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tress Resilience

검색결과 384건 처리시간 0.025초

Mediating Effects of Resilienc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martphone Addiction and Anger Coping Strategies - Focusing on the comparison of students of general high schools and special purpose high schools -

  • Kim, Youn-Hwa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3권2호
    • /
    • pp.83-91
    • /
    • 2018
  • In this paper, we verify the mediating effects of resilienc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martphone addition and anger coping strategies, focusing on 299 high school students, and examine the effect of variables on students of general high schools and special purpose high schools. We found that smartphone addiction affects students' resilience and the resilience affects their anger-out and anger-in. It is also found that resilience has mediating effect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tudents' smartphone addiction and anger coping strategies. As for students of general high schools, their smartphone addiction has positive effects on anger-out and anger-in while that of students of special purpose high schools affects their resilience, and the resilience affect their anger-out and anger-in. The results suggest that a high-level of smartphone addiction tends to reduce resilience, which lowers anger moderation, and stress the need of intervention by school type. Finally, this paper discusses implications based on its results and importance of further studies.

중환자실 간호사의 외상성 사건 경험과 이직 의도의 관계에서 회복탄력성의 조절 효과 (The moderating effect of resilien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raumatic event experience and turnover intention of nurses in intensive care units)

  • 정다운;김숙영
    •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447-455
    • /
    • 2021
  • Purpose: The present study utilizes a descriptive research design to investigate the moderating effect of resilienc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xperience of traumatic events and turnover intention among intensive care unit (ICU) nurses. Methods: The participants were 161 hospital nurses who voluntarily agreed to participate in this study. Traumatic event experience, turnover intention, and resilience were assessed. The data were analyzed with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using the SPSS 26.0 software program. Results: The experience of traumatic events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turnover intention (r=.17, p=.037), whereas it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ith turnover intention and resilience (r=-.37, p<.001). Resilience had a moder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xperience of traumatic events and turnover intention (𝛽=-.20, p=.007).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found that the experience of traumatic events among ICU nurses was a significant factor in turnover intention and that resilience moderated the strength of the relationship between such experiences and turnover intention. Therefore, to prevent ICU nurses' experience of a traumatic event from leading to their leaving nursing, it is necessary to formulate preventive measures and interventions for traumatic events, while enhancing resilience among ICU nurses.

농업환경 분야에서의 토양 리질리언스와 그 위협 요인 (Soil Resilience and Threat Factors Related to Agricultural Environment)

  • 김민석;민현기;현승훈;김정규
    • Ecology and Resilient Infrastructure
    • /
    • 제7권1호
    • /
    • pp.26-42
    • /
    • 2020
  • 토양은 식물들이 뿌리 내려 생태계를 조성할 수 있게 하는 근간이자 인류의 삶의 터전으로, 그 생성에 많은 시간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토양의 보존과 관리가 중요하다. 토양 리질리언스는 다양한 종류의 교란으로부터 토양이 본래의 구조와 기능을 유지하는 능력으로, 불확실성과 예측불가능성이 높은 미래에 대비할 수 있는 연구 분야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국내에서 아직 널리 알려지지 않은 토양 리질리언스의 개념과 필요성, 그리고 기존에 수행된 국외 연구 내용들을 정리함으로써, 토양리질리언스를 처음 접하는 국내·외 연구자들에게 리질리어스 연구의 진입 문턱 (threshold)을 낮추는데 기여할 것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본 연구 전반부에는 리질리언스와 토양 리질리언스에 대해 소개하였으며, 후반부에는 많은 토양 리질리언스 선행연구들이 관심을 가진 주요 스트레스 원인을 자연적 요인과 인위적 요인으로 구분하여 정리하였다. 지구상에는 모암, 기후, 인간의 활동, 문화가 모두 동일한 지역은 없기 때문에 각 토양마다 고유의 특수성을 갖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 활용하고자 하는 연구자는 토양 리질리언스를 도입하고자 하는 지역의 특수성을 고려하여 활용해야 할 것이다. 또한 토양 리질리언스 연구자들의 네트워크를 강화하여 연구결과를 공유하고 적극 활용할 수 있는 기반을 만드는 데 노력해야 할 것이다.

대학생의 스트레스와 회복탄력성이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a Smartphone Addition on Stress and Resilience in University Students)

  • 김혜자;심미정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4권1호
    • /
    • pp.41-50
    • /
    • 2018
  • 본 연구는 대학생의 스마트폰 중독과 스트레스, 회복탄력성과의 관계를 확인하고,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연구대상자는 전라남도 소재 4년제 대학생 241명이다. 자료수집은 2017년 7월 6일부터 8월 31일까지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대상자의 스마트폰 중독과 스트레스(r=.37, P<.001)는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회복탄력성(r=.-25, p<.001)과는 음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대상자의 스트레스 중 당면과제(r=.40, p<.001)와 대인관계(r=.25, p<.001)는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회복탄력성 중 자기조절능력(r=-.32, p<.001)과 대인관계능력(r=-.21, p=.001)은 음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스마트폰 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학업문제(${\beta}=.15$, p=.047)와 자기조절능력(${\beta}=-.21$, p=.007)으로 총 설명력($R^2$)은 22.1%였다. 따라서 대학생의 스마트폰 중독을 예방하고 관리하기 위한 체계적인 교과외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COVID-19 감염병전담병원 간호사의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요인 (Factors Influencing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Nurses at an Infectious Disease Hospital of COVID-19)

  • 문수희;김민혜;김두영;류윤지;이수정;장진녕;정미열;조윤주;최효정
    • 중환자간호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39-49
    • /
    • 2022
  • Purpose : This study investigated coronavirus disease-19 (COVID-19) related stress, resilience,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determined the factors influencing nurses' organizational commitment at an infectious disease hospital of COVID-19. Methods : A cross-sectional descriptive survey was conducted with 138 nurses. Data analysis, including descriptive statistics, independent t-tests, one-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using SPSS 26.0 program. Results : Factors influencing organizational commitment included resilience (𝛽=0.31, p<.001), position (𝛽=0.31, p<.001), COVID-19 related stress (𝛽=-0.26, p<.001), and COVID-19 nursing period (𝛽=-0.19, p=.012). These variables explained 29.6% of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Conclusion : In order to enhance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nurses in infectious disease hospitals of COVID-19, active program development and intervention are required at the organizational level to improve nurses' resilience and relieve stress related to nursing infectious disease patients..

상담전문가의 직무스트레스 및 극복력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job stress and resilience of counselors on psychological well-being)

  • 김명숙;홍상욱
    • 산업진흥연구
    • /
    • 제7권4호
    • /
    • pp.33-43
    • /
    • 2022
  • 본 연구는 상담전문가의 직무스트레스 및 극복력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구글 설문지를 통해 전국의 상담관련 직종에서 근무하고 있는 상담전문가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총 250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자료분석을 위해 주요변인들 간의 기술통계분석과 상관분석을 실시하였고, 인과관계를 검증하기 위하여 IBM SPSS Statistics Version 24.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인구통계학적 변수(성별, 연령, 학력, 상담경력, 수퍼비젼 빈도)에서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요인은 나타나지 않았다. 직무스트레스 요인중에 상담자에 대한 사회적 기대가 상대적으로 큰 영향을 미쳤으며, 극복력 요인은 자신과 삶의 수용이 적극적일 때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상담전문가의 심리적 안녕감을 높이는 다양한 방안의 기초자료로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코로나-19 환자를 돌보는 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 자기 돌봄, 회복탄력성이 전문직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Job Stress, Self-Care, and Resilience on the Quality of Professional Life of Nurses Caring for Patients with COVID-19)

  • 장선희;김민영;차애경;이재정;장귀석;진영숙;이성주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10권4호
    • /
    • pp.551-561
    • /
    • 2024
  • 본 연구는 코로나-19 환자를 돌보는 간호사를 대상으로 전문직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2023년 4월 10일부터 2023년 4월 28일까지 G도에 소재한 3개의 코로나 지정병원에서 코로나-19 환자를 돌보는 간호사를 대상으로 145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SPSS 25.0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기술통계, t-test, one-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을 사용하였다. 코로나 19 환자를 돌보는 간호사의 전문직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한 결과 회복탄력성(β=.49, p<.001), 직무스트레스(β=-.36, p<.001)로 나타났으며, 모형에 대한 설명력은 53.7%이었다(F=32.20, p<.001). 본 연구결과 코로나 19 환자를 돌보는 간호사의 전문직 삶의 질을 향상하기 위해서는 직무스트레스를 줄이고, 회복탄력성 향상을 위한 구체적인 방안이 모색되어야 할 것이다.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 스트레스와 의사소통능력이 자아탄력성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Clinical practice stress and Communication skills on Ego-resilience of Nursing students)

  • 조은주;임경민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6호
    • /
    • pp.618-628
    • /
    • 2016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 스트레스와 의사소통 능력이 자아탄력성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대상자는 B시 2개 대학교의 임상실습 경험이 있는 4학년 학생 122명이며, 자료수집기간은 2015년 3월23일에서 3월30일까지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18.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t-test, ANOVA, Scheffe's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와 multiple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대상자의 임상실습 스트레스는 평균평점이 $3.40{\pm}0.62$으로 중간보다 높았고, 의사소통 능력은 평균평점이 $3.67{\pm}0.4$으로 중간보다 높았다. 자아탄력성은 평균평점이 $3.54{\pm}0.58$으로 중간보다 높았다. 대상자의 제 특성에 따른 자아탄력성 정도는 성별(t=2.732, p=.010), 전공만족도(F=8.226, p<.001), 실습동료관계(F=11.853, p<.001)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대상자의 임상실습 스트레스, 의사소통 능력, 자아탄력성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임상실습스트레스와 자아탄력성 간에는 미약한 음의 상관관계가 있었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r=-.168, p=.065). 의사소통 능력과 자아탄력성간에는 중간정도의 양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r=.593, p<.001). 자아탄력성을 설명하는 유의한 변수는 의사소통능력과 전공만족도, 실습동료관계, 성별순이었고, 전체 설명력은 38.9%이었다. 따라서 간호대학생의 자아탄력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의사소통 능력을 신장시키고, 전공만족도를 높이며, 실습동료와 좋은 관계를 구축할 수 있는 교과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병원간호사의 간호일터영성, 회복탄력성이 전문직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Nursing Workplace Spirituality and Resilience of Hospital Nurses on Professional Quality of Life)

  • 임정민;김종경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0권2호
    • /
    • pp.487-498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병원간호사의 간호일터영성, 회복탄력성이 전문직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이다. 연구 대상은 일 광역시 300병상 이상의 2개 종합병원에서 근무하는 간호사 20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수집은 2019년 3월 4일부터 3월 29일까지 진행되었고, 최종 197부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WIN 21.0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t-test, One-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Stepwise multiple regression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결과 간호일터영성의 평균 점수는 4.54, 회복탄력성은 3.34, 전문직 삶의 질의 하위영역인 공감만족은 3.20, 이차 외상성 스트레스는 2.66, 소진은 2.79점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 공감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간호일터영성, 회복탄력성으로 나타났으며 설명력은 47%이었다. 이차 외상성 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회복탄력성이었으며, 설명력은 13%이었다. 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회복탄력성, 간호일터영성, 직업만족도였고 설명력은 51%이었다. 결론적으로 간호사의 이차 외상성 스트레스와 소진을 완화하고 전문직 삶의 질 향상을 위하여 병원간호사의 회복탄력성 증진이 필요하다.

간호대학생의 스트레스와 학업열의가 극복력에 미치는 영향 (The Impacts of Stress and Academic Engagement on Resilience in Nursing Students)

  • 이상민;조호진;임민숙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2권2호
    • /
    • pp.390-399
    • /
    • 2022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스트레스와 학업열의 및 극복력의 정도와 그 관계를 확인하고, 스트레스와 학업열의가 극복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대상자는 G시 1개 대학 간호대학생 192명이었고, 자료수집기간은 2019년 12월 23일에서 26일까지이었다. 자료분석은 SPSS 22.0 program으로 기술통계, t-test, ANOVA, Sheffé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다중회귀분석으로 실시하였다. 간호대학생의 극복력은 제 특성에서 성별, 학년, 대인관계, 지원동기, 전공만족도, 학점평균 평점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극복력과 학업열의는 정상관관계, 스트레스와는 역상관관계로 나타났다. 다중회귀모형분석에서는 학업열의가 가장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고, 주관적 건강상태 중 나쁨, 여성, 3학년 순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모형의 설명력은 33.0%이었다. 결론적으로 간호대학생의 극복력을 강화시키기 위해 정기수업시간에서부터 내재적 동기부여를 통한 학습이 권장되는 지지적인 분위기 조성과 학업에 대한 긍정적인 생각과 성취감을 가질 수 있는 다양한 학업열의 향상 교육프로그램이 제공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학업열의를 향상시킬 수 있는 PBL 등 교수법 활용을 통하여 극복력을 강화하여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