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ubject Heading

검색결과 69건 처리시간 0.028초

Unrestricted Measurement Method of Three-dimensional Walking Distance Utilizing Body Acceleration and Terrestrial Magnetism

  • Inooka, Hikaru;Kim, HiSik
    • 제어로봇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제어로봇시스템학회 2001년도 ICCAS
    • /
    • pp.94.5-94
    • /
    • 2001
  • Unrestricted measurement method of three-dimensional walking distance utilizing body acceleration and terrestrial magnetism is discussed. The three-dimensional walking distance is derived by the integration of the three dimensional acceleration of foot during swing phase. Since the sensor system attached on the foot rotates during swing phase, the acceleration data measured on the foot include acceleration of gravity which causes inaccurate calculation of the velocity and the distance. Three gyros are used to compensate the rotation of the sensor system. Moreover, one geomagnetic sensor is employed to derive the heading direction of the subject Healthy volunteers performed ...

  • PDF

주요 개발도상국의 국가도서관에 있어 한국관련 목록레코드 비교 분석 - 유럽 및 남미지역 12개국을 중심으로 - (Comparative Analysis of Cataloging Record Related to Korea in the National Libraries of the Main Developing Countries - Focused on 12 Europe and South America Countries -)

  • 김정현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7권2호
    • /
    • pp.1-25
    • /
    • 2016
  • 이 연구는 유럽 및 남미지역 주요 12개 개발도상국가의 국가도서관 목록레코드에 나타나고 있는 한국관련 레코드의 주제영역별 현황과 특성, 주제명표목 등을 중심으로 비교 분석한 것이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아래와 같다. 첫째, 대부분의 국가도서관에 소장되어 있는 한국관련 자료가 절대적으로 부족하며, 해당 국가도서관 자료의 0.01%도 되지 않는다. 둘째, 대부분의 국가도서관이 한국어 자료를 로마자로 번자하여 표기하고 있으며, 아르메니아 국가도서관을 제외하고 한국어 자료에 대해 원어를 표기하지 않으며, 한국어 검색이 불가능 하다. 셋째, 한국관련 레코드는 대개 사회과학과 역사 지리 분야가 50~70%의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세부항목별 주제 분포에서는 '역사', '정치', '경제'가 상대적으로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넷째, 한국관련 주제명 가운데 태권도는 대부분이 가라데와 구분하고 있지만 아르헨티나의 경우 태권도를 가라데로 인식하고 있다. 독도는 8개 국가도서관이 한국이라는 지리 한정어와 함께 표기하고 있으며, 동해는 7개 국가도서관이 일본해로 표기하고 있다. 압록강, 두만강, 백두산 관련 레코드는 거의 검색되지 않았다.

주요 개발도상국의 국가도서관에 있어 한국관련 목록레코드 비교 분석 - 아시아 및 아프리카지역 10개국을 중심으로 - (A Comparative Analysis of Cataloging Records Related to Korea in the National Libraries of the Major Developing Countries: Focused on 10 Asian and African Countries)

  • 김정현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2권1호
    • /
    • pp.65-86
    • /
    • 2018
  • 이 연구는 아시아 및 아프리카지역 주요 10개 개발도상국가의 국가도서관 목록레코드에 나타나고 있는 한국관련 레코드의 주제영역별 현황과 특성, 주제명표목 등을 중심으로 비교 분석한 것이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아래와 같다. 첫째, 대부분의 국가도서관에 소장되어 있는 한국관련 자료가 절대적으로 부족하며, 해당 국가도서관 자료의 0.1%도 되지 않는다. 베트남 국가도서관을 제외하고 모두 3,000권 미만으로 나타났으며, 일본관련 자료는 한국관련 자료에 비해 대체로 2배 이상 높게 나타났다. 둘째, 이란과 베트남 국가도서관을 제외하고 대부분의 국가도서관이 한국어 자료를 로마자로 번자 표기하고 있으며, 한국어 자료에 대해 원어 표기를 하지 않아 한국어 검색이 불가능하다. 셋째, 한국관련 레코드는 대체로 사회과학과 역사 지리 분야가 55~75%의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세부항목별 주제 분포에서는 '역사'와 '경제'가 상대적으로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넷째, 한국관련 주제명 가운데 태권도는 대부분이 가라데와 구분하고 있지만 4개 국가도서관에서는 태권도를 가라데로 인식하고 있다. 독도는 7개 국가도서관이 한국이라는 지리 한정어와 함께 표기하고 있으며, 동해는 7개 국가도서관이 일본해로 표기하고 있다. 압록강, 두만강, 백두산 관련 레코드는 거의 검색되지 않았다.

일본국립국회도서관의 한국 관련 주제명 전거데이터 분석 (An Analysis of Subject Authorities Related to Korea in the National Diet Library of Japan)

  • 김정현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52권3호
    • /
    • pp.49-72
    • /
    • 2021
  • NDL 전거시스템을 고찰하고 이를 바탕으로 NDL 전거데이터 가운데 한국 관련 주제명 전거데이터를 추출하여 주제명의 현황 및 특성을 분석하였으며, 결과를 요약하면 아래와 같다. 첫째, NDL의 한국 관련 주제명 전거데이터는 전거표목 2,205건, 참조 938건을 포함하여 전체 3,143건이다. 이 가운데 사회과학이 52.4%로 절반 이상을 차지하고 있으며, 개별 학문별로 경제학 전거데이터가 552건 17.6%로 가장 많았다. 둘째, 일본에 의해 유발되었거나 직접적인 연관이 있는 역사적 사건의 주제명은 대부분 일본의 시각에서 전거데이터를 기술하고 있으며, 한국에 익숙한 용어는 주로 전거표목이 아니라 참조에 기재되어 있다. 셋째, 한국적인 특성이나 역사적 사건을 나타내는 주제명이 매우 부족하며, 대부분이 일반적인 성격의 주제명으로 표현되어 있다. 넷째, 국가명에 있어 남한과 북한을 함께 통칭하는 용어를 '조선(朝鮮)'으로 하고 있어 여전히 우리나라를 조선시대에 머물게 하고 있다. 시대세목에 있어 '대한민국(大韓民国)'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朝鮮民主主義人民共和国)' 시대인 1948년 이후의 역사를 세분할 필요가 있으며, '발해(渤海)'는 중국 역사로 간주하고 있으나, 엄연히 한국 역사의 일부이므로 한국의 시대세목에 추가되어야 한다.

한인디아스포라 관련 주제명표목 개선 방안 연구 - 국립중앙도서관 주제명표목표의 한인 관련 용어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Enhancement of Korean Diaspora-related Subject Headings: Focusing on Korean-related Terminology in the National Library of Korea Subject Headings)

  • 여지숙;양기덕;이토히로코;이혜경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53권1호
    • /
    • pp.103-124
    • /
    • 2022
  • 이 연구는 한인디아스포라와 관련된 연구에서 한인에 대한 용어를 분석하여, 국립중앙도서관 주제명표목표에서 관련 용어들을 조사하고, 이를 보완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하여 먼저 KCI 등재(후보)학술지 중 디아스포라 관련 논문의 비율이 높은 3개의 학술지를 선정하여 한인과 관련된 용어에서 추출하여, 이 3개 학술지 논문에서 사용된 빈도를 조사한 다음, 한인과 관련된 용어를 사용한 논문을 직접 보고 추가 한인 관련 용어를 조사하였다. 이러한 분석을 바탕으로 국립중앙도서관 주제명표목표에서 한인 관련 주제명을 보완할 수 있는 방안으로 영문표기의 변경, 비우선어의 추가, 기존 주제명의 계층관계 변경 등을 제안하였다.

MeSH 시소러스를 이용한 한영 교차언어 키워드 자동 부여 (Automatic Korean to English Cross Language Keyword Assignment Using MeSH Thesaurus)

  • 이재성;김미숙;오영순;이영성
    • 정보처리학회논문지B
    • /
    • 제13B권2호
    • /
    • pp.155-162
    • /
    • 2006
  • 의학용 시소러스인 MeSH (Medical Subject Heading)는 영어 의학 논문 색인을 위한 통제어 시소러스로서 오랫동안 사용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한국어 MeSH를 이용하여 한국어 의학 논문의 요약문에 자동으로 영문 MeSH 색인어를 부여하는 '교차언어 키워드 부여' 방법을 제안하고 색인 전문가 및 저자의 색인 효율과 비교한다. 이 색인어 부여 과정은 우선 한국어 MeSH 용어를 문장에서 인식하여 추출하고, 이 용어를 다시 영어 MeSH 용어로 바꾼 후, 용어의 중요도를 계산하여 상위의 용어를 색인어로 부여한다. 특히, 한국어 MeSH 용어 추출을 위해 효과적으로 띄어쓰기 변이를 처리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한다 실험 결과, 띄어쓰기 변이를 효과적으로 처리하여 한국어 MeSH의 크기를 약 42% 정도 줄였을 뿐만 아니라, 후보 색인어 추출의 효과도 높였다. 또 이 방법을 이용하여 색인어 자동 부여를 한 후, 색인 전문가 및 저자의 색인 결과를 비교한 결과, 이 자동 색인 방법이 전문가의 색인 능력보다는 부족했지만, 저자의 색인 능력과는 별 차이가 없음을 보였다.

한국치위생학회지 게재 논문의 저자 키워드와 MeSH 용어의 비교(창간호~2015년) (Comparison of author key words and Medical Subject Heading terms in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Dental Hygiene from 2001 to 2015)

  • 김윤정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18권6호
    • /
    • pp.1047-1055
    • /
    • 2018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author key words and MeSH (Medical Subject Headings) terms in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Dental Hygiene (JKSDH). Methods: A total of 3,242 author key words from 974 informative articles published from 2001 to 2015 were compared with MeSH terms, according to the criteria of complete coincidence, incomplete coincidence, and complete non-coincidence. Results: The coincidence rate of 564 author key words with MeSH terms was 17.4%. The author key words that appeared most frequently (in descending order) were oral health (41 times), dental hygienists (30 times), dental caries (29 times), and knowledge (29 times). There was a non-coincidence rate of 70.5% for 2,286 author key words with MeSH terms. Conclusions: Many author key words used in the JKSDH did not coincide with MeSH terms. The use of author key words that coincide with MeSH terms is necessary to accomplish the international journal.

도서이용 속성 조합에 기반한 독서자료 분류체계 설계 (Towards the Development of a Reading Material Classification Scheme Based on a Combination of Book Use Facets)

  • 심지영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39권4호
    • /
    • pp.347-373
    • /
    • 2022
  • 본 연구는 독서자료의 접근점을 확장하기 위해, 도서이용 속성에 기반한 독서자료 분류체계를 고안하였다. 독서상황에서 도서 이용자가 고려할 수 있는 도서의 속성을 내용분석하여 주제명에 반영하고, 네트워크 분석을 통해 주제명 항목과 인접한 항목들을 연관 주제명으로 그룹화하여 함께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독서자료분류표(RMC)는 도서관 OPAC을 비롯한 독서정보 시스템 내에서 도서 이용자의 탐색을 돕는 다양한 접근점을 제공하는 도구로써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전문도서관의 주제목록형태에 관한 일연구 (A Study on Classified Catalogs of Research or Special Libraries in Korea)

  • 유소영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9권
    • /
    • pp.75-98
    • /
    • 1982
  • This study attempted at first to find out a more suitable form of catalog to guide library users who need subject approach through a literature survey, secondly to see how and which catalog form is kept by Korean research or special libraries through an analysing questionnaires, and thirdly to evaluate these data and explore the ways to improve the function of classified catalog in Korean research or special libraries. The findings of this study shows that a classified catalog is more desirable form of catalog in research or special libraries in Korea because of the diversity of languages of the literatures needed by researchers, the educational programs for librarians and the problems of subject heading lists. Above mentioned questionnaire survey shows that more than $70\%$ of research or special libraries in Korea uses classified catalogs. However, among those libraries - only $8\%$ has the index of cassified catalog which is prerequisite for the catalog users. This survey also indicates that recently many libraries began or converted classified catalogs to subject catalogs. The writer explains the beginnings or convertings of classified catalog to subject catalog is due to the fact that many libraries do not have the index of a classified catalog which is badly needed by the library users. Based on these findings, writer said that to improve the function of the present classified catalog, it should include it's index to guide the library users who are not familier with the classifing system of the subjects. Through the entire paper, the writer has attempted to develop a point of argument by comparing a classified catalog with a subject catalog. Writer's point is not only a subject catalog using the particular language terms as a communication tool has problems in itself, but also the prevailing of this catalog form in North America is caused by their different situations from ours.

  • PDF

주제어기반 분류의 분류론적 개념 정립 및 발전 방안 - 발전과정 및 기능 분석을 통하여 - (Subject Based Classification: Conceptualization and the Development Plan as a Classificatory System)

  • 백지원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5-24
    • /
    • 2012
  • 본 연구는 주제어기반 분류의 발전 과정 및 현황을 종합적으로 분석하고 그 기능과 유형을 명확히 함으로써 주제어기반 분류의 분류론적 개념을 정립하고, 향후 분류체계로써의 정착 및 발전을 위한 제안을 하고자 하는 목적을 가지고 있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는 1937년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 발표된 주제어기반 분류의 필요성에 대한 논의를 수집하여 분석하고, 주제어기반 분류에 해당하는 다양한 사례를 수집하여 그 명칭과 유형을 분석하였다. 또한 분류로써의 주요 기능 수행력을 기존의 문헌분류와 비교하고, 분류와 주제명표목과의 비교 분석을 통해 지식조직체계로써의 기능과 특성을 밝히고자 하였다. 이러한 분석의 결과, 주제어기반 분류는 구체적인 기능 정의, 유형, 사용되는 정보환경, 지식조직체계간의 관계성 등을 면밀히 고려함으로써 그 분류론적 개념과 기능을 명확히 정의할 수 있음을 밝혔고, 향후 분류체계로써의 정착과 발전을 위한 발전방안을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