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The Effect of the Jacket Style and Color, and Shirt Style on Men's Image Perception  

Kang, Seung-Hee (Dept. of Clothing & Textiles, Sungshin Women's University)
Lee, Myoung-Hee (Dept. of Clothing & Textiles, Sungshin Women's University)
Publication Informat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 v.58, no.1, 2008 , pp. 33-44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 style and the color of jacket, the style of shirt, and stimulus-manufacturing method on men's image perception. A quasi-experimental method by questionnaire was used, and the experimental design was $2{\times}2{\times}2{\times}2$ (jacket style${\times}$jacket color${\times}$shirt style${\times}$stimulus-manufacturing method) factorial design. Computer simulation picture and photograph were used for stimulus-manufacturing method. Subjects were 377 women in the metropolitan area of Seoul. The data were analyzed by using factor analysis, Cronbach's ${\alpha}$-reliability coefficient, and three-way ANOVA. The men's image derived five dimensions by factor analysis; neatness, ability, activity, individuality, and sociability. Tailored jacket with jean pants was evaluated higher in ability, individuality, and sociality than jumper with jean pants, and jumper was evaluated higher than tailored jacket in activity. The indigo jacket was evaluated lower in individuality in the picture stimuli than in the photograph stimuli. The beige tailored jacket with jean pants was evaluated higher in activity than indigo tailored jacket. However, the indigo jumper was evaluated higher in activity than beige jumper. Dress shirt under the tailored jacket was evaluated higher in ability and individuality than T-shirt under the tailored jacket. T-shirt under the jumper was evaluated higher in activity than dress shirt.
Keywords
jacket; shirt; color; stimulus-manufacturing; image perception;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1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직장인 착장 자유화 바람 (2006, 7. 27). Today Fa- shion, 자료검색일 2006. 10. 17, 자료출처 http:// www.ktnews.com/
2 남미우 (1992). 상황, 의복단서 및 관찰자 변인이 남자착용자의 인상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p. 34-39, 121-123
3 이정교 (2000). 의사가운의 형태 및 색상과 관찰자 특성이 착용자의 인상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 19-21, p. 45
4 Horn, M.J., & Gurel, L.M. (1981). The second skin: An interdisciplinary study of Clothing(3rd ed.). Boston: Houghton Mifflin Co, p. 161
5 송선옥 (1999). 남자의 인상에 미치는 의복유형, 얼굴형 및 체형의 영향. 건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p. 75-76
6 김재숙, 김희숙 (1992). 의복 범주가 젊은이의 대인지각에 미치는 영향: 유행성 및 착용자의 체형과 관련지어. 한국의류학회지, 16(4), pp. 371-378
7 이지현 (1993). 남성 캐주얼웨어의 칼라형태와 인상형성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산업미술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 75-78
8 송선옥, 이인자 (2001). 남자의 인상에 미치는 의복유형, 얼굴형 및 체형의 영향. 한국의류학회지, 25(2), pp. 369-378.
9 이은미, 강혜원 (1994). 의복단서 및 착용자 연령이 인상형성에 미치는 영향: 남성 정장을 중심으로. 한국의류학회지, 18(2), pp. 197-210
10 최유진, 이명희 (2004). 남성의 재킷, 와이셔츠, 넥타이 색의 이미지 지각과 선호도 연구. 복식, 54(6) 증보판, pp. 131-140
11 김미영 (2002). 일반색.의복색 선호도와 의복색 선호도의 특성 및 차이. 한국의류학회지, 26(8), pp. 1165-1176
12 강혜원, 고애란 (1991). 여자 한복의 인상형성연구: 디자인 변형과 배색을 중심으로. 한국의류학회지, 15(2), pp. 211-239
13 주소현, 이경희 (1999). 의복, 배경의 조합에 따른 시각적 이미지 연구(제1보). 한국의류학회지, 23(1), pp. 78-89
14 김재숙, 김희숙 (2004). 자극물의 표현방법에 따른 대인지각에서의 편파. 복식문화연구, 12(1), pp. 28-40
15 신소진 (1994). 신체노출을 달리한 남성 캐주얼 복장에 대한 남.녀대학생의 인상형성. 경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 79-85
16 이은미 (1992). 남성 정장착용자의 연령 및 의복단서가 인상형성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p. 27-30
17 오현지 (2004). 트래디셔널 캐주얼웨어의 색채 계획을 위한 색채 특성 분석.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76
18 강혜원, 이주현 (1990). 사회적 상호작용에서의 의복의 의미(제1보): 한복을 중심으로. 한국의류회지, 14(1), pp. 31-43
19 이선경 (1993). 남성복 유형과 얼굴 매력성이 직업특성 및 인상추론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p. 14-17
20 정해선, 강경자 (2004). 상의색과 모자색, 모자유형이 인상형성에 미치는 영향. 복식문화연구, 12(3), pp. 354-368
21 남미우, 강혜원 (1994). 상황, 의복단서 및 관찰자의 연령이 남자 의복착용자의 인상에 미치는 영향. 한국의류학회지, 18(3), pp. 311-326
22 Bell, E.L. (1991). Adult's perception of male gar- ment styles. Clothing and Textiles Research Journal, 10(1), pp. 8-12   DOI
23 이명희, 강승희 (1998). 장신구와 재킷 색이 여성의 인상 형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의류학회지, 22(8), pp. 1111-1121
24 이주현, 강혜원 (1995). 의상디자인 요소가 의복착용자의 인상에 미치는 영향(제2보): Dress 및 Pants-Blouse의 형태와 색채를 중심으로. 한국의류학회지, 19(6), pp. 984-994
25 김정희 (2002). 심리학의 이해. 서울: 학지사, pp. 402-408
26 이향미, 김재숙 (1998). 남자 고등학교 교사의 인상형성에 미치는 의복 격식차림, 색 및 맥락의 영향-대전지역 남.녀고등학생을 대상으로, 한국의류학회지, 22 (3), pp. 312-320
27 Hoult, T.F. (1954). Experimental measurement of clothing as a factor in some social ratings of selected American men. American Sociological Review, 19(3), pp. 324-328   DOI   ScienceOn
28 Douty, H.I. (1963). Influence of clothing on per- ception of person. Journal of Home Economics, 55(3), pp. 197-202
29 김영인, 추선형, 강죽형 (2000). 아동복 선호이미지와 선호 색채 이미지에 관한 조사 연구. 복식, 50, pp. 25-32
30 오세진, 김형일, 임영식, 현명호, 김병선, 김정인, 김한준, 양병화, 이재일, 양돈규, 최창호, 이장한(1999). 인간행동과 심리학. 서울: 학지사, p. 78, pp. 247-248
31 Allport, G.W. (1937). Personality: A Psychological interpretation. New York: Henry Holt & Co. p. 5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