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Stem rot disease

검색결과 132건 처리시간 0.031초

파프리카 병원균들에 대한 길항미생물, Burkholderia cepacia strain YJK2의 분리 및 특성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Burkholderia cepacia strain YJK2, Antagonistic Microorganism of Paprika Pathogens)

  • 양수정;김형무;주호종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133-148
    • /
    • 2015
  • Although several adverse effects have been increased in recent years, synthetic agro-chemicals have been widely used to control diseases on paprika. This research was conducted to isolate and to characterize the antagonistic microorganism to control major paprika diseases, gray mold rot, fruit and stem rot, phytophthora blight, sclerotium rot, and wilt disease. Analysis of the fatty acid and analysis of the 16S rDNA gene sequence revealed that YKJ2 isolated in this research belongs to a group of Burkholderia cepacia. Specially, 16S rDNA gene sequence of YKJ2 showed 99% of sequence similarity with B. cepacia. Observation through the optical microscope revealed that YKJ2 was effective on suppression of the spore germination and the hyphal growth of pathogens. YKJ2 treatment on pathogens induced marked morphological changes like hyphal swelling and degradation of cell wall. In the case of phytophthora blight, the zoosporangium formation was restrained. On the basis of the results of this study, we propose that an antagonistic microorganism, B. cepacia, found in this study naming as "B. cepacia strain YKJ2" and has great potential as one of biological control agents against major diseases of paprika.

First Report of Soft Rot Induced by Dickeya dadantii on Euphorbia hypogaea in Korea

  • Ismaila Yakubu;Ji Ho Song;Yun Ju Lee;Min A Son;Su Hyeon Han;Hyun Gi Kong
    • 식물병연구
    • /
    • 제30권1호
    • /
    • pp.95-98
    • /
    • 2024
  • In a survey conducted in March 2023, Euphorbia hypogaea plants cultivated within greenhouses in Yongin, Korea exhibited water-soaked areas near the stem base, close to the soil. Subsequent isolation from diseased E. hypogaea led to the identification of a bacterial strain, designated as CBNUMPBL-103. The isolate was identified as Dickeya dadantii through sequencing of the 16s rRNA and phylogenetic analysis. The pathogenicity of the isolate was confirmed by inoculating it into healthy E. hypogaea, resulting in the manifestation of similar symptoms observed during the survey. The re-isolated strain recovered from inoculated plants showed a similar morphology with the inoculated strain. This is the first documentation of D. dadantii causing soft rot of E. hypogaea in Korea.

Potential Biological Control of Orobanche by Fungi Isolated from Diseased Specimens in Jordan

  • K. M. Hameed;I. M. Saadoun;Shyab, Zaineb-Al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17권5호
    • /
    • pp.257-263
    • /
    • 2001
  • Species of the genus Orobanche are parasitic flowering plants, holoparasites, which cling to the roots of green plants. Their tiny seeds (200 x $250\mu\textrm{m}$) germinate in response to chemical stimuli produced by host and some non-host plants. Successful contact with their host leads to development of haustoria for obtaining water and food. The shoots above the ground expose flowers and disseminate seeds. Several samples of Orobanche ramosa, O. crenata, O. cernua, and O. egyptiaca were collected from different localities in Jordan. These samples showed one of the following disease symptoms: dry rot at the base of the stem; general deterioration and expanded lesion from base upward; soft tissue maceration of stem; and black rot of flower parts with incomplete maturation of the ovary and seeds. Isolation from diseased stems and seeds was made on three different mycological media. Several fungi were isolated, mainly, Fusarium spp., Alternaria alternata, Rhizoctonia sp., Dendrophora sp., Chaetomium sp., and an ascomycetus fungus with a perithecium. Pathogenicity tests showed that Fusarium spp. and Alternaria alternata attacked healthy living tissue of Orobanche spikes. These fungi caused lesions of black soft rot and complete deterioration within 5-7 days. They also attacked Orobanche seeds, arresting their germination and causing maceration of non-germinated and germinated seeds after 5-7 days of incubation. Meanwhile, Dendrophora sp. and Chaetomium sp. caused limited lesion at first, but were able to colonize the tissue as it aged and senesced. This study showed the presence of a potential endogenous pathogenic fungi in Jordan, which can be investigated as a biological control for Orobanche.

  • PDF

Occurrence of Rhizopus Soft Rot on Squash (Cucurbita moschata) Caused by Rhizopus stolonifer in Korea

  • Kwon, Jin-Hyeuk;Kang, Soo-Woong;Park, Chang-Seuk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16권6호
    • /
    • pp.321-324
    • /
    • 2000
  • season of 2000. The disease infection usually started from flower, peduncle and young fruits, then moved to flower stalk, stem and leaves. At first, the lesions started with water-soaked, rapidly softened, and then the area gradually expanded. In severely affected film house, the rate of infected fruits reached to 28.6%. Numerous sporangiospores were formed on the diseased fruits, flower stalk, stem and leaves. Most of the sporangiospores were appeare to be rapidly dispersed in the air. The mycelia grew on the surface of host and formed stolons. Colonies on potato dextrose agar were cottony at first brownish black at maturity. Sporangia were 125.3${\times}$294.2 ${\mu}$m. globose or sub-globose with somewhat flattened base. White at first the black, many spored, and are never overhanging. Sporangiophores were 2.7-6.8${\times}$12.9-33.9 ${\mu}$m, smooth-walled, non-septate, light brown, simple, long, arising in groups of 3-5 from stolons opposite rhizoids. Sporangiophores were 8.6-21.1${\times}$6.41-1.7 ${\mu}$m, irregular, round, oval, elongate, angular and brownish-black streaked. Columella were 63.8${\times}$140.4 ${\mu}$m. brownish gray, umberella-shaped when dehisced. The causal organism was identified as Rhizopus stolonifer Lind on the basis of th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fungus. Rhizopus soft rot on squash (Cucurbita moschata) caused by the fungi has not been previously reported in Korea.

  • PDF

잇꽃의 식물병 발생양상과 주요 식물병의 약제방제 (Plant Diseases of Safflower (Carthamus tinctorius) and Their Chemical Control)

  • 박경석;김재철;최성용;박소득;이순구
    • 식물병연구
    • /
    • 제10권3호
    • /
    • pp.159-166
    • /
    • 2004
  • 잇꽃에 발생하는 식물병들은 탄저병(Colletotricum acutatum), 잿빛곰팡이병(Botrytis cinerea), 흰가루병(Sphaerotheca fuliginea), 흰비단병 (Sclerotium rolfsii), 역병 (Phytophthora cactorum), 뿌리썩음병 (Fusarium oxysporum), 잎점무의병 (Alternaria carthami, A. alternata), 모잘록병(Pythium ultimum), 녹병(Puccinia carthami), 바이러스(CMV) 등 10종이었다. 잇꽃 병의 발생소장 및 피해실태 조사에서 탄저병은 전 생육기에 걸쳐서 뿌리, 잎, 줄기, 화두 등 모든 부위에 발생하였다. 노지재배시 평균 발병주율이 60% 이상으로 가장 큰 피해를 주는 병해였으며, 비가림 하우스에서는 5% 내외의 발병율을 나타내었다. 잿빛곰팡이병은 비가림 하우스 내에서 개화기인 6월 중순부터 수확기까지 80% 이상의 발병주율과 30% 내외의 발병화두율을 나타내었다. 모잘록병이 파종 후 30일경까지 5∼10%정도 발생하였으며, 기타병해로 시들음병, 흰비단병, 역병, 흰가루병, 녹병, 잎점무의병 등은 1% 내외의 발병율을 보여 피해가 경미하였다. 잇꽃 모잘록병에 대한 약제 방제효과는 다찌가렌 액제 침지처리와 토로스 수화제 분의처리 효과가 우수하였다. 잇꽃 탄저병에 대한 약제방제 효과는 메티람수화제와 이미녹타딘트리스알베실레이트$.$치람 수화제 방제가가 85%이상으로 우수하였다. 잿빛곰팡이병의 약제방제시험에서는 비가림 하우스내에서 이프로 수화제, 후루아지남 수화제, 포리옥신 수화제를 처리하였으나 방제가는 80%미만이었으며, 노지재배시 이미녹타딘트리스$.$치람 수화제의 방제가는 91.1%였고, 후루아지남 수화제의 방제효과는 89.6%였고 이프로 수화제의 방제가는 89.2%였다.

Sclerotinia sclerotiorum에 의한 포도나무 균핵병 발생 (Sclerotinia Shoot Rot of Grapevine (Vitis spp.) Caused by Sclerotinia sclerotiorum in Korea)

  • 박종한;한경숙;한유경;이중섭;김대현;황정환
    • 식물병연구
    • /
    • 제15권3호
    • /
    • pp.259-261
    • /
    • 2009
  • 경기도 가평과 강원도 영월에서 포도나무 가지가 수침상으로 물러지고 시들어 죽는 증상을 관할하고 병원균을 분리였다. 병원균의 균총은 PDA 배지에서 처음에는 무색이었으나 배양기간이 길어짐에 따라서 흰색을 거쳐 연한 초콜릿색을 나타내었다. 균핵형성 적온은 $20^{\circ}C$이었으며, 균핵을 멸균한 모래의 1~2 cm 깊이에 매몰하고 $20^{\circ}C$ 항온기에서 90일간 배양하여 자낭반 형성을 유도하였다. 자낭반은 자루가 가늘고 긴 컵 모양의 황갈색이었고 원통형의 수많은 자낭이 존재하였으며 자낭 안에서는 무색, 타원형이며 단세포로 된 8개의 자낭포자를 관찰할 수 있었다. 자낭포자의 크기는 $8.2{\sim}24.4{\times}3.6{\sim}7.2{\mu}m$ 정도였다. 병원성을 확인한 결과, 캠벨얼리와 거봉 품종 모두에서 병원성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상대적으로 캠벨얼리 품종이 감수성을 나타내었다. 이상과 같이 포도나무에 발생한 병징, 병원균의 균학적 특징 및 병원성 검정 결과, 병원균을 Sclerotinia sclerotiorum (Lib.) de Bary으로 동정하였으며, 이 병을 포도나무 균핵병으로 명명할 것을 제안한다.

Sclerotinia sclerotiorum에 의한 바질 균핵병 (Sclerotinia Rot on Basil Caused by Sclerotinia sclerotiorum in Korea)

  • 함수상;김병련;한광섭;권미경;박인희
    • 식물병연구
    • /
    • 제23권1호
    • /
    • pp.56-59
    • /
    • 2017
  • 2011년부터 2013년까지 예산 지역의 농가포장에서 재배 중인 바질에서 균핵병으로 의심되는 증상이 지속적으로 관찰되었다. 초기에는 잎과 줄기가 갈색으로 변하기 시작하여 반점이 커지면서 점차 위쪽으로 진전, 위조하여 결국 전체적으로 썩어 죽는다. 잎과 줄기의 병반부에는 다량의 흰색 균사가 발생하며 $30-100{\mu}m$ 직경의 균핵이 형성하였다. PDA상에 균체는 흰색과 옅은 초콜릿 흑색으로 다양한 색을 나타내었고, 균핵은 검은색으로 대부분 불규칙한 구형이며 크기는 $5-50{\mu}m$였다. 병원균을 인위적으로 접종한 바질의 잎과 줄기에서는 자연 발생된 바질과 동일한 괴사와 위조증상을 보이며, 병반에서 역시 같은 균을 분리하였다. 이상과 같이 병원균의 균학적 특징, ITS 염기서열 분석, 병원성 검정 결과 본 병해는 Sclerotinia sclerotiorum에 의한 바질균핵병으로 명명할 것을 제안한다.

Fusarium solani f. sp cucurbitae에 의한 오이 근경썩음병 (Crown and Foot Rot of Grafted Cucumber Caused by Fusarium solani f. sp. cucurbitae)

  • 한경숙;이성찬;한유경;김동휘;김수
    • 식물병연구
    • /
    • 제18권1호
    • /
    • pp.57-61
    • /
    • 2012
  • 2010년 3월 경기도 평택시 오이 시설재배농가에서 오이의 지제부 줄기가 썩으면서 시들어 죽는 증상이 발생하였다. 대목은 흑종호박을 사용하였으며, 대목줄기가 수침상으로 썩고 표면에 흰색 내지 분홍색의 곰팡이가 형성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병든 식물체 줄기에서 병원균을 분리하여 균학적 특징을 파악하고 배양적 특성을 검토한 결과 Fusarium solani f. sp. cucurbitae로 동정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얻어진 결과를 가지고 이 병을 F. solani f. sp. cucurbitae에 의한 오이 근경썩음병(Crown and Foot Rot)으로 제안하고자 한다.

Sclerotium rolfsii에 의한 곰취 흰비단병 (Stem Rot on Ligularia fischeri Caused by Sclerotium rolfsii in Korea)

  • 문윤기;김세원;최준근;권순배;심홍식;주호종;최인영
    • 식물병연구
    • /
    • 제21권1호
    • /
    • pp.36-39
    • /
    • 2015
  • 2012년과 2013년 6월 하순 강원도 횡성과 평창의 곰취(Ligularia fischeri) 재배포장에서 포기가 서서히 시들어 말라 죽는 이상 증상이 발생하였다. 발병정도는 30-80%로 병든 식물체를 조사한 결과, 줄기가 수침상으로 물러지고 썩으면서 흰색의 곰팡이와 갈색의 작고 둥근 균핵이 관찰되었다. 병원균을 순수 분리하여 병원균의 균학적 특징을 조사한 결과, 감자한천배지에서 균총은 흰색으로 잘 자라며 갈색의 작고 둥근 균핵을 많이 형성하였다. 균핵의 크기는 1-3 mm이며, 균사의 폭은 $4-10{\mu}m$였다. 균사생육과 균핵 형성 적온은 $25-30^{\circ}C$이었으며, 균사특유의 clamp connection이 관찰되었다. 또한, 병원균의 염기서열 분석결과 695 bp로 Sclerotium rolfsii와 같은 계통군으로 확인되었으며, 99% 이상의 상동성을 보였다. 이와 같이 곰취에 발생한 병징, 병원균의 균학적 특징 및 염기서열 분석 등을 종합한 결과 S. rolfsii Saccardo로 동정되어 곰취 흰비단병으로 명명하고자 한다.

Sclerotinia sclerotiorum에 의한 결구상추 균핵병(Sclerotinia rot)의 발생과 병원성 (Occurrence of Sclerotinia Rot of Crisphead Lettuce Caused by Sclerotinia sclerotiorum and Its Pathogenicity)

  • 백정우;김한우;김현주;박종영;이광열;이진우;정순재;문병주
    • 식물병연구
    • /
    • 제10권4호
    • /
    • pp.324-330
    • /
    • 2004
  • 2003년 1윌부터 5월까지 경상남도 부림면 신반리의 결구상추 재배 플라스틱 하우스에서 자연발병된 균핵병의 발병율를 조사한 결과, 5.7%${\sim}$39.0%로서 평균 21.9%였다. 병든 밑둥부위에서 분리하여 병원성이 가장 강한 것으로 확인된 YR-1 균주를 형태 및 배양적 특성 등을 조사하여 기존의 보고와 비교한 결과 Sclerotinia sclerotiorum로 동정되었으며, S. sclerotiorum YR-1으로 명명하였다. YR-1 균주의 병원성 검정을 위하여 균사조각 부유액을 접종원으로하여 접종원의 최적 처리량과 최적 농도를 선발한 결과, 50%에 가까운 발병도를 보인 $A_{550}$=0.4와 0.6농도의 균사조각 부유액 40 ml로 선발하였다. 균사조각 부유액으로 병원성 검정 결과, 결구상추 재배 농가에서 자연발병된 병징과 동일한 병징이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