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Research on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Storytelling Expressed in Modern Fashion Photographs - With a Focus on Steven Meisel's Fashion Photos -

현대 패션사진에 나타난 스토리텔링의 미적 특성 - 스티븐 마이젤 패션사진을 중심으로 -

  • Park, Mi-Joo (Dept. of Clothing & Textiles, Sookmyung Women's University) ;
  • Yang, Sook-Hi (Dept. of Clothing & Textiles, Sookmyung Women's University)
  • 박미주 (숙명여자대학교 의류학과) ;
  • 양숙희 (숙명여자대학교 의류학과)
  • Published : 2009.02.28

Abstract

The objective of this article is to examine the possibility of 'story-telling' as united concept of causality and subjectivity through sequence combination, and the 'similarity' between object and image in fashion photographs making diversity of meanings. To analyze and investigate the research, as evidential data this paper used the photos of Steven Meisel from 2002 till 2007 Vogue published in Korea, U.S, and Italy, as well as other visual data like graphic collections, catalogs, art-related data and internet data. This research runs both theoretical and positive investigations to suggest the function of story-telling in the Process of opened-communicative roles of fashion photos. Thus this paper investigated Steven Meisel's storytelling in his fashion photos; short moment of event, continuity of time, compound of sequence, and complexity of viewpoint. This paper also studied the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Steven Meisel's fashion photos as categories of overlapped meaning, arbitrariness of interpretation, exclusivity of message, and decoding. The research result suggests that clothing not only includes current age's value but also among social constitutions it includes multilateral characteristics. Ultimately this paper is also making meaning alive by cutting off the chain of 'firm' meanings of fashion photo. That seems like opening the opportunity for correctly understanding fashion's meaning which has the aspects of ambivalence of changing meanings and values by the motivation of context and text.

Keywords

References

  1. 김경용 (2003). 기호학이란 무엇인가. 서울: 민음사.
  2. 넬슨 굿맨 (1968). 예술의 언어들. 김혜숙.김혜련 옮김. 이화여자대학출판부.
  3. 노버트 린튼 (1993). 20세기의 미술. 윤난지 옮김. 서울: 예경.
  4. 미셀 푸코 (2000). 지식의 고고학. 이진우 옮김. 서울: 민음사.
  5. 발터 벤야민 (1983). 발터 벤야민의 문예이론. 반성완 옮김. 서울: 민음사.
  6. 서지선 (1995). “시각정보디자인에서의 내러티브(narrative)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 성하림 (2007). “이미지광고에서 브랜드스토리가 브랜드태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홍익대학교 광고홍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8. 유리 M. 로트만 (1998). 문화기호학. 유재천 옮김. 서울: 문예출판사.
  9. 윤영, 양숙희 (2004). “현대패션에 나타난 시각적 내러티브 기법." 복식문화연구 12권 6호.
  10. 자크 데리다.마리-프랑수아즈 (1985). 시선의 권리. 신방흔 역. 파주: (주)아트북스.
  11. 장 보드리야르 (1997). 무관심의 절정. 이은민 옮김. 서울: 동문사.
  12. 정과리 (1997). 은유와 환유. 서울: 문학과 지성사.
  13. 정승녕 (1999). “멀티미디어 인터페이스 디자인에서의 시각적 내러티브 기법의 적용에 관한 연구.” 한국과학기술원 산업디자인학과 석사학위논문.
  14. 정승혜 (2000). “패션사진의 시대적 변화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예술대학원 공연영상학과 사진전공 석사학위논문.
  15. 정윤호 (2003). “디지털 방송 광고의 인터랙티브 내러티브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대학원 시각디자인과 석사학위논문.
  16. 조윤희 (2001). “초현실주의 경향의 패션사진 작품개발 연구: 현대 패션사진 분석과 스타일링을 중심으로.” 동덕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의상디자인학과 의상디자인 석사학위논문.
  17. 질 들뢰즈 (1999). 의미의 논리. 이정우 역. 서울: 한길사.
  18. 질 들뢰즈(1968). 차이와 반복. 김상환 옮김. 서울: (주)민음사.
  19. 채상복 (2007). “사물을 통한 추상적 관념의 사진적 표현: ‘삶의 애환(哀歡)전을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예술대학원 공연영상학과 사진전공 석사학위논문.
  20. 최윤희 (1999). 비언어 커뮤니케이션.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21. 최혜실 (2007). 문화산업과 스토리텔링. 서울: 도서출판 다할미디어.
  22. 토니 C. 카푸토 (2005). Visual Storytelling. 서울:예은출판사.
  23. 페르디낭 드 소쉬르 (1966). 일반 언어학 강의. 최승언 옮김 (2006). 서울: 민음사.
  24. 함수민 (2007). “현대 패션디자인에 나타난 퍼놀로지 현상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섬유패션디자인학과 석사학위논문.
  25. G. 레이코프, M. 존슨 (1995). 삶으로서의 은유. 노양진.나익주 역. 서울: 서광사.
  26. Derrida, Jacques (1974). Of Grammatology. trans. Gayatri Chakravorty Spivak. Baltimore and London: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27. Craik, Jennifer (1991). The Face of Fashion: Cultural Studies in Fashion. Routledge.
  28. Norber to Angelitte & Alberto Oliva (2006). In Vogue. Rizzoli.
  29. Meisel, Steven (2003). Steven Meisel. German Teneus Buchverla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