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tudent-centered instruction

검색결과 75건 처리시간 0.027초

블렌디드 러닝을 위한 자동차 엔진 조립 증강현실 시뮬레이션 개발 (Development of Automotive Engine Assembly Augmented Reality Simulation for Blended Learning)

  • 강민식
    • 산업융합연구
    • /
    • 제18권1호
    • /
    • pp.17-23
    • /
    • 2020
  • 본 연구는 블렌디드 러닝을 위한 자동차 엔진 부품 조립에 대한 증강현실 콘텐츠 개발을 하고 설문을 통해 교육 효과의 유용성을 확인하였다. 자동차 엔진 조립에 대한 커리큘럼을 설계하고, 각 커리큘럼에 따라 조립해야 할 부품의 모양, 위치, 조립 순서 등을 증강현실 콘텐츠로 개발하였다. 개발된 증강현실 시뮬레이션 콘텐츠는 학습자 중심의 협력 활동과 결합하여 학생들이 능동적으로 학습할 수 있도록 하였고, 교사는 촉진자 역할을 수행하도록 설계하였다. 본 콘텐츠와 전통적인 학습을 한 학생들과 비교 실험하여 약 2배의 학습 시간이 절감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학생들의 문제해결, 프로세스 기술, 시스템 기술 및 인지 능력 등이 강화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문제 만들기를 적용한 문제해결수업이 수학적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An Effect of Problem-solving Lessons with Problem-posing on Mathematical Creativity)

  • 김서린;김동화;서혜애
    • East Asian mathematical journal
    • /
    • 제33권4호
    • /
    • pp.381-411
    • /
    • 2017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how students' mathematical creativity changes through problem-solving instruction using problem-posing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to explore instructional methods to improve students' mathematical creativity in school curriculum. In this study, nonequivalent control group design was adopted, and the followings are main results. First, problem-solving lessons with problem-posing had a significant effect on students' mathematical creativity, and all three factors of mathematical creativity(fluency, flexibility, originality) were also significant. Second, the lessons showed meaningful results for all upper, middle, and lower groups of pupils according to the level of mathematical creativity. When analyzing the effects of sub-factors of mathematical creativity, there was no significant effect on fluency in the upper and middle groups. Based on the results, we suggest followings: First, there is a need for a systematic guidance plan that combines problem-solving and problem-posing, Second, a long-term lesson plan to help students cultivate novel mathematical problem-solving ability through insights. Third, research on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that can improve mathematical creativity even for students with relatively high mathematical creativity is necessary. Lastly, various student-centered activities in math classes are important to enhance creativity.

Exploring the Effectiveness of Smart Education in a College Writing Course Utilizing Multimedia Learning Tools

  • Si-Yeon Pyo
    • 실천공학교육논문지
    • /
    • 제16권2호
    • /
    • pp.143-150
    • /
    • 2024
  • With the development of AI, multimedia tools in education offer personalized learning environments, which foster individual competencies.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effectiveness of smart education as perceived by learners through a case study of university writing classes utilizing multimedia learning tools, and to explore potential applications. To achieve this, a writing course incorporating various multimedia tools to promote interaction was designed and implemented over the course of one semester, targeting 42 university students. Through the semester, student reactions and survey results were analyz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and satisfaction levels regarding the use of multimedia learning tools in writing instruction as perceived by students. The analysis revealed that multimedia-assisted writing classes effectively fostered learners' autonomy by focusing on individual needs, while also promoting interaction and encouraging spontaneous participation. Students reported recognizing the presence of diverse perspectives by comparing and communicating about each other's writing, leading to an expansion of their own thinking. In using ChatGPT, it was found that students attempted to refine their questions until they obtained the desired answers. They reported that this process deepened their understanding of the essence of the questions. These benefits led to results of high levels of students' active class engagement and satisfaction. This study contributes foundational and empirical data regarding the effectiveness and potential applications of learner-centered smart education as part of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integration research.

온-오프라인 혼합 학습환경에서 중등과학교사의 학습환경 특이적인 PCK 요소 및 하위요소 (Secondary Science Teachers' PCK Components and Subcomponents Specific to the Learning Environment in an Online-offline Mixed Learning Environment)

  • 김지수;최애란
    • 대한화학회지
    • /
    • 제66권6호
    • /
    • pp.472-492
    • /
    • 2022
  • 본 연구는 온-오프라인 혼합 학습환경에서 중등과학교사의 학습환경 특이적인 PCK 요소 및 하위요소 탐색을 목적으로 하였다. 중등과학교사 12명을 대상으로 설문, 개별 면담, 수업 관찰 자료를 수집하여 PCK 이론적 틀을 기반으로 연역적으로 분석하고 다시 귀납적 분석을 통해 그 범주를 정교화하였다. 온-오프라인 혼합 학습환경에서 본 연구 교사들의 PCK는 요소별로 학습환경 특이성이 다르고 학습환경 특이성에 따라 PCK 요소별 하위요소가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온라인 학습환경 특이적인 과학 교수 지향으로 '과학 개념 학습' 목표 지향과 '강의식 수업'의 과학 교수-학습 지향이 있었다. 온-오프라인 혼합 학습환경 특이적인 교육과정에 관한 지식에는 '교육과정 재구성'이 있었으며, 온라인 학습환경 특이적인 교육과정에 관한 지식에는 '학습 목표 선정', '교육과정 자료'가 있었다. 온라인 학습환경 특이적인 과학 교수전략에 관한 지식에는 '과학 주제 특이적 전략', '과학 교과 특이적 전략', '상호작용 전략'이 있었다. 코로나 19 이후 오프라인 학습환경 특이적인 과학 교수전략에 관한 지식에는 '과학 주제 특이적 전략', '상호작용 전략'이 있었다. 온라인 학습환경 특이적인 학생의 과학 학습에 관한 지식에는 '학습을 위한 선지식', '학습 어려움', '학습 동기 및 흥미', '학습 다양성'이 있었으며, 코로나 19 이후 오프라인 학습환경 특이적인 학생의 과학 학습에 관한 지식에는 '학습 어려움'만 있었다. 과학 학습 평가에 관한 지식은 온-오프라인 혼합 학습환경 특이적인 지식과 온라인 학습환경 특이적인 지식이 있었으며, 각각 '평가 내용'과 '평가 방법'이 있었다.

과학영재학교 수학 수업모형 개발 (Development of Mathematics Class Model in Gifted Science Academy)

  • 오택근
    • 영재교육연구
    • /
    • 제24권4호
    • /
    • pp.657-677
    • /
    • 2014
  • 영재교육의 양적인 확장과 함께 과학영재학교의 증가를 고려할 때, 고등학생 영재를 대상으로 하는 적절한 수학 수업 방법을 모색하는 것은 중요한 문제이다. 특히 수학적 창의성을 중요한 교육 목표로 제시하는 현재의 수학 교육의 흐름에 비추어 볼 때, 과학영재학교의 수학 수업에서 교사 위주의 지식 전달 방식의 수업이 아닌 학생 중심의 토론식 수업이 필요한 시점이다. 본 연구에서는 과학영재학교의 정규 수학 수업에서 적용할 수 있는 예습 기반 토론 수업모형을 설계하고 적용하였다. 연구에 참여한 학생들은 토론을 위한 예습 활동에 많은 부담을 가지면서도 토론 활동이 기존의 강의식 수업보다 수학적으로 의미 있는 경험이었다고 평가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로부터 예습 기반 토론 수업모형이 과학영재학교 정규 수학 수업에서 의미있게 적용될 수 있다는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예비 교사의 수학 수업에서 테크놀로지 사용에 관한 경험과 신념이 그들의 테크놀로지 관련 지식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Preservice Teachers' Experience and Beliefs Related to Technology Use in Mathematics Class on Their Technology-related Knowledge)

  • 김소민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19권4호
    • /
    • pp.459-478
    • /
    • 2016
  • 교육에서의 테크놀로지 사용으로 인한 혜택과 이에 대한 관심이 커지면서, 테크놀로지를 통합한 수학 수업에서 교사의 역할이 더욱 중요해졌다. 따라서 예비 교사의 기술적 교육학적 내용 지식 (Technological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TPACK)을 발전시키는 것이 중요하며, 이는 그들의 신념에 영향을 받는다. 본 연구에서는 예비 고등 수학 교사들의 수학수업에서의 테크놀로지 사용에 관한 경험과 신념이 그들의 TPACK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조사 하였다. 연구 결과, 테크놀로지 사용 경험이 많고 학생 중심적 테크놀로지 사용에 관한 신념을 가진 예비 교사들이, 경험이 적고 교사 중심의 신념을 가진 예비 교사들 보다 테크놀로지에 관한 지식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예비 교사들의 TPACK과 신념의 관계에 대한 이해는 예비 교사들이 TPACK을 발전 시키고 테크놀로지 통합 수업을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교사 교육 프로그램이 어떻게 지원 해야 할 것인지에 관한 통찰을 제공한다.

간호기록지를 통해서 본 간호과정 적용효과에 관한 연구(간호전문대학을 중심으로) (A Study on Effects of Application of Nursing Process by Nursing Profess notes.(School of nursing))

  • 최상순;조희숙;백승남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55-68
    • /
    • 1981
  • The prime object of the study is to evaluate how much all the students of the Nursing Schools throughout the nation are in comprehension toward the application of nursing process to clinical experience as means of systematic solution of nursing problems. An effort has been made to find out the actual state whether they are in practice of clinical experience in accordance with application of nursing process, over the period of four weeks managing from December 1st to 28th, 1980 and centering on 36 nursing schools, and meanwhile and evaluation, employing the assessment tool used by Bertuccietal, has been made on the nursing process notes recorded by 200 senions out of 21 nursing schools where application of nursing process to clinical experience being in practice. The assessment tool is composed of 5 different criteria in view of patient nursing and authors made an attempt to find out the result of clinical experience on application students in accordance with 5 different scoring criteria and further evaluating all the findings thereof. The findings were disposed of accordance with practice duration and criteria of the specific sudents subject to this finding as to verify the scoring difference in significance and of which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as of now, in 21 (58.2%) out of 36 nursing Schools nursing process in being appliced in clinical experience. 2) Schools that started the application of nursing process to clinical experience amount to - for more than 4 yrs -6 (28.6%) - for 2 to 3 yrs-11s(52.4%) - for 1 yr -4 (19.0%) 3) As for the response upon application of nursing process. To clinical etperience, the largest voice (61.9%) heard was that it is rather difficult beyond the lecturing thereof, to practically apply it outs patients and the second voice (19.1%) turned out to be that it is hard to put in practice owing to uninformed nurses of the process serving in the clinical field. 4) The response. Of the processors assigned to instruction as to the most difficult problem in criteria of nursing process, the largest voice (38.2%) centered on the problem assessment while the second voice (17.7%) on the indirect nursing activity and the objective data respectively and considered to be the easiest was the indirect nursing activity (11.7%). 5) In order for a satisfactory. application of nursing process to clinical experience hence-forth, it has been pointed out that sufficient number of nurses should be supplemented in clinical field (44.1%) and at the same time supplementory education (35.3%) centered around professors be necessary. 6) Of the criteria that record result of nursing proces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comprehension of subjective and objective data has been revealed according to the degree of the practice duration of application to clinical experience. For instance, while although poor it may seen, only 74.9% in subjective data and 71.1% in objective data represent the student group in practice for more than 4 years and only 56.3% in subjective data and 66.8% in objective data represent the student group in practice for 2 to 3 years but they still surpass in comprehension over the student group in practice for 1 year attaning only 19.6% in subjective data and 16.8% in objective data (P < 0.005). 7) As for problem assessment, the student group who started application of nursing process for 4 years stand for 37,7% the group for 2 to 3 years started for 25.3% and the group for 1 year started for 5.4%, revealing no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duration (P < 0.5) and as poor as to indicate only 22.8% on an overage is in comprehension. 8) On direct and indirect nursing activity, the student group of for more than 4 years in appling nursing process (representing 49.5% in direct nursing activity, 21.4% in indirect nursing activity). Know more about it than the student group of for 2 to 3 years (representing 36.3% in direct nursing activity, 20.8% in indirect nursing activity) but revealed no significant difference. (P < 0.5) 9) The student group applying nursing process for more than 4 years subjective data (74.9%) comprehend were more than objective data (71.1%) but shown no significant difference (P < 0.5). 10) However, the student group applying nursing process for 2 to 3 years comprehend objective data (66.8%) well ever subjective data (55.5%) indicating that 40.9% in average is in comprehension, thereby revealing a significant difference (P < 0.005). 11) On the other hand, the student group applying nursing process to clinical experience for 1 year had revealed themselves as poorly as to comprehend only 11.7% are an average of it, revealing no significant difference (P < 0.5). In consequence of the fore going, I the conductor of the present study, hereby suggest the following points: 1) Application of nursing process to clinical experience be practiced in all the Nursing Schools all over the nation at the earliest possible date in order that scientific nursing be prevailed (as of now only 58.0%), 2) In teaching nursing process, it is desirable to teach specific method of applying to practical clinical situations. 3) In order to meet the end of satisfactory application of nursing process to clinical experience, sufgecient nursing man power be sysplemented in clinical field and at the save time supplementary education by professors is necessary. 4) Sinces the students whose application duration of nursing process to clinical experience is longer comprehend more about it, it is reguired that the schools not yet in practice of the application be promptlyurged to follow. 5) Of the criteria recording nursing process, since it is comparatively hard to comprehend“assessment”and“Direct and indirect nursing activity”, a concentrated instruction is desirable. 6) The students whose duration of application of nursing process to clinical experience falls short of 1 years be put in a concentrated guidance program on individual criterion.

  • PDF

학습자 중심 수업 운영의 관점에서 초중등 교사와 학생이 본 현행 과학 교과서의 문제점 분석 (Analysis of problems of current science textbooks perceived by teachers and students in view of learner-centered classroom)

  • 윤은정;권성기;박윤배
    • 과학교육연구지
    • /
    • 제39권3호
    • /
    • pp.404-417
    • /
    • 2015
  • 교육의 효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학생들이 수업에 능동적으로 참여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연구는 과학 수업 시간에 학습자의 수업 참여도에 영향을 미치는 주된 요인 가운데 하나로 교과서를 꼽고, 현행 과학 교과서가 학생들의 수업 참여를 촉진시키기 위한 도구로서 어떠한 문제점이 있는지 파악한 뒤 개선 방안을 모색하고자 실시되었다. 학습자 중심 수업 운영을 위해 과학 교과서가 갖추어야 할 요건과 현재 과학 교과서가 가진 문제점을 알아보기 위한 설문지를 제작하고 초, 중학교 과학교사 99명과 학생 821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 결과 학생들은 현재 과학 교과서의 문제점으로 설명이 부족하고, 어려운 단어가 많으며, 문장이 복잡하여 이해하기 어렵고, 재미가 없다 등을 꼽았고, 과학 교사들은 학습 분량이 많고, 지식중심으로 기술되어 있으며, 실생활 연계가 부족하고, 스토리가 없는 등의 문제점을 꼽았다. 결론적으로 학습자 참여를 활성화하기 위해서 과학 교과서가 개선되어야 할 점으로 일상생활과의 연계를 강화하고, 학생 활동을 늘이며, 학생들의 수준에 맞는 단어나 문장을 구사하고, 스토리를 강화하고, 학생들이 자신들의 이해 정도를 확인할 수 있는 기회를 충분히 제공할 것을 제안하였다.

  • PDF

van Hiele의 학습단계에 따른 초등학교 4학년의 도형지도 방안연구 (A Study on Teaching Figures Based on van Hiele's Theory - Focused on the 4th Graders -)

  • 서은영;장혜원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C:초등수학교육
    • /
    • 제13권2호
    • /
    • pp.85-97
    • /
    • 2010
  • 학생들은 학교수학에서 중요한 위상을 차지하는 도형과 관련하여 다양한 사고를 하게 되며 학생들의 사고 수준의 파악은 교수-학습 효과로 직결되기 때문에 도형 지도와 관련하여 van Hiele의 기하 사고수준 이론은 중요하게 다루어진다. 기하 사고 수준의 도약적 특성 때문에 서로의 의사소통 불가능성까지 감안해야 한다는 시사점을 고려하면 지도하고자 하는 학생의 기하 사고 수준을 파악하는 것은 필수적이며, 뿐만 아니라 그들의 사고 수준 향상을 위해서 어떠한 지도 내용 및 방법을 구현해야 하는가도 핵심적인 기하 영역의 교육문제이다. 본 연구에서는 경남 통영의 한 초등학교 4학년 학생 10명을 대상으로 그들의 기하 사고 수준을 고려한 도형 단원의 교수-학습 지도안을 작성하여 적용함으로써 사고 수준의 변화를 관찰하고 수업을 분석한 결과, 학생들의 사고 특성 및 교수학적 시사점을 도출할 수 있었다.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에 따른 고등학교 생명과학II 교과서의 탐구활동 유형 분석 (Analysis of Inquiry Activity Types in the High School Life Science II Textbooks according to the 2015 Revised Science Curriculum)

  • 정수연;장정호
    • 과학교육연구지
    • /
    • 제43권1호
    • /
    • pp.43-63
    • /
    • 2019
  •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의 생명과학II 교과서에 수록된 탐구활동 유형을 추출하여 6개의 대단원과 5종의 출판사별로 비교 분석하였다. 탐구활동 유형 중 조사 토의 및 발표(IP)의 수가 많이 늘어난 것과 표현하기(EX)가 각 단원마다 수록되어 있다는 것은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지향하는 교실 수업을 학생중심활동으로 전환하기에 충분한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실험 관찰, 모의 활동, 조사 토의 및 발표 등의 학생중심 활동 영역의 탐구활동 유형이 2009 개정 교육과정의 약 27% 정도를 차지한 것보다 증가한 약 41% 정도를 차지하였다. 그러나 여전히 자료 해석 유형이 가장 많기 때문에 앞으로 교과서 개발이 필요할 때 학생들의 창의성과 사고력을 신장시키기 위해서 자료 해석의 유형을 줄이고 모의 활동이나 표현하기의 유형이 더 늘어나도록 해야 할 것이다. 교사들은 생명공학 기술의 발전뿐만 아니라 교과서마다 각기 다른 다양한 과학 소재를 재구성한 후 학생들에게 활용하여 균형 잡힌 사고를 유도하고, 표현력, 창의력, 논리력, 비판적 사고력을 신장시키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