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ub-organizational culture

검색결과 73건 처리시간 0.03초

Intra-organizational Conflict and Innovative Performance in Media Industry: An Exploratory Simulation Study

  • Cheon, Youngjoon;Jeong, Seong Bin;Kwak, Kyu Tae
    •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 /
    • 제19권2호
    • /
    • pp.89-98
    • /
    • 2018
  • Media industry is attempting various types of strategic innovation in the content and organization as they enter transition period. However, previous research has casually treated the organizational culture from the management and realized that cognitive/cultural differences between the specific departments yield conflicts. This means the researchers explored less on the decision-making process with the conflict between sub-groups and constituent in the organization. Our study reviewed the most positive method to achieve the innovation outcome through the conflict management within the organization based on the behavioral theory of the firm and applied computer simulation model for analysis to construct the quantitative scenario and infer the result. Conflict always found while media organization experiences innovation within the groups. However, in the long term, securing the independence through the certain state of 'anarchy' which possibly lead consensus implies significance rather to comprise collegiate system for unilateral control. In specific, this study explored the issues in 'conflict management' that has been evaded in media organization research through NK simulation model.

간호·간병통합서비스 병동 간호사의 조직몰입과 환자안전문화인식이 환자안전간호활동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Perceived Patient Safety Culture on Patient Safety Nursing Activities among Nurses in Comprehensive Nursing Care Units)

  • 노숙;김태임
    • 임상간호연구
    • /
    • 제27권1호
    • /
    • pp.12-22
    • /
    • 2021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effects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OC) and perceived patient safety culture (PPSC) on patient safety nursing activities (PSNA) among nurses in comprehensive nursing care units. Methods: Participants were 173 nurses working at five general hospitals in Chungcheong area.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𝑥2 test,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ith SPSS/WIN 23.0 programs. Results: The mean scores of the OC and PPSC were 3.28±0.50 and 3.85±0.35, respectively. The mean score of PSNA was 4.55±0.41, and PSNA was significantly different by the experience of participating in hospital's safety culture campaigns (t=2.70, p=.008). The results of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patient safety knowledge and attitudes' (β=.27, p=.006) and 'unpunished environment to error' (β=.22, p=.004) as the sub-categories of PPSC were affecting factors on PSNA with an explanatory power of 26.0% (F=6.40, p<.001).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in order to promote PSNA among nurses in comprehensive nursing care units,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program to enhance patient safety-related knowledge and attitudes. In addition, the hospital's organizational efforts such as operating safety campaigns and creating an unpunished environment to error should be needed.

프로티언경력지향성, 지속학습활동, 주관적 경력성공의 관계에서 조직문화 불균형성의 조절된 매개효과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Organization Cultural unbalance on the relationship among the Protean Career Orientation, Continuous Learning Activity and Subjective Career Success)

  • 김나영;정승철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12호
    • /
    • pp.477-489
    • /
    • 2021
  • 본 연구는 프로티언 경력지향성이 지속학습활동을 통해 주관적 경력성공에 영향을 미치는 매개과정에 대해서 조직문화 불균형성이 조절변인으로서의 역할을 하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이를 위해 대기업 경력 5년 이상의 사무직 근로자 276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SPSS 25와 Process Macro v3.5를 활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프로티언 경력지향성이 주관적 경력성공에 영향을 미치는 관계를 지속학습활동이 매개하는 것은 확인되었지만, 조직문화 불균형성의 조절효과 및 조절된 매개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그러나 프로티언 경력지향성의 하위변인인 '자기주도성'이 지속학습활동을 통해 주관적 경력성공 및 그 하위변인 '고용가능성', '경력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매개과정에 대한 조직문화 불균형성의 조절 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시사점에 제한점, 후속연구 제언을 논의하였다.

다문화가족지원센터의 조직풍토, 다문화실천역량 그리고 직무착근도간의 관계에 대한 구조방정식 모형분석 연구 (A Study on the Structural Analysis among Organizational Climate, Multicultural Practical Competence and Job Embededness of Multicultural Family Service Center)

  • 신효진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6권4호
    • /
    • pp.391-400
    • /
    • 2020
  • 본 연구는 다문화가족지원센터의 조직풍토, 다문화실천역량 그리고 직무착근도에 대하여 알아보고, 이들 간 관계의 영향력을 구조방정식 모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자는 경기도와 서울 지역에 있는 7개의 다문화가족지원센터에 근무하는 다문화 실천가들로 총 175명이며, 자료는 구조화된 설문지를 통하여 수집되었다. 수집된 자료에 대해 SPSS Statistics 20.0 및 Amos 21.0 프로그램을 이용해 기술통계 분석, 요인분석과 구조방정식 모형분석이 이루어졌다. 연구 결과는 첫째, 다문화 실천가의 조직풍토, 다문화실천역량 그리고 직무착근도의 평균값은 5점 총점에 3.5 이상으로 긍정적으로 나타났다. 세부적으로 보상인센티브(M=3.33)와 업무배정(M=3.27)이 낮게 나타났고. 다문화역량에 대해 다문화실천기술(3.27)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직무착근도의 하위요인 중 적합성(Mean=3.79)이 매우 높게 나타났으나 연계(Mean= 3.19)와 희생(Mean= 3.02)은 낮게 나타났다. 둘째, 다문화실천역량은 직무착근도에 양의 방향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으며(표준화 계수=0.426, C.R.=5.293, p<.001), 조직풍토가 직무착근도에 미치는 영향에 간접효과를 나타냈다. 셋째, 조직풍토는 다문화실천역량에 양의 방향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고(표준화 계수=. 206, C.R.=2.499, p<.05), 또한 직무착근도에 양의 방향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표준화 계수=0.488, C.R.=6.131, p<.001). 연구 결과에 따라 조직풍토의 개선과 다문화역량의 강화로 인한 다문화 실천가들의 직무착근도를 향상시키는 실천적, 정책적 함의가 제시되었다.

병원 간호사의 조직침묵에 관한 근거이론적 접근 (Nurses' Organizational Silence in Hospitals: A Grounded Theoretical Approach)

  • 이경희;유명순
    • 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66-76
    • /
    • 2022
  • Purpose: This study aimed to explore the constructs and context of hospital nurses' organizational silence. Methods: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17 nurses in small-middle general hospitals as well as big university hospitals. We then derived the key themes using grounded theory method. Results: Nine themes and 30 sub-themes were derived: "Willing to be recognized for performance rather than saying", "Getting used to the hard-to-speak climate", "Face the reality that does not change when said", "Complicated situation that prevents self-regulating decision-making", "Conflicts that are difficult to confront", "Unfair responsibilities that I want to evade", "Leaders who don't support me", and "Being blocked in communication". Consequently, the nurses learned to adopt a climate of silence and "learned organizational silence" behavior. They experienced that prosocial silence was essential for obtaining approval as a member of the group, and defensive silence for protecting themselves in the hierarchical structure and unfair responsibilities. Acquiescent silence originated from a futile relationship with their supervisors, one-way communications, and the unsupportive management system, in which three types of silence appeared sequentially or in combination with each other. Conclusion: Based on these results, nursing managers should identify the context of nurses' organizational silence and should lessen these silence behaviors.

진정성 리더십이 종업원의 조직열의, 직무만족, 창의성, 그리고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프랜차이즈 호텔을 중심으로 (Effect of Authentic Leadership on Organizational Engagement, Job Satisfaction, Creativity, and Job Performance in Franchising Hotels)

  • 차재원;김은정;정규엽
    • 한국프랜차이즈경영연구
    • /
    • 제8권4호
    • /
    • pp.21-32
    • /
    • 2017
  • Purpose - In hotel business, how to build the relationship between leader and employees is very important, because it affects on the customer satisfaction. Thus, this research examines the effect of authentic leadership on job performance in the context of hotel industry and identifies mediating roles of organizational engagement, job satisfaction, and creativit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uthentic leadership and job performance. This study suggests the guidelines for how hotel companies should improve employee productivity and build a desirable organizational culture by presenting employee attitudes and behavioral models that explain the relationship between leaders and employees.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 This study examines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authentic leadership, organizational engagement, job satisfaction, creativity, and job performance from the employee's perspective. Authentic leadership divide into four sub-dimensions such as self-awareness, balanced process of informations, internalized moral perspective, and relational transparency. In order to test the purposes of this study, research model and hypotheses were developed. All constructs were measured with multiple items developed and tested in the previous studies.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114 franchise hotel employees and were analyzed using SPSS 21.0 and Smart PLS 3.0. program. Result -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uthentic leadership have significant impacts on organizational engagement and creativity, but does not have impact on job satisfaction directly. Second, organizational engagement have significant impacts on job satisfaction and job performance, but does not have impact on creativity directly. Third, job satisfaction has significant impact on creativity, but does not have impact on job performance. Fourth, creativity has significant impact on job performance. Conclusions - The finding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hotel leaders should properly implement the authentic leadership and consider how to build a corporate culture to improve an organizational and employee productivity through authentic leadership. Due to the nature of the hotel industry, which relies heavily on human resources, hotel companies must manage their employees with authenticity in order to increase organizational engagement, job satisfaction, and creativity that affect hotel and employee productivity. If hotel employees perceive their leader's authentic leadership, they show more organizational engagement that increases creativity and leads to job performance. Finally, hotel employees can propose creative ideas only if they will be satisfied with their jobs. Therefore, the leader should develop non-monetary or monetary reward system for the employees and, make an efforts to foster creativity of the employees.

일개 상급종합병원 의사들의 환자안전문화에 대한 인식 분석 (Analysis of doctors' cognition of patient safety at general hospitals)

  • 유은영;정상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3권6호
    • /
    • pp.2607-2616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의료기관의 환자안전문화를 이해하고, 의사들의 환자안전문화에 대한 인식분석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시도하였다. G시에 소재한 상급종합병원 의사를 대상으로 2011년 8월 1일 부터 9월 5일까지 설문조사하여 194부를 최종분석 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대상자와 병동 및 병원안전문화 간의 관계는 직원배치가 성별, 연령별, 병원 근무년수, 환자 접촉여부, 1주 근무시간에 따라 인식의 차이가 있으며, 조직학습과 병동내 팀워크는 1주 근무시간에 따라, 병동 안전문화 모든 하부영역은 진료과별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둘째, 대상자와 의료사고보고체계, 환자 안전도 평가 및 전반적 의식수준과의 관계에서는 사고에 대한 피드백과 의사소통, 사고빈도보고, 전반적 안전의식이 진료과별로 유의하였으며, 전반적 안전의식은 환자접촉과 1주 근무시간에 따라 유의한 결과를 나타냈다. 셋째, 병동 및 병원 안전문화 인식 하부영역과 전반적 인식, 환자안전도 평가는 모두 정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의료사고 보고체계와는 직속상관/관리자의 태도와 병원경영진의 태도를 제외한 모든 영역에서 정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환자안전도 영향을 미치는 환자안전문화 하부영역은 조직학습, 의사소통의 개방성, 전반적 안전인식, 부서간의 협조체계, 피드백과 의사소통, 비처벌적 대응에서 유의한 결과를 나타냈다. 결론적으로, 의사들의 병동 및 병원 환자안전문화 수준을 높이고 의료사고보고체계를 충실하게 하기 위해서는 적절한 직원배치와 근무시간을 바탕으로 병동 내 조직적 학습을 통한 팀워크을 활성화 시키고, 부서간 팀원간의 개방적 의사소통과 사고에 대한 피드백을 제공하여 환자 안전에 대한 병원경영진의 적극적인 지원과 진료과별 협조체계 구축이 필요하다.

중소 벤처기업의 조직공정성과 공유가치, 직무만족이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 조직신뢰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Influence of Organizational Justice, Shared Values and Job Satisfaction on Innovative Behaviors in Small & Medium Venture Enterprises: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Organizational Trust)

  • 이종익;하규수
    • 벤처창업연구
    • /
    • 제13권2호
    • /
    • pp.51-61
    • /
    • 2018
  • 우리 사회가 성숙해지면서 사회적 자본으로서 신뢰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으며, 사회적 자본에 대한 연구가 시민사회와 국가경제 발전에 대한 사회학적 관심에서 출발하여 기업의 역량강화에 대한 관심으로 확산되고 있다. 특히 중소벤처기업의 경우 최소인원으로 핵심기능만을 조직화한 창업이 늘어나고, 핵심기능에 집중하는 부문별 Partner의 책임경영 체제가 강조되면서 기업의 가치창조를 결정하는 변인과 과정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다. 본 연구는 중소벤처기업의 가치창조와 장기적 생존을 위하여 필수적인 구성원의 협력과 조직의 혁신행동을 달성하기 위한 변인과 과정을 알아보기 위하여 실증적 연구를 시도하였다. 기업조직의 수준에서 Nahapiet & Ghoshal이 제안한 사회적 자본의 3가지 차원 즉, 구조적 차원, 인지적 차원, 관계적 차원의 변수로서 조직공정성, 공유가치, 조직신뢰를 선택하고 기업성과의 선행변수인 직무만족을 거쳐 기업성과의 대용변수인 혁신행동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을 수립하여 검정하였다. 기업의 조직구성과 운영은 사회적 계약관계이므로 조직공정성과 공유가치가 직무만족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고, 직무만족이 혁신행동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며, 조직신뢰는 직무만족과 혁신행동 사이의 관계에 매개효과를 갖는 인지적 과정과 조직적 맥락을 분석하였다. 구체적으로 직무만족이 혁신행동에 미치는 직접적 효과(69%)에 비하여 조직신뢰가 혁신행동에 미치는 간접적 효과(31%)가 작지 않게 나타났으며 상대적으로 중요한 변수로 관찰되었다. 구성원 30인 이하의 중소벤처기업의 경우에는 직접효과(36%)보다 오히려 간접효과(64%)가 더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구성원의 직무만족을 높이기 위한 노력과 함께 조직신뢰를 최우선적으로 확보하여야 한다는 점을 보여준 것이다. 본 연구의 의의는 구성원 30인 이하의 중소벤처기업의 경우 조직신뢰가 조직공정성, 공유가치, 직무만족보다 더욱 큰 영향력을 갖는 변수라는 점을 실증적으로 확인하였다는 점에 있다. 추가적으로 혁신과 생존을 위하여 조직신뢰를 포함한 사회적 자본의 제반요소를 강화하기 위한 실행방안을 논의하였다.

기업가정신이 조직혁신역량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전략적 지향성의 조절효과- (A Study on the Effect of Entrepreneurship on Organizational Innovation Capacity - Moderating effect of Strategic directivity -)

  • 이선규;송찬섭;배정미;류일환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0권11호
    • /
    • pp.387-399
    • /
    • 2019
  • 본 연구는 구성원이 인식하는 기업가정신과 조직혁신역량(전략계획역량, 연구개발역량, 기술사업화역량)의 관계와 전략적 지향성(고객 지향성, 기술 지향성)의 조절효과를 실증분석하고, 그 효과를 확인함으로써, 조직차원에서 기업가정신과 혁신역량의 관계를 다루었다. 먼저 문헌연구를 바탕으로 연구모형 및 가설을 설정하였고, 경북의 제조업 종사자를 대상으로 400부의 설문지를 배포 회수하여 실증분석을 시행하였다. 연구결과, 기업가정신은 조직혁신역량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전략적 지향성의 유의한 조절효과를 확인하였다. 하지만 기업가정신과 기술 사업화의 관계에서 고객 지향성의 조절효과는 기각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조직 차원에서 구성원이 인식하는 기업가 정신과 전략적 지향성의 효과를 파악함으로써 문화적 측면에서 조직 관리에 대한 가이드라인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병원 간호사가 지각하는 환자안전문화와 안전간호활동과의 관계 (Relationship between Hospital Nurses' Perceived Patient Safety Culture and Their Safety Care Activities)

  • 최정화;이경미;이미애
    • 기본간호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64-72
    • /
    • 2010
  • Purpose: This study was performed to measure hospital nurses' perceived patient safety culture and their safety care activities, an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se two factors. Method: This study was a cross-sectional survey. The participants were 301 nurses working at 4 general hospitals, and data collection was done from June 22 to June 30, 2009 by self-administrated questionnaires. Results: With a possible score of 5 points, the average score for nurses' perceived patient safety culture was 3.34, and for their safety care activities, 4.25. There were perceived differences in patient safety culture and safety care activities according to age, position, length of work experience and number of patient safety education sessions attended. All sub-factors in patient safety culture had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safety care activities. Factors influencing nurses' safety care activities were number of patient safety education sessions attended, hospital environment, and supervisor/manager. These factors explained 58.2% of the variance. Conclusion: The findings indicate that patient safety education is very important to improve nurses' safety care activity. So nursing supervisors/ managers should develop strategies encourage patient safety education, and make nurses' working environment saf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