성오;김희준
    • 지구물리와물리탐사
    • /
    • 제20권3호
    • /
    • pp.121-128
    • /
    • 2017
  • 국내에서 시간영역 전자탐사(time-domain/transient electromagnetic, TEM) 자료의 해석은 1차원 알고리듬에 주로 의존하고 있는 실정이기 때문에 정밀한 해석을 위하여 3차원 모델링 및 역산 해석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한 상황이다. 이 연구에서는 엇갈린 격자를 이용한 시간영역 유한차분(staggered-grid finite-difference time-domain, FDTD)법에 기초하여 3차원 TEM 반응 모델링 알고리듬을 개발하였다. 시간영역 전자탐사의 모델링을 위해 맥스웰 방정식을 현시적 중앙점 FDTD법을 이용하여 이산화하였으며 수치 안정성을 높이기 위해 가상 변위전류항을 도입하였다. 일반적으로 많이 활용되는 소형 코일 송신원을 수치적으로 구현하여 균질 반무한 공간에서의 해석해와 비교 검증하고 3차원 이상체에 대한 반응을 분석하였다. 이 연구에서 개발된 모델링 프로그램은 향후 TEM 전자탐사 자료의 정밀 해석에 기초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TemG : 시한적 속성을 갖고 있는 지오펜스 플랫폼 (TemG : A Geofence Platform with Time-Limited Property)

  • 엄영현;최영근;조성국;전병국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16권1호
    • /
    • pp.177-182
    • /
    • 2016
  • 지오펜스는 사용자의 행동을 기반으로 상황을 주도적으로 유발할 수 있는 PoI(관심 지점, Point of Interest)의 지리학적인 측면을 묘사하기 위한 일반적인 개념이다. 그러나, 일시적인 사건이나 사고, 전염병 등의 감염성 바이러스의 지역적 확산이지만 일시적인 환경에 반영하는 PoI에는 지오펜스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필요가 없다. 그러므로 본 논문에서는 PoI를 지원하기 위한 지오펜스 플랫폼 TemG를 제안한다. 제안된 TemG는 지오펜스의 기본적인 상황 인식 기능에 한시성을 갖도록 시간을 제한적으로 적용하는 속성을 부여함으로써 지오펜스의 지속성을 보장한다. 향후에는 TemG가 IoT를 위한 HPS(Hybrid Positioning System)와 확장되는 것이 필요하다.

TEM CELL에서의 전자장 수치해석 (Numerical Analysis of Electromagnetic Fields in TEM Cells)

  • 이애경;이상회;김정기
    • 한국전자파학회지:전자파기술
    • /
    • 제2권1호
    • /
    • pp.37-45
    • /
    • 1991
  • The electromagnetic field distribution within rectangular coaxial transmission lines (RCTL:TEM cells) is calculated using a numerical method. Boundary integral equations(BIE) considering equivalence theorem and extended boundary condition(EBC) in tapered region are used, thereby restricting the operational frequencies (0~130 MHz) below the cell cutoff frequency(130 MHz). The EM fields within NIST TEM cell ($1\times0.6\times2m$) are calculated by this method. The results of the numerical calcuation have a good agreement in the cross-sectional EM field distribution of TEM cell with 2-dimensional analysis results. Based on this method, the first cutoff freque- ncy in high order modes in the cell and the electric field polarization are considered.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