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5392/JKCA.2021.21.08.498

Influence of Perceived Mother-Grandmother Conflicts on Subjective Well-being among Multicultural Children: Focused on Mediating Effect of Acculturative Stress and Satisfaction of School Life  

Kim, Bok-Hee (삼육대학교 상담심리학과)
Suh, Kyung-Hyun (삼육대학교 상담심리학과)
Publication Information
Abstract
This study identified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mother-grandmother conflicts and subjective well-being among multicultural children, and examined the double mediating model of acculturative stress and adjustment to school life on that relationship. Participants were 205 male and female adolescents living at J county in Gangwon-do. PROCESS Macro 3.5 Model 6 was used for analysis of a double mediating effect. Results revealed that perceived mother-grandmother conflicts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acculturative stress of multicultural children, and negatively correlated with adjustment to school life and subjective well-being. And, acculturative stress of multicultural children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adjustment to school life and subjective well-being, whereas adjustment to school life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subjective well-being. This study found that acculturative stress and adjustment to school life were sequentially mediating perceived mother-grandmother conflicts and subjective well-being of multicultural children.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he perceived mother-grandmother conflicts might cause multicultural children to experience acculturative stress, and as a result, their subjective well-being level might be reduced due to their low adjustment to school life.
Keywords
Multicultural Family; Conflict; Acculturation; Stress; Adjustment; Well-being;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4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E. I. Lorenzo-Blanco and J. B. Unger, "Ethnic Discrimination, Acculturative Stress, and Family Conflict as Predictors of Depressive Symptoms and Cigarette Smoking Among Latina/o Youth: The Mediating Role of Perceived Stress," Journal of Youth and Adolescence, Vol.44, No.2, pp.1984-1997, 2015.   DOI
2 안혜우, 엄명용,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문화적응 스트레스가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에서 우울의 매개효과: 융합적 대응방안 모색," 한국융합학회논문지, 제11권, 제6호, pp.297-301, 2020.   DOI
3 성은영, 황순택, "다문화가정 시어머니의 고부갈등, 스트레스 대처, 정신건강에 관한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제18권, 제1호, pp.243-257, 2013.   DOI
4 손보영, "다문화 가정 자녀의 자아정체감 형성 과정에 대한 이해: 민족정체성을 중심으로," 상담학연구, 제21권, 제2호, pp.193-217, 2020.   DOI
5 강현민, "다문화가정의 사소한 갈등: <다문화 고부열전>을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5권, 제8호, pp.179-185, 2015.   DOI
6 이외승, 곽종형, "효의 관점에서 다문화 가정의 고부간 갈등 연구," 효학연구, 제19권, 제19호, pp.139-163, 2014.
7 서은경, 김병석, "다문화가정의 부부갈등과 자녀의 사회적응에 관한 연구: 사회적 지지원과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 Korea Journal of Youth Counseling, Vol.21, No.2, pp.449-476, 2013.   DOI
8 S. Xiao, R. Liu, K. Yao, and T. Wang, "Psychosocial predictors of acculturative stress among female and male immigrant Asian Americans: A gender comparison study," SHS Web of Conferences, 2019.
9 F. Yi, Acculturative stress, meaning-in-life, collectivistic coping, and subjective well-being among Chinese international students: A moderated mediation model,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of Iowa State University, 2017.
10 E. Yoon, R. Lee, and M. Goh, "Acculturation, social connectedness, and subjective well-being," Cultural Diversity and Ethnic Minority Psychology, Vol.14, No.3, pp.246-255, 2008.   DOI
11 이경순, 서경현, "대학생의 대인관계 스트레스 및 부모와의 갈등과 주관적 웰빙 : 원한 동기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제16권, 제3호, pp.595-608.
12 김윤희, 김현경, "다문화가정 청소년 가족지지 및 한국어 능력과 학교적응의 종단적 발달경로: 문화적응 스트레스와 우울의 이중매개효과," 청소년학연구, 제29권, 제6호, pp.367-396, 2020.
13 김영숙, 조한익, "학교생활적응, 학업성취도 및 주관적 안녕감의 종단적 인과관계와 성별에 따른 차이 분석," 교육심리연구, 제29권, 제4호, pp.845-871, 2015.
14 T. T. V. Tran, 한국과 베트남의 고부갈등원인에 관한 비교연구 : 며느리들의 경험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9.
15 조명한, 차경호, 삶의 질에 대한 국가간 비교, 서울: 집문당, 1998.
16 유윤희, 학교적응불안, 학업성취간의 관계분석, 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4.
17 이부, 다문화가정 자녀의 스포츠클럽 참여와 행복감과의 관계에서 학교생활적응과 생활만족의매개효과, 강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9.
18 J. M. Tomas, M. Gutierrez, A. M. Pastor, and P. Sancho, "Perceived social support, school adaptation and adolescents' subjective well-being," Child Indicators Research, Vol.13, No.8, pp.1597-1617, 2020.   DOI
19 D. V. Chavez, V. R. Moran., S. L. Reid, M. Lopez, "Acculturative stress in children: A modification of the SAFE Scale," Hispanic Journal of Behavioral Sciences, Vol.19, No.1, pp.34-44, 1997.   DOI
20 은선경, 다문화가족 자녀의 학교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가족기능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숭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0.
21 E. Diener, E. Suh, R. E. Lucas, and H. L. Smith, "Subjective well-being: Three decades of progress," Psychological Bulletin, Vol.125, pp.276-302, 1999.   DOI
22 S. G. West, J. F. Finch, and P. J. Curran, "Structural equation models with nonnormal variables," In R. H. Hoyle (E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Concepts, issues, and applications (pp.56-75), Thousand Oaks: Sage, 1995.
23 김정호, "삶의 만족 및 삶의 기대와 스트레스 및 웰빙의 관계: 동기상태이론의 적용,"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제12권, pp.325-345, 2007.
24 E. Diener, R. A. Emmons, R. J. Larsen, and S. Griffin, "The Satisfaction with Life Scale," Journal of Personality Assessment, Vol.49, pp.71-75, 1985.   DOI
25 서경현, "청소년의 삶에 대한 기대와 주관적 웰빙: 일반 성인과의 비교 연구," 청소년학연구, 제19권, 제12호, pp.137-157, 2012.
26 박점자, "다문화가정의 가족기능이 다문화아동의 사회적 능력에 미치는 영향: 다문화가정 어머니의 양육효능감의 매개효과 검증,"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5권, 제6호, pp.247-258, 2015.   DOI
27 통계청, "2019년 다문화 인구동태 통계," 2000. https://www.kostat.go.kr/portal/korea/kor_nw/1/1/index.board?bmode=read&aSeq=385962
28 박수정, 최연실, "다문화가정 자녀의 학교생활적응 향상을 위한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의 개발과 효과 검증 : 동적 학교생활화(KSD)에 의한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가정관리학회지, 제28권, 제6호, pp.1-18, 2010.
29 김순옥, 임현숙, 정구철, "결혼이주여성의 배우자지지, 가족지지가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3권, 제11호, pp.221-235, 2013.   DOI
30 위인백, "인권과 사회통합 관점에서 본 여성결혼 이민자 관련 법,"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1권, 제5호, pp.317-327, 2011.   DOI
31 A. N. Goforth, A. V. Pham, H. Chun, S. N. Castro-Olivo, and E. R. Yosai, "Association of acculturative stress, Islamic practices, and internalizing symptoms among Arab American adolescents," School Psychology Quarterly, Vol.31, No.2, pp.198-212, 2016.   DOI
32 김진희, "스트레스 요인과 사회적 지지가 다문화가정 자녀의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제24권, 제3호, pp.209-223, 2012.
33 봉혜경, 김명근, "다문화가정의 가구특성과 부모-자녀 관계가 청소년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일본과 한국 다문화가정을 중심으로," 인문사회 21, 제8권, 제5호, pp.539-555, 2017.
34 D. Liang, L. Wang, L. Xia, and D. Xu, "Acculturative stress and life satisfaction of Chinese rural-to-urban migrants," Social Behavior and Personality, Vol.48, No.11, pp.1-11, 2020.
35 R. Serafica, N. Lekhak, and T. Bhatta, "Acculturation, acculturative stress and resilience among older immigrants in the United States," International Nursing Review, Vol.66, No.3, pp.442-448, 2019.   DOI
36 정혜정, 최인실, "청소년이 지각한 가족갈등과 심리적 적응 및 진로태도성숙도에 관한 연구," 상담학연구, 제5권, 제3호, pp.773-791, 2004.
37 설염추,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자녀의 학교생활적응 관계에서 자녀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 일반가정과 다문화가정을 중심으로," 교육방법연구, 제32권, 제1호, pp.45-68, 2020.   DO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