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tructural integrity

검색결과 1,230건 처리시간 0.031초

원통형 복합재 격자구조체의 구조안전성 평가 기법 연구 (Study on Evaluation Method of Structural Integrity of Cylindrical Composite Lattice Structures)

  • 임재문;강승구;신광복;이상우
    • Composites Research
    • /
    • 제30권6호
    • /
    • pp.338-342
    • /
    • 2017
  • 본 논문에서는 원통형 복합재 격자구조체의 구조안전성 평가 기법에 대해 연구를 수행하였다. 구조안전성 평가는 유한요소해석을 통해 수행하였다. 구조안전성 평가를 위한 최적의 유한요소를 확인하기 위해 원통형 복합재 격자구조체 유한요소모델은 빔, 쉘 그리고 솔리드 요소를 사용해 생성하였다. 쉘과 솔리드 모델의 유한요소 해석결과는 서로 유사하게 발생되었다. 그러나 빔 모델의 경우, 쉘과 솔리드 모델의 결과와 큰 차이가 발생하였다. 이것은 빔 요소가 원통형 복합재 격자구조체 섬유 비교차부의 기계적 물성저하를 고려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원통형 복합재 격자구조체의 구조안전성 평가를 위한 유한요소해석은 쉘 또는 솔리드 요소를 사용해야 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LNG 연료 선박용 FGSS의 고압 기화기와 출입구 배관에 대한 구조 건전성 평가 (Evaluation of structural integrity of the HP vaporizer and pipes of LNG fuel gas supply system)

  • 김창수;윤주환;이창준;하만영;조종래
    • Journal of Advanced Marine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40권9호
    • /
    • pp.780-785
    • /
    • 2016
  • 선박의 연료로 이용되는 중유는 지구 온난화를 일으키는 유해가스를 배출한다. 이를 저감하기 위해 친환경선박으로 표현되고 있는 녹색선박이 등장하게 되었고, 천연가스를 연료로 하는 액화천연가스(LNG) 연료 선박이 대표적인 사례이다. 본 논문에서는 LNG 선박에 사용되는 극저온 환경에서 고압 하중을 받는 기화기와 출입구 배관의 구조 건전성을 ASME 코드에 따라 평가하고 실용화한 최초의 사례이다. 기화기와 배관은 유한요소법을 사용하여 구조해석을 수행하였다. 기화기는 등가응력을 바탕으로 ASME Section VIII Division 2에 제시된 허용응력과 비교하여 건전성 평가를 수행하였고, 배관은 성분별 응력을 조합하여 ASME B31.3에 제시된 허용응력과 비교 및 건전성 평가를 수행하였다. 각 하중에 대한 구조물들의 응력 결과는 허용응력 범위 이내에 있으므로 구조적 건전성을 유지하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Development of Structural Analysis Modeling for KALIMER Fuel Rod

  • Kang, Hee-Young;Cheol Nam;Woan Hwang
    • 한국원자력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원자력학회 1998년도 춘계학술발표회논문집(2)
    • /
    • pp.175-180
    • /
    • 1998
  • The U-Zr metallic alloy with low swelling HT9 cladding is the candidate for the KALIMER fuel rod. The fuel rod should be able to maintain the structural integrity during its lifetime in the reactor. In a typical metallic fuel rod, load is mainly applied by internal gas pressure, and the deformation is primarily caused by creep of the cladding. The three-dimensional FEM modelling of a fuel rod is important to predict the structural behavior in concept design stage. Using the ANSYS code, the 3-D structure analyses were performed for various configuration, element and loads. It has been shown that the present analysis model properly evaluate the structural integrity of fuel rod. The present analysis results show that the fuel rod is expected to maintain its structural integrity during normal operation.

  • PDF

철도차량 추진제어장치 성능시험을 위한 관성부하 시험설비의 구조안전성 및 동특성 평가 연구 (A study on structural integrity and dynamic characteristic of inertial load test equipment for performance test of railway vehicle propulsion control system)

  • 장형진;신광복;이상훈;이대봉
    • 한국철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철도학회 2010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1389-1394
    • /
    • 2010
  • This paper describes the evaluation of structural integrity and dynamic characteristic of inertial load test equipments for performance test of railway vehicle propulsion control system. The propulsion control system of railway vehicle has to be confirmed of safety and reliability prior to it's application. Therefore, inertial load test equipments were designed through theoretical equation for performance test of propulsion control system. The structural analysis of inertial load test equipments was conducted using Ansys v11.0 and it's dynamic characteristic was evaluated the designed using Adam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structural integrity of inertial load test equipment was satisfied with a safety factor of 10.2. Also, the structural stability was proved by maximum dynamic displacement of 0.82mm.

  • PDF

THE EFFECT OF POSTULATED FLAWS ON THE STRUCTURAL INTEGRITY OF RPV DURING PTS

  • Jhung, Myung-Jo;Choi, Young-Hwan;Chang, Yoon-Suk;Kim, Jong-Wook
    • Nuclear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39권5호
    • /
    • pp.647-654
    • /
    • 2007
  • Postulation of flaws, one of the most important areas in RPV integrity assessment, significantly affects the results. In the present work, several parameters, such as orientation, underclad vs. surface cracking, crack depth and shape, etc., are postulated and parametric studies are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the flaw parameters on the structural integrity assessment of the reactor pressure vessel during pressurized thermal shock. The influence of individual parameters describing the crack is evaluated based on sensitivity study results.

복합구조 해양라이저의 구조건전성 모니터링 (Structural Integrity Monitoring of the Marine Riser with Composite Structure)

  • 유용;제현민;박수용;최상현
    • 복합신소재구조학회 논문집
    • /
    • 제5권4호
    • /
    • pp.44-51
    • /
    • 2014
  • As the world energy consumption grows, the interest in marin energy resources is increasing. In excavating such resources, the marine riser which connects the floating structure and sea bed is an essential device. The riser system is often exposed to harsh ocean environment and thus vulnerable to damage. Since the failure of the riser system may cause serious economical loss as well as environmental problem, the structural integrity of the riser is very important. Generally, the riser is an extremely slender structure with a much smaller diameter than a length. Therefore, a structural integrity monitoring methodology for typical buildings and bridges may not be applicable. In this paper, the applicability of a damage identification method for a structure to a marine riser is examined via a numerical example. Also, recent research practices and findings for monitoring the behavior and the structural integrity of the marine riser are examined and summarized.

구조시험 및 유한요소해석을 통한 소형풍력발전용 복합재 블레이드의 구조 안전성 평가 (Structural Integrity of Small Wind Turbine Composite Blade Using Structural Test and Finite Element Analysis)

  • 장윤정;이장호;강기원
    • 대한기계학회논문집A
    • /
    • 제36권9호
    • /
    • pp.1087-1094
    • /
    • 2012
  • 본 논문에서는 구조 시험과 유한요소해석을 통하여 소형 풍력발전용 복합재 블레이드의 구조적 안전성을 평가하였다. 먼저, 선행연구에서 공력해석을 수행하여 정격 및 극한 풍속일 때의 블레이드가 받는 굽힘 모멘트를 산출하였다. 이를 이용하여 소형풍력발전기 관련 국제 규격인 IEC 61400-2에 따른 실규모 구조 시험을 수행하여 구조적 안전성을 평가하였다. 그리고 유한요소법을 이용한 구조 해석을 수행하여 구조 시험 결과와 비교하여 이의 정확성을 판단하였다. 또한, 구조 시험을 통해 블레이드에 대한 과잉 설계가 확인되었으며 이의 해결을 위하여 블레이드의 적층 순서 및 두께를 재선정하여 구조적 안전성을 평가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