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urveying

검색결과 4,701건 처리시간 0.034초

지적재조사 측량방법의 정확도 비교 및 정확도 향상방안 연구 (A Study on Accuracy Evaluation and Accuracy Improvement in Cadastral Re-survey Surveying Method)

  • 이석배;어수창;서용운
    • 대한공간정보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39-46
    • /
    • 2014
  • 네트워크 RTK측량은 단일기준국 RTK측량의 한계를 극복하고자 개발된 GNSS 위치결정기술로 그 정확도와 효율성이 높아 일반측량, 지적측량 및 엔지니어링측량 등에서 많이 활용되고 있다. 지적재조사측량규정에서는 네트워크 RTK, 단일기준국 RTK와 정지측위를 지적재조사측량방법으로 규정하고 있는데, 본 연구에서는 경남 하동의 지적재조사측량지역을 대상으로 측량규정에 정한 방법인 네트워크 RTK와 정지측위 방식에 의한 기준점측량을 실시하고 그 결과를 비교하였다. 아울러 네트워크 RTK 측량의 정확도를 개선시키고자 사이트 캘리브레이션을 실시하고 경계점 측량을 수행하였으며 이를 사이트 캘리브레이션 실시없이 네트워크 RTK(VRS) 측량을 수행한 측량결과와 비교하였다. 연구결과 네트워크 RTK 방식과 정지측위 방식의 평균오차는 두 개 지구에서 각각 2.44cm와 1.53cm로 나타났고, 캘리브레이션을 실시한 경우에는 네트워크 RTK 방식과 정지측위 방식의 평균오차값이 두 개 지구에서 각각 0.19cm와 0.82cm로 나타나 캘리브레이션의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지하시설물의 공공측량 성과심사 방법 개선에 관한 연구 (Improvement on Surveying Performance Evaluation for Public Surveying of Underground Facilities)

  • 정충호;김종문;김기수;최윤수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15-23
    • /
    • 2019
  • 1961년 공공측량 제도가 도입되었을 때는 사회기반시설 건설공사와 같은 대규모 측량성과가 주를 이루었지만, 환경변화에 따라 소규모 지하시설물 위주의 측량성과가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지하시설물의 측량방법은 관로 매설 후 되메우기 전 실측하는 방법과 되메우기 후 탐사를 이용하는 방법이 있으며, 각각의 장단점이 존재한다. 그러나 탐사를 통해 관로가 관측되지 않는 불탐구간의 발생으로 지하시설물의 위치정확도 확보가 어려워지자 2017년 성과심사 규정을 개정하여 '지하시설물도 작성시기' 항목을 추가하였고 실측을 중심으로 심사하게 된다. 그러나 현장에서는 이와 관련하여 탐사의 장점과 실측의 한계에 대한 의견이 지속적으로 제기되어 왔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공공측량 제도의 배경과 목적을 고려하여 지하시설물 측량이 공공측량에서 차지하는 비중을 확인하고, 공공측량 시행자 및 수행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수행, 분석하여 현장 의견을 종합한 개선안을 제시하였다.

지적측량을 위한 GPS의 활용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Application of Global Positioning System for Cadastral Surveying)

  • 임현철
    • 대한공간정보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41-50
    • /
    • 2007
  • 본 연구는 지적측량을 위한 GPS의 활용방안을 제시하는 것으로서 보다 연구를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하여 최근 세계적으로 그 효율성 및 효용성이 증대되고 있는 최신의 측량기법인 인공위성에 의한 GPS(Global Positioning System)를 활용하였다. 실증분석은 연구대상지역에 대하여 GPS 관측을 실시한 후 현행 Total Station과 GPS의 측량 성과에 대해 비교 분석한 결과 효율성 및 경제성에 대한 측면에서 현행 측량방법보다 GPS가 시간 비용 경제적인 측면에서 보다 높은 효율성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리고 GPS 측량의 산출성과가 현행 지적법에서 인정하고 있는 측량성과 인정범위에 모두 포함되어 GPS 측량방법의 높은 정확도를 입증할 수 있었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토대로 지적측량을 위한 GPS의 활용방안을 제시하였다.

  • PDF

지적측량 성과검사의 제도적 재선방안에 대한 연구 -성남시를 중심으로- (A Study on Proposal for Systematic Development of the Inspection of Cadastral Surveying Value -the Case of Sungnam City-)

  • 김욱남;박희주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133-138
    • /
    • 1998
  • 한국의 지적측량 성과검사는 지적법에 근거를 두고 시행되며 토지소유자나 국가의 신청에 의해 토지 이동 정리를 소관청이 최종 지적측량검사를 실시하여 지적공부에 등록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지적공부 정리전 소관청은 측량성과를 검측해서 측량오차가 허용오차내에 있는가를 확인하여 그 범위내에 있을 때 그 결과치에 준해 지적공부를 정리할 의무를 갖는다. 본 연구는 성남시 3개구를 연구대상지로 선정해 연도별 토지이동상황을 조사 분석하고 소관청의 지적측랑 성과검사 현황과 지적측량 관련 인원 및 장비 현황을 분석해서 그 문제점을 도출하여 향후지적측량 검사시 효율적인 기초자료를 제공하여 국가행정의 능률을 높이고자 한다.

  • PDF

국내 측량 관련 논문 주제의 변천 I (Changes in Topics of Surveying related Papers in Korea - Phase I)

  • 김병국;김은모;최정민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245-275
    • /
    • 1995
  • 1957년 이후 현재까지 국내에서 발표된 측량관련 논문과 저서들을 조사하고 취합하여 논문의 목록을 작성하였고, 발표된 논문제목의 변화를 통하여 본 우리나라에서의 측량학의 변천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일반측량과 사진측량의 분야는 현재까지도 측량학의 중심 연구 주제로서 꾸준히 다루어지고 있으며, 1980년대 초부터 측지학, 원격탐사, GIS, GPS등의 분야로 측량학에서의 연구대상의 범위가 확대되었다. 특히 GIS는 사회전반에 걸쳐서 활용되는 분야로서 연구의 폭이 확대되는 가운데 최근에는 국가GIS사업으로 큰 관심사로 대두되었다. GPS와 원격탐사는 GPS수신기와 인공위성 등의 첨단장비를 이용하여 측량학의 연구범위를 범지구적측위체계로 넓혀가면서 첨단 측량기술의 발전을 도모해 나가고 있다.

  • PDF

Accuracy Analysis of Road Surveying and Construction Inspection of Underpass Section using Mobile Mapping System

  • Park, Joon Kyu;Um, Dae Yong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39권2호
    • /
    • pp.103-111
    • /
    • 2021
  • MMS (Mobile Mapping System) is being used for HD (High Definition) map construction because it enables fast and accurate data construction, and it is receiving a lot of attention. However, research on the use of MMS in the construction field is insufficient. In this study, road surveying and inspection of construction structures were performed using MMS. Through data acquisition and processing using MMS, point cloud data for the study site was created, and the accuracy was evaluated by comparing with traditional surveying methods. The accuracy analysis results showed a maximum of 0.096m, 0.091m, and 0.093m in the X, Y, and H directions, respectively. Each RMSE was 0.012m, 0.015m, and 0.006m. These result satisfy the accuracy of topographic surveying in the general survey work regulation, indicating that construction surveying using MMS is possible. In addition, a 3D model was created using the design data for the underpass road, and the inspection was performed by comparing it with the MMS data. Through inspection results, deviations in construction can be visually confirmed for the entire underground roadway. The traditional method takes 6 hours for the 4.5km section of the target area, but MMS can significantly shorten the data acquisition time to 0.5 hours. Accurate 3D data is essential data as basic data for future smart construction. With MMS, you can increase the efficiency of construction sites with fast data collection and accuracy.

RTK GPS에 의한 하천현황측량 (Hydrographic Surveying in River by RTK GPS)

  • 이석배;최보용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267-275
    • /
    • 2007
  • 오늘날 수자원관리의 중요성이 날로 증가하는 가운데 하천측량기술은 하천현황의 기본자료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중요한 기술이다. 또한 GPS는 그 활용성이 증가하고 있으며, 세계측지계를 기준으로 하는 시대에는 활용범위가 더욱 넓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본 연구는 이러한 GPS의 RTK측량방법을 이용하여 거창 황강에서 하천현황측량을 실시하고 그 결과를 기존의 주요한 하천측량기술이었던 토탈스테이션에 의한 측량결과와 비교한 연구로, 횡단면도는 Hec-Ras 수문해석프로그램과 CAD를 이용하여 작성하였다. 연구결과 작업시간은 15.3%가 절감되고, 작업량은 42.5%가 늘어났으며, RTK측량에 있어서 캘리브레이션 실시여부의 표준오차는 2.1cm인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하천현황측량에 있어서 RTK GPS에 의한 측량방법이 토탈스테이션에 의한 방법보다 더욱 효율적인 측량방법이란 것을 것을 알 수 있었다.

지적재조사사업 측량 장비의 성능 기준 연구 (A Study on the Performance Standard of Surveying Equipments for Cadastral Re-survey Project)

  • 홍성언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3권8호
    • /
    • pp.3470-3476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현행 지적측량 관련 법률에서 규정하고 있는 지적측량에 대한 성과인정 범위와 적용 장비 규정, 관련 규정에서의 정확도와 적용 규정 등을 종합적으로 고찰하여 지적재조사에 관한 특별법에서 규정하고 있는 지적측량의 성과인정 범위에 적합한 지적측량 장비의 성능 기준을 마련해 보고자 하였다. 연구성과는 다음과 같다. 적용 장비의 성능과 성과인정 범위에 대해 현행 법률과 지적재조사에 관한 특별법 규정의 비교를 통해 지적재조사사업시 장비의 성능 개선이 필요한 부분에 대해서 기초측량과 세부측량으로 구분하여 기준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성과는 지적재조사사업을 위한 기본계획수립시 측량 장비 수급 계획 등에 기초자료로 활용이 가능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