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tory Telling

검색결과 170건 처리시간 0.024초

스토리텔링을 기반으로 한 애니메이션 스토리보드 제작에 관한 연구 (Research on the Animation Storyboard Production Based on Storytelling)

  • 김지수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6권3호
    • /
    • pp.154-162
    • /
    • 2006
  • 디지털과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발전하는 애니메이션 분야에서 스토리가 차지하는 비중은 점차적으로 확대되고 있다. 이는 애니메이션뿐만 아니라 여러 관련분야에서도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은 스토리를 기반으로 한 애니메이션 교육의 필요성과 가능성을 동시에 보여준다. 본 연구는 애니메이션 스토리보드 제작을 위해 필요한 스토리텔링의 기본적인 요소를 파악하기 위하여 여러 가지 요소에 대한 문헌자료의 연구를 수행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모든 내용을 구체적으로 시각화 시킨 최초의 단계로 모든 연출을 그대로 적용하는 애니메이션 스토리보드의 역할과 제작과정을 살펴보면서 애니메이션 스토리보드 제작의 최종 목표인 제작자의 의도와 작품의 깊이를 모색하고자 했다. 애니메이션을 제작하는 데 있어서 중요한 영상적인 요소들은 향후 과제로 남기고 다양한 형태의 시각적인 발전과 표현방법의 독창성을 동시에 발전시켜 미래의 중요한 커뮤니케이션 예술로서의 연구가 수행되어야 할 것이다.

  • PDF

이야기하기의 행동경제학 (The Behavior Economics in Storytelling)

  • 김경섭;김정래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5권4호
    • /
    • pp.329-337
    • /
    • 2019
  • 이야기 구연 현장에서 전달되는 이야기들은 세련되고 정제된 것들 보다는, 왜곡되고 변질된 채 전승되는 이야기들이 더 많다. 거기다가 구연자의 엉뚱한 해석까지를 텍스트 범주에 포함한다면 문제는 더 복잡해진다. 구연 설화의 경우에는 이야기를 연행하는 구연자의 세계관과 이야기 내용이 불일치하는 경우가 흔히 발생하게 되는데, 이 글은 그 동안 우리가 설화를 읽으면서 지나치고 말았던 부분들을 행동경제학적 관점에서 점검함으로써 설화 읽기 내지는 해석에 새로운 관점을 제기한다. 모든 인간의 합리성이란 제한된 합리성일 수밖에 없다. 제한된 합리성으로 인해 인간은 최선의 선택을 하지 못하고 자신이 충분하다고 생각하는 만족할 만한 수준에서 사고를 멈추고 단순한 모형이나 대략적인 추측에 의존하여 의사결정을 하게 된다. 이 단 순화되는 의사결정 과정에 작용하는 것이 바로 휴리스틱(Heuristic)이다. 휴리스틱은 기존 경험이나 특정 정보만을 이용하기 때문에 의사결정이나 행동에 편향(Bias)이 생기게 된다. 구비문학은 언어 대중의 어림짐작과 사고의 편향성에 기반을 두고 전승되어 온 특징이 있기에, 행동경제학의 휴리스틱과 구비문학을 관련시킬 여지는 충분하다. 이 글은 대중의 사고유형과 행동양식에 대한 행동경제학의 관점을 원용하여, 개인과 대중의 기억을 바탕으로 구연되는 이야기에 대해 휴리스틱의 관점에서 논의했다. 휴리스틱은 화자의 실수, 이야기의 착종, 청중의 반응 등 이야기 구연에서 자주 포착되었지만 본격적으로 논의하기 어려웠던 유의미한 사항들을 어떤 방식으로 다룰 수 있는지도 내포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컴퓨터를 활용한 그림 동화 만들기 활동이 유아의 이야기 꾸미기 능력과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Picture Storybook Making Activities by Computer on Children's Storytelling Ability and Creativity)

  • 고은애;정정희
    • 아동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189-207
    • /
    • 2005
  •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picture storybook making activities with computer plays on children's storytelling ability and creativity. Seventy 5-year-old children from two day-care classes participated in this eight-week program. The experimental class used the computer software of 'Stanley's Sticker Stories.' The comparison class used paper and pencil. Data analysis was implemented by ANCOVA and t-test.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between the experimental and comparison groups in story telling ability by story structure, imagination, vocabulary, sentence structure, and creativity showing that picture storybook making activities with the computer was more effective than traditional picture storybook making activities.

  • PDF

"단편소설집의 사이클"로서 단 리의 『옐로우』 연구 (Reading Don Lee's Yellow as a Short Story Cycle)

  • 이수미
    • 영어영문학
    • /
    • 제57권5호
    • /
    • pp.727-755
    • /
    • 2011
  • In this paper, I'll try to read Don Lee's Yellow intertextually with a more canonical text, Sherwood Anderson's Winesburg, Ohio, in order to see what kind of traditions and techniques Yellow references and/or rewrites as a way of tracking this production. Yellow's formal properties as a short story cycle are established through its use of particular conventions. For instance, Yellow follows the short story cycle model that includes the assemblage of recurring characters into one locale. Yellow's characters are all connected to and at some point located in the fictional small town of Rosarita Bay, California. The text form aligns it with established literary conventions and traditions and suggests the author's reliance upon or trust in those modes. Yellow's setting in a small town alludes to and has often been compared to Anderson's Winesburg, Ohio, which is perhaps one of the most well-known and extensively discussed short story cycles in American literature. Also following convention is Lee's construction of Rosarita Bay and the text's third person narrator as a member of that town. Both Rosarita Bay and the narrator become important figures through the related-tale nature of the text. The method of story-telling is similar to how the town Winesburg and its "seemingly sympathetic and non-overtly judgmental" narrator are operational in Anderson's text. In sum, Yellow is opportune for intertextual reading largely because it is a collection of stories that create a linked series.

호러어드벤처게임 <화이트데이>의 순기능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ositive Effects of Horror Adventure Game "White Day")

  • 이재홍
    •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 /
    • 제12권3호
    • /
    • pp.37-48
    • /
    • 2012
  • 우리 게임사에 큰 족적을 남기고 있는 호러어드벤처게임인 <화이트데이>는 흉측한 몬스터들과 음산한 분위기의 스테이지를 디자인하고 있는 잔혹한 호러가 아니라, 귀신 소리를 효과음으로 나타내는 청각적인 공포를 활용하여 한국적인 공포를 디자인해내고 있다. 본고는 <화이트데이>의 구성요소들을 통해 순기능적인 스토리텔링의 구조를 파악해 보는 것이 연구 목적이다. 연구 결과, <화이트데이>는 배경, 사건, 인물이 매우 탄탄한 시나리오를 지니고 있다는 사실을 파악할 수 있었다. 또한 모든 설계구조와 스토리텔링구조는 서구형 호러게임이 지닌 스플레터적인 호러를 모방하지 않고 순기능적인 요소를 강화시키고 있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플레이어에게 미미크리와 일링크스가 내재된 놀이요소를 제공하여 인터랙티브한 재미성을 확대시켜주고 있는 <화이트데이>는 이 시대에 가장 필요성을 느끼는 순기능적인 게임의 표본이다.

게임캐릭터의 실시간 대화시스템에 대한 고찰 (A study of Communication System between each Game Characters)

  • 최삼하;김경식
    • 게임&엔터테인먼트 논문지
    • /
    • 제1권1호
    • /
    • pp.39-46
    • /
    • 2005
  • 게임에서 대화는 기본적인 정보전달 수단으로서의 역할 뿐 아니라 게임의 진행에 관련하여 스토리텔링(story-telling)의 한 요소가 되고 있다. 대화를 통해 게임을 풀어가는 대화형 어드벤처 게임에서 대화는 커뮤니케이션 그 이상의 역할을 하고 있으며 MMORPG게임에서도 퀘스트(Quest)의 발생 및 문제해결에 대한 제한된 정보를 제공하는 역할까지 수행하고 있다. 몰입을 유도하는 매우 중요한 요소이지만 현재까지의 게임 속 NPC와의 대화는 기존에 마련된 게임시나리오에 근거하여 패턴에 의한 단조로운 이벤트 형식으로 구성되어 왔을 뿐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좀 더 사실적인 커뮤니케이션을 위해 인공지능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는 자연어 처리시스템을 응용한 대화시스템에 대한 분석과 함께 이를 게임에 적용하는 방법에 대해 연구하였다.

  • PDF

전통문화축제의 스토리텔링이 축제매력성과 방문객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강릉단오제를 중심으로) (The Effect of Traditional Cultural Festival Storytelling on Festival Attractiveness and Visitor Satisfaction(Focusing on Gangneung Danoje Festival))

  • 이제용;이광옥;유광우;김명종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9호
    • /
    • pp.396-409
    • /
    • 2016
  • 본 연구의 목적은 "2014 '천년의 힐링로드 강릉단오제'를 방문한 이용객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고, 방문객의 의사소통을 이끌어주는 스토리텔링을 통해 새로운 축제 표현기법으로서 축제요인을 상호작용(interaction), 이야기(story), 표현(telling)으로 구성하여 축제의 매력성과 방문객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전통문화축제 스토리텔링은 축제매력성과 방문객 만족 모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특히 축제매력성에는 프로그램의 다양성, 교통 및 접근성, 서비스 및 숙박이 유의한 영향을 보였고, 방문객의 만족에도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전통문화축제와 방문객과의 상호작용과 스토리텔링을 통한 지속적인 문화콘텐츠 개발이 필요하다.

현대 패션사진에 나타난 스토리텔링의 미적 특성 - 스티븐 마이젤 패션사진을 중심으로 - (The Research on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Storytelling Expressed in Modern Fashion Photographs - With a Focus on Steven Meisel's Fashion Photos -)

  • 박미주;양숙희
    • 복식문화연구
    • /
    • 제17권1호
    • /
    • pp.132-148
    • /
    • 2009
  • The objective of this article is to examine the possibility of 'story-telling' as united concept of causality and subjectivity through sequence combination, and the 'similarity' between object and image in fashion photographs making diversity of meanings. To analyze and investigate the research, as evidential data this paper used the photos of Steven Meisel from 2002 till 2007 Vogue published in Korea, U.S, and Italy, as well as other visual data like graphic collections, catalogs, art-related data and internet data. This research runs both theoretical and positive investigations to suggest the function of story-telling in the Process of opened-communicative roles of fashion photos. Thus this paper investigated Steven Meisel's storytelling in his fashion photos; short moment of event, continuity of time, compound of sequence, and complexity of viewpoint. This paper also studied the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Steven Meisel's fashion photos as categories of overlapped meaning, arbitrariness of interpretation, exclusivity of message, and decoding. The research result suggests that clothing not only includes current age's value but also among social constitutions it includes multilateral characteristics. Ultimately this paper is also making meaning alive by cutting off the chain of 'firm' meanings of fashion photo. That seems like opening the opportunity for correctly understanding fashion's meaning which has the aspects of ambivalence of changing meanings and values by the motivation of context and text.

  • PDF

패션매거진 Vogue의 패션사진에 나타난 이미지 표현형식 및 모델 포즈의 활용유형 분석 (Analysis of Vogue Magazine on Forms of Image Expression and Utilization of Model Poses in Fashion Photos)

  • 김영민;김영삼
    • 복식
    • /
    • 제66권4호
    • /
    • pp.111-127
    • /
    • 2016
  • The study aims to examine the forms of 'image expression' and utilization of model poses in fashion photos, and to delve into the characteristics and the intents that make certain model poses effective in expressing an image. The study used the fashion photos in the fashion magazine, Vogue, to analyze the different model poses used to express different image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mage expression forms in fashion photos were categorized into 'direct product suggestion expression form', 'sensual image expression form', 'sexual image expression form', 'story telling expression form', 'everyday situation expression form', and 'fantastic image expression form'. The different utilization types of model poses were categorized into 'type utilizing intangible elements', 'type utilizing complicated elements', 'type utilizing living organisms', 'type utilizing props', 'type utilizing clothes', 'type utilizing location', 'type utilizing accessories', and 'type utilizing products'. Second, the most common expression form for fashion photos used in advertisements was the 'direct product suggestion expression form', which was followed by the sensual image expression form. The most popular form used in the editorial fashion photos was the direct suggestion product expression form, which was followed by the story telling expression form. Third, the most common model pose type for direct product suggestion form was the 'type utilizing product'. Fourth, 'direct product suggestion expression form' was mostly used in editorial fashion photos. The most common utilization types of model poses were 'type utilizing clothes', 'type utilizing props', and 'type utilizing place'.

초등학교 6학년 수학수업에 적용한 디지털 스토리텔링이 수학적 의사소통불안에 미치는 효과 분석 (The Effects of Digital Storytelling on Mathematical Communication Apprehension in 6th graders' Mathematics Instruction)

  • 최병훈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C:초등수학교육
    • /
    • 제17권1호
    • /
    • pp.41-56
    • /
    • 2014
  • 본 연구는 디지털 스토리텔링을 적용한 수학수업이 학생들의 수학적 의사소통불안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기 위한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이를 위해 초등학교 6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의사소통불안검사 결과가 유의한 차이가 없는 2개 학급을 선정하여 일반 스토리텔링과 디지털 스토리텔링을 각각 10주에 걸쳐 적용한 후 사후 의사소통불안검사를 통해 그 효과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일반 스토리텔링을 적용한 학급은 사전 사후 의사소통불안검사 결과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으나 디지털 스토리텔링을 적용한 학급은 의사소통불안 요소의 소집단과 관련하여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또한 일반 스토리텔링과 디지털 스토리텔링을 적용한 두 학급간의 사후 의사소통불안 검사결과에서는 수학시간과 소집단의 요소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디지털 스토리텔링의 적용이 초등학교 6학년 학생들의 수학시간의 발표, 소집단에 대한 의사소통불안을 줄이는데 도움이 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