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ubjective Well-Being

검색결과 371건 처리시간 0.028초

주관적 삶의 질과 언어 사용의 관계성 분석 (Preliminary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Language Use and Subjective Well-being)

  • 김경일;배진희;김영진;김동근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2권11호
    • /
    • pp.4875-4880
    • /
    • 2011
  • 개인의 언어 사용 경향성은 그 개인의 심리적 측면을 분석할 수 있는 유용한 도구로 생각되어 왔으며 따라서 언어분석은 심리적 특성의 분석을 위해 중요하게 사용되어 왔다. 본 연구에서는 주관적 삶의 질을 구성하는 두 지표에 해당하는 삶에 대한 느낌과 삶에 대한 만족도가 언어와 어떤 관련성을 지니는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126명의 남녀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추출한 글쓰기 자료를 사용하여 KLIWC (Korean Linguistic Inquiry and Word Count)를 통해 언어 분석을 시도하였으며 주관적 삶의 질의 상 하위 집단 간에 어떤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또한 KLIWC 변인들과 주관적 삶의 질을 구성하는 두 하위변인들 간의 개별적 관계성들이 분석되었으며, 그 결과, 다양한 차이점들과 연관성들이 관찰되었다. 이러한 결과들은 주관적 삶의 질과 언어 사용의 연관성에 대한 이후 연구들에 대해 예비적이고 기초적인 자료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고등학생의 스트레스와 행복감 간의 관계에서 주관적 웰빙과 감사성향의 이중 매개효과 (Double Mediating Effect of Subjective Well-being and Gratitude Disposition on Relationship between Stress and Feeling of Happiness among High School Students)

  • 안재순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9호
    • /
    • pp.762-770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고등학생의 스트레스와 행복감 간의 관계를 확인하고, 그 관계를 주관적 웰빙과 감사성향이 이중으로 매개하는지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남녀 고등학생 245명이었다. 이 연구를 위해서 지각된 스트레스 척도, 삶의 만족 검사, 정서빈도검사, 감사성향 척도 및 주관적 행복 척도를 사용하였다. 직렬적 이중 매개효과는 PROCESS Macro 3.5 모형 6으로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 고등학생의 스트레스는 주관적 웰빙, 감사성향 및 행복감과 유의한 부적 상관이 있었다. 고등학생의 주관적 웰빙은 감사성향이나 행복감과 정적 상관이 있었으며, 감사성향도 행복감과 정적 상관이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고등학생의 스트레스와 행복감 간의 관계를 주관적 웰빙과 감사성향이 직렬로 이중매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청소년들의 행복에 주관적 웰빙과 감사성향이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이 발견되었기 때문에, 그들의 주관적 웰빙 수준과 감사성향을 증진시킬 필요가 있다.

재난피해자의 외상 후 위기와 외상 후 성장, 주관적 안녕감 간의 관계 -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 소득의 조절효과 - (Disaster Victims' Post-trauma Risk, Posttraumatic Growth and Subjective Well-being - Social Support as a Mediator and Income as a Moderator -)

  • 심서영;손영우;박상현;윤지원
    • 한국안전학회지
    • /
    • 제31권6호
    • /
    • pp.105-112
    • /
    • 2016
  • The current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s between disaster victims' post-trauma risk and posttraumatic growth, and the mediational role of social support for this relationships. In addition, we tested the hypothesis that income status would moderate the relationship between post-trauma risk and subjective well-being. Two hundred disaster victims completed Post-trauma Risk Checklist (PRC), Posttraumatic growth scale, Social support scale and Concise Measure of Subjective Well-Being (COMOSWB) as well as questions about their demographic characteristics. Results showed that those with high post-trauma risk demonstrated significantly higher levels of posttraumatic growth as compared to those with low post-trauma risk and social support partially mediated this relationship. Also, high levels of post-trauma risk predicted low levels of recent subjective well-being. Participants with high income obtained higher subjective well-being than did those with low income among high post-trauma risk groups. Implications for post-trauma risk and posttraumatic growth are discussed.

방과 후 지역아동센터 이용 아동·청소년의 자아탄력성, 사회적 지지, 주관적 안녕감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Ego-resilience, Social Support and Subjective Well-being on Psychological Well-being of the Children and Adolescents Who Attend a Community Child Center after School)

  • 김정이;박영미;이지현;조은주;장선녀
    • 한국학교보건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235-244
    • /
    • 2016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factors effecting the psychological well-being of adolescents who attend a community child center. Methods: The survey was conducted on 143 children attending a community child center in P city with a structured self-report questionnaire from August 20 to September 20, 2016. Data were analyzed through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Scheff{\acute{e}}$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using SPSS/WIN version 18.0. Result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psychological well-being according to grade, one of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ego-resilience, social support, subjective well-being, and psychological well-being. From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most significant factors affecting psychological well-being were subjective well-being (${\beta}=.56$) and grade division (${\beta}=.19$). These variables explained 38.0% of the total variance in psychological well-being. Conclusion: Consider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desirable to develop measures to increase adolescents' subjective well-being and provide support according to grade in order to improve the psychological well-being of the adolescents attending community children centers.

반려동물 애착과 주관적 안녕감: 기본 심리 욕구의 매개 효과 (Pet Attachment and Subjective Well-Being: Mediation Effect of Basic Psychological Needs)

  • 우수아;김민희
    • 감성과학
    • /
    • 제26권1호
    • /
    • pp.17-32
    • /
    • 2023
  • 본 연구의 목적은 현재 반려동물과 생활하는 반려인들을 대상으로 반려동물에 대한 애착이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기본 심리 욕구가 반려동물에 대한 애착과 주관적 안녕감 사이를 매개하는지 확인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전국의 성인 중 반려동물과 생활하는 358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고, 이 중 사용할 수 없는 자료를 제외하고 319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애착의 2차원 모델과(Zilcha-Mano et al., 2011) 자기 결정성 이론(Deci & Ryan, 2012)에 근거하여, 애착 불안과 애착 회피가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더 나아가 이들 관계의 심층 기제로서 기본 심리 욕구인, 자율성, 유능감, 관계성의 매개효과를 분석하였다.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반려동물 애착 회피와 반려동물 애착 불안은 모두 주관적 안녕감과 부적 상관을 보였다. 둘째, 기본 심리 욕구인 자율성, 유능감, 관계성이 반려동물과의 애착과 주관적 안녕감의 관계를 매개하는 매개효과가 검증되었다. 특히, 애착 회피와 주관적 안녕감 간 관계를 자율성, 유능감, 관계성이 완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애착 불안과 주관적 안녕감 간 관계에서는 자율성만 완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반려동물과의 애착 회피 또는 애착 불안이 직접적으로 개인의 안녕감에 영향을 미친다기보다 기본 심리 욕구 충족에 관여함으로써 주관적 안녕감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의미한다. 반려동물과의 관계가 인간의 삶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치는 데 있어 기본 심리 욕구의 충족이 심층 기제가 된다는 사실을 밝혔다는 데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대학생의 생활스트레스, 자기효능감, 내외통제 및 주관안녕 간의 관계 (The relationships among college students' life stress, self-efficacy, locus of control, and subjective well-being)

  • 강혜자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8권4호
    • /
    • pp.461-467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의 생활스트레스, 자기효능감, 내외통제 및 주관안녕 간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79명의 대학생들에게 생활스트레스, 자기효능감, 내외통제 및 주관안녕 질문지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토대로 상관분석을 한 결과, 생활스트레스, 자기효능감, 내외통제 및 주관안녕 간에 모두 상관이 유의하였다. 또한 생활스트레스와 주관안녕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과 내외통제의 매개효과를 분석한 결과,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는 유의하였으나 내외통제의 매개효과는 유의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대학생의 생활스트레스가 주관안녕에 영향을 미침에 있어서 자기효능감의 잇점이 부각되었고, 생활스트레스의 부정적 영향을 낮추고 주관안녕을 높이기 위해 자기효능감을 증진시키는 방안 제고의 필요성이 논의되었다.

어머니의 낙관성 및 양육행동과 아동의 낙관성이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Mothers' Optimism, Parenting Behaviors and Their Child's Optimism and The Effects on a Child Subjective Well-being)

  • 주지영;박성연
    • 아동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21-38
    • /
    • 2013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path model of mothers' optimism, parenting behaviors and a child's optimism and the effects on their child's subjective well-being. The subjects of this study consisted of 331 pairs of mothers and their children from 5th and 6th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Seoul. Data were gathered via four questionnaires on mothers' optimism reported by mothers and their parenting behaviors, child optimism, and child subjective well-being as reported by the children. Data were analysed by Structural Equation Model using AMOS 19.0. The results indicated the following, the hypothesized model yielded an acceptable model fit and most of the hypothesized path coefficients were found to be significant. Specifically, mothers' optimism and parenting behaviors influence their children's subjective well-being indirectly through children's optimism. It is concluded that the more optimistic the mothers, the more likely the children themselves will share that optimism and in turn, they will also have higher levels of subjective well-being.

폐경 후 중년여성의 골 건강상태에 따른 신체적 기능수준 및 심리적 안녕상태 (The Level of Physical Function and Psychological Well-Being of Postmenopausal Middle-aged Korean Women according to Bone Health Status)

  • 차경숙;김순례
    •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46-55
    • /
    • 2006
  • Objective: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physical function, psychological well-being, and subjective symptom of postmenopausal osteoporotic women. Methods: Data used for this study was collected from 397 women who had experienced one years or longer menopause and visited a hospital in Seoul, Korea during the period from May to December 2005. Results: The level of physical function of the fracture osteoporosis group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e other three groups. The psychological well-being of the fracture osteoporosis group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e other three groups. Subjective symptom of the fracture osteoporosis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other three groups. The level of physical function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psychological well-being and negatively with subjective symptom. Psychological well-being was also negatively correlated with the level of subjective symptom. Based on the results, it is recommended that the prevention of vertebral fracture in osteoporotic woman is important, and nursing intervention is necessary for the physical function, psychological well-being, and subjective symptom care.

  • PDF

다문화가정 자녀의 지각된 어머니 고부갈등이 주관적 웰빙에 미치는 영향: 문화적응 스트레스와 학교생활적응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Influence of Perceived Mother-Grandmother Conflicts on Subjective Well-being among Multicultural Children: Focused on Mediating Effect of Acculturative Stress and Satisfaction of School Life)

  • 김복희;서경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8호
    • /
    • pp.498-506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다문화가정 자녀가 지각한 어머니 고부갈등과 주관적 웰빙 간의 관계를 확인하고, 그 관계를 문화적응 스트레스와 학교생활적응이 이중으로 매개하는지를 검증하였다. 참여자는 강원도 J군에 거주하는 다문화가정 자녀인 남녀 청소년 205명이다. 이중 매개효과는 PROCESS Macro 3.5 모델 6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다문화가정 자녀가 지각한 어머니의 고부갈등은 문화적응 스트레스와 정적 상관이, 학교생활적응이나 주관적 웰빙과는 부적 상관이 있었다.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문화적응 스트레스는 학교생활적응과 주관적 웰빙과는 부적 상관이 있었으며, 학교생활적응은 주관적 웰빙과 정적 상관이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다문화가정 자녀의 지각된 어머니 고부갈등과 주관적 웰빙 간의 관계를 문화적응 스트레스와 학교생활적응이 직렬로 이중매개 하는 것이 발견되었다. 이런 결과는 다문화가정 자녀의 지각된 어머니의 고부갈등이 문화적응 스트레스를 경험하게 하고 그 결과 학교에 적응하지 못하여 주관적 웰빙 수준이 낮아질 수 있음을 시사한다.

대학생의 애착과 주관적 안녕감과의 관계: 대인관계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ttachment and Subjective Well-Being: Focusing on Mediating Effects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

  • 오영진;박봉순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9권10호
    • /
    • pp.81-90
    • /
    • 2011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ttachment and subjective well-being of university students. We conducted a survey on 336 university students in Andong-si and Cheongju-si. The data were analyzed by Pearson's productive correlation,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and Sobel test.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affective well-being made an effect by avoidant attachment and anxiety attachment, and was more affected by interpersonal relationship than anxiety attachment including mediating variable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 Second, there was a significant effect in cognitive well-being only by anxiety attachment. Including mediating variables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 cognitive well-being affected by interpersonal relationship only. Third, interpersonal relationship mediated partially the relationship between attachment and affective well-being, and perfectly between attachment and cognitive well-be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