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ociality factor

검색결과 53건 처리시간 0.027초

역할놀이에 대한 어린이집 교사의 은유분석 (Metaphorical Analysis on Role Playing of Day Care Center Teachers)

  • 임진형;이진희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2호
    • /
    • pp.524-531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어린이집 교사들의 역할놀이에 대한 은유의 경향과 은유의 의미를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A지역 대학 보수교육에 참여한 어린이집 교사 166명을 대상으로 문장 완성형 은유 방법을 활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한 자료는 은유분석에 관한 선행연구에 기초하여 유아교육전문가 2인이 질적 연구의 방법을 활용한 범주화의 과정을 거쳐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역할놀이 은유의 경향은 3개 범주, 8개의 내용으로 분류되었으며, 3개 범주는 '사회성 발달', '정서발달', '발달'의 순서로 빈도가 높게 나타났다. 8개의 내용 중 '사회성 발달' 범주에서는 '모방'이 가장 빈도가 높게 나타났고 '정서발달' 범주에서는 '정서표현'이 가장 높은 빈도를 나타냈다. '발달' 범주에서는 '발달의 필수요인'이 단독내용으로 나타났다. 둘째, 역할놀이 은유의 의미는 먼저 '사회성 발달' 범주에서는 '사회적 기술', '역할체험', '모방', '사회이해'의 의미, '정서발달' 범주에서는 '상상력', '정화작용', '정서표현'의 의미, '발달' 범주에서는 '발달의 필수요인'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연구결과를 기초로 하여 유아교육기관에서 이루어지는 역할놀이의 가치와 교사의 역할에 대한 재조명이 필요함을 논의하였다.

재킷 스타일과 색, 셔츠 스타일이 남성의 이미지 지각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the Jacket Style and Color, and Shirt Style on Men's Image Perception)

  • 강승희;이명희
    • 복식
    • /
    • 제58권1호
    • /
    • pp.33-44
    • /
    • 2008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 style and the color of jacket, the style of shirt, and stimulus-manufacturing method on men's image perception. A quasi-experimental method by questionnaire was used, and the experimental design was $2{\times}2{\times}2{\times}2$ (jacket style${\times}$jacket color${\times}$shirt style${\times}$stimulus-manufacturing method) factorial design. Computer simulation picture and photograph were used for stimulus-manufacturing method. Subjects were 377 women in the metropolitan area of Seoul. The data were analyzed by using factor analysis, Cronbach's ${\alpha}$-reliability coefficient, and three-way ANOVA. The men's image derived five dimensions by factor analysis; neatness, ability, activity, individuality, and sociability. Tailored jacket with jean pants was evaluated higher in ability, individuality, and sociality than jumper with jean pants, and jumper was evaluated higher than tailored jacket in activity. The indigo jacket was evaluated lower in individuality in the picture stimuli than in the photograph stimuli. The beige tailored jacket with jean pants was evaluated higher in activity than indigo tailored jacket. However, the indigo jumper was evaluated higher in activity than beige jumper. Dress shirt under the tailored jacket was evaluated higher in ability and individuality than T-shirt under the tailored jacket. T-shirt under the jumper was evaluated higher in activity than dress shirt.

Neuroprotective mechanisms of dieckol against glutamate toxicity through reactive oxygen species scavenging and nuclear factor-like 2/heme oxygenase-1 pathway

  • Cui, Yanji;Amarsanaa, Khulan;Lee, Ji Hyung;Rhim, Jong-Kook;Kwon, Jung Mi;Kim, Seong-Ho;Park, Joo Min;Jung, Sung-Cherl;Eun, Su-Yong
    • The Korean Journal of Physiology and Pharmacology
    • /
    • 제23권2호
    • /
    • pp.121-130
    • /
    • 2019
  • Glutamate toxicity-mediated mitochondrial dysfunction and neuronal cell death are involved in the pathogenesis of several neurodegenerative diseases as well as acute brain ischemia/stroke.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neuroprotective mechanism of dieckol (DEK), one of the phlorotannins isolated from the marine brown alga Ecklonia cava, against glutamate toxicity. Primary cortical neurons ($100{\mu}M$, 24 h) and HT22 neurons (5 mM, 12 h) were stimulated with glutamate to induce glutamate toxic condition. The results demonstrated that DEK treatment significantly increased cell viability in a dose-dependent manner ($1-50{\mu}M$) and recovered morphological deterioration in glutamate-stimulated neurons. In addition, DEK strongly attenuated intracellular reactive oxygen species (ROS) levels, mitochondrial overload of $Ca^{2+}$ and ROS, mitochondrial membrane potential (${\Delta}{\Psi}_m$) disruption, adenine triphosphate depletion. DEK showed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in the cell-free system. Furthermore, DEK enhanced protein expression of heme oxygenase-1 (HO-1), an important anti-oxidant enzyme, via the nuclear translocation of nuclear factor-like 2 (Nrf2). Taken together, we conclude that DEK exerts neuroprotective activities against glutamate toxicity through its direct free radical scavenging property and the Nrf-2/HO-1 pathway activation.

패션관련 직업 유형과 성격특성과의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Personal Traits and the Type of Fashion-related Occupations)

  • 김지영;박수희
    •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151-162
    • /
    • 2013
  • Studying employees' personality and relationship to their job would help to improve high unemployment and turnover rate in the current Korean fashion and textile industry. Based on personality which is an important influential factor, this research studied types of fashion and textile-related occupations and differences among employees' personalities related to the types. Using disclosed data from Korea Employment Information Service, 27 fashion and textile-related occupations were selected for the final analysis. Ward's Minimum Variance Cluster Analysis, MANOVA, and ANOVA by SAS 9.3 was used to analyze data. First, fashion and textile-related occupations were classified into three groups. Group 1 was mostly consisted of occupations related to manufacturing process of fashion and textile including mechanical technicians. Group 2 included occupations in garment designing and manufacturing. Designers and manufacturers including shoes, bags, and jewelry belong to group 3. Second, after observing differences in personalities among the three groups, group 1 answered that most of the personalities were not important for performance of their duties, group 2 said that only some of them were important, and group 3 regarded most of them as important. Specifically, group 1 considered precision as the most important personality but rest of the personalities not as necessary. It was revealed that personalities in relationship with other personnel such as sociality and leadership were not important. The results in this study will be used for analyzing whether job seekers' desired occupations in fashion field corresponds to their personalities and is expected to become a basic data of students' career counseling for educators.

  • PDF

The Relation between Housing Needs and Housing Function according to the Maslow's Theory of Needs

  • Kim, Jin-Soo;Kim, Jin-Mo
    • KIEAE Journal
    • /
    • 제17권4호
    • /
    • pp.13-19
    • /
    • 2017
  • Purpose: The most important thing is to know exactly what needs users have when planning a housing. People have their own criteria that directly influence purchasing decisions when choosing a house to live in. And they select the house with the largest number of elements satisfying these criteria. This days most consumers are mostly satisfied with their material needs. And now people thinking more important motive than simply pursuing material gains. It is the most essential role in they consume consciously or unconsciously that meeting the needs of which step. And now days housing space has become a merchandise, this study check the related function of the residential space and human needs. Method: First, this study wanted to understand the housing needs, which is needs related to housing in basic needs that humans have. Second, this study wanted to understand what the requirements and the criteria for choosing housing of actual resident, who want to have changed housing. Third, This study check how to set up the direction of development in housing planning, through the comparison of the housing needs and the residential function defined above. Result: Henceforth housing should consider meet the Esteem Needs and Self-Actualization Needs, among the type of Grow-based Motivation. The functions for this are convenience, independence, economics, sociality, relaxation, and expressivity. In addition, it should be able to express oneself and recognize the value of oneself through leisure activities and interaction with neighbors. And, it should be able to move toward the direction to express that hobby activities for individual talent development in separate space.

생태지역 유형에 따른 방문경험의 인식적 차이에 관한 연구 (Exploring Visitor Experiences based on Types of Ecological Sites)

  • 최영석;김병국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225-230
    • /
    • 2018
  • 본 연구는 생태지역 유형에 따른 방문자의 경험에 대한 인식을 비교하는데 목적을 두고 수행되었다. 연구목적 달성을 위해 생태지역 유형을 자연생태지역과 인공생태지역으로 구분하였으며, 생태지역별 방문 경험자를 대상으로 방문경험에 대한 인식도 분석과 인식도에 따른 만족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먼저, 방문경험 인식 측정요소에 대한 분석결과, 생태체험, 환경친화, 사회성, 휴식 등의 4개 요인이 도출되었다. 자연생태지역과 인공생태지역에 따라 방문경험 요인별로 인식차이를 비교한 결과, 전반적으로 자연생태지역에서의 방문경험 인식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생태지역방문경험 인식이 방문자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분석 결과에서는 자연생태지역과 인공생태지역에서 휴식성이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자연생태지역에서는 생태체험 요인, 인공생태지역에서는 환경친화 요인이 방문자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이에 대한 계획 및 관리적 차원의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남자 대학생의 신체이미지에 따른 외모관리 행동과 동기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s and Motives by Body Image of College Men)

  • 류은정;김영희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6권1호
    • /
    • pp.63-72
    • /
    • 2008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s and motives differentiated by the body image of college men. A questionnaire was designed for the survey and the subjects were 228 college in Pusan and the Kyongnam province, Korea. The statistical analyses were carried out in the forms of frequency, factor analysis, cluster analysis, ANOVA and Duncan's multiple range test. The findings throughout the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according to the multidimensional body image of the subjects, the college men were classified into three groups, i.e. the appearance concerning and satisfied group, the weight concerning group, and the appearance indifferent group. The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s of the college men consist of innovative appearance management, weight reduction, appearance management through apparel and fashion products, body shape care, skin care, hair care and health care. Second, the weight concerning group showed a higher BMI than those of the other groups. The means of the monthly income and the expenses for the appearance management of the appearance indifferent group were lower than those of the other groups. Third, the college men were generally shown to pursue the motive improving sociality. The appearance concerning and satisfied group and the weight concerning group indicated higher pursuing motives than the appearance indifferent group in the appearance management motives. Finally,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s among the three groups. While the weight concerning group showed the more concerning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s, the appearance indifferent group had the least appearance concerning tendency.

신도시 거주자의 아파트에 대한 주거가치가 주거만족과 고객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2기 신도시 사례를 중심으로- (Influence of New Town Residents' Housing Value of an Apartment House on Housing Satisfaction and Customer Loyalty -With focus on the 2nd term new town case-)

  • 이무선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10호
    • /
    • pp.412-425
    • /
    • 2016
  • 최근 주택시장에서 신도시아파트의 주거가치가 미치는 영향력이 증가하고 있으나 주거가치가 고객충성도와의 사이의 관련성을 연구한 연구는 제한적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주거가치, 주거만족, 고객충성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하는 것이다. 본 연구를 통해 주거가치의 요인이 주거만족과 고객충성도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를 파악한다. 이러한 목적달성을 위해 519명 2기 신도시 거주민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분석방법은 SPSS 21.0, ANOVA를 사용하여 기초통계, 신뢰도, 가설검증을 수행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주거가치의 요인분석 결과 안전성, 사회성, 편리성, 경제성, 심미성, 안락감의 6가지의 요인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주거가치의 요인 중 안전성, 안락감, 편리성은 주거만족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신도시 도시개발의 특성과 아파트의 자산개념을 반영한 것을 의미한다. 셋째, 신도시 주택구매자의 긍정적 주거가치와 주거만족도는 고객충성도를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현 거주 아파트의 주거만족이 클수록 거주자들은 자기의 친척이나 이웃에게 소개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 같은 연구결과는 결국 신도시 주택소유자의 주거가치와 주거만족도의 긍정적 전망이 주택시장을 더욱 활성화 시킬 것임을 시사한다.

한국 50대 실업자의 구직활동 영향요인에 관한 분석: 회복탄력성을 중심으로 (An Analysis of Effects on Job Seeking Activities of Unemployed in Fifties in Korea: Based on The Resilience)

  • 최영준;박금주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3호
    • /
    • pp.522-528
    • /
    • 2020
  • 이 연구는 우리나라의 50대 실업자들을 대상으로 심리적 요인인 회복탄력성이 구직활동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하여 우리 사회의 기반을 지탱하고 있는 50대들의 재취업률을 제고하고, 인생 의미와 가치를 높이는 데 목적이 있다. 수도권의 고용복지플러스센터에 방문해 고용서비스를 이용하는 50대 실업자를 대상으로, 구직활동 영향요인의 분석을 위해 일반적 특성, 회복탄력성, 구직활동 변인으로 구성된 설문을 활용하였다. 회복탄력성 변인은 통제성, 긍정성, 사회성의 하위 변인으로 구성하고 구직활동 변인은 구직준비, 구직태도, 구직의지의 하위 변인으로 구성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우리나라의 50대 회복탄력성은 평균이상을 나타내고 있고, 회복탄력성 하위 변인 중에서 긍정성이 가장 높아, 50대들에게 이를 유지시키는 정기적 상담 마련이 요구된다. 둘째, 구직의지 이외에 성별에 따른 회복탄력성과 구직활동에는 유의차가 없어 성차별 없는 50대 대상 구직활동 지원이 요구된다. 셋째, 통제성, 긍정성 등의 회복탄력성이 50대들의 구직활동에 영향을 주고 있고 그 설명력이 35%를 상회하고 있어, 50대들의 회복탄력성을 강화시키고, 이를 구직과 연계하는 취업을 위한 심리 상담과 구직을 위한 취업 교육의 실시를 제안한다.

그림책을 활용한 스토리텔링 가족 수업이 청소년의 회복탄력성과 부모자녀관계에 미치는 효과: 중학교 기술·가정 '관계'와 '안전'의 핵심개념을 중심으로 (The Effects of Storytelling Family Classes Using Picture Books on the Resilience and Parent-Child Relationship of Adolescents: Focusing on the Core Concepts of 'Relationship' and 'Safety' in Middle School Technology·Home Economics)

  • 주현정;최새은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167-184
    • /
    • 2020
  • 이 연구는 중학교 기술·가정 교과의 가족 단원에서 그림책을 활용한 스토리텔링 수업이 청소년의 회복탄력성과 부모자녀관계에 미치는 효과를 살펴보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가족 형태, 가족관계, 가족갈등, 성폭력, 가정폭력, 가족 상실에 관한 5가지 주제의 그림책을 선정하고 스토리텔링 요소와 기법을 적용한 '그림책으로 만나는 가족' 교수·학습 과정안을 개발하였다. 남녀 중학생 194명을 대상으로 기술·가정 수업시간에 적용하고, 사전·사후 검사를 통하여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청소년이 지각하는 회복탄력성 정도는 수업 후 유의미하게 증가하였으나, 사회성 영역의 하위요인 중 자아확장력에서는 수업의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청소년의 부모자녀관계에서는 모든 영역에서 수업의 효과가 나타났고, 아버지보다 어머니와의 관계에서 느끼는 애정적 결속 정도가 더 증가하였다. 회복탄력성의 향상과 부모자녀관계 향상을 목표로 하는 기술·가정 교과의 가족 단원에서 그림책을 통한 스토리텔링 수업은 자신의 역경을 딛고 일어서는 잠재적인 힘을 청소년 스스로 길러주게 하여 청소년 가정의 가족과의 관계까지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임을 알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