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ocial Entrepreneurial Self-Efficacy

검색결과 37건 처리시간 0.032초

The Impact of Self-Efficacy on Training, Leadership Attitudes, and Entrepreneurial Performance: An Empirical Study in Indonesia

  • SETIAWAN, Iyan;DISMAN, Disman;SAPRIYA, Sapriya;MALIHAH, Elly
    • The Journal of Asian Finance, Economics and Business
    • /
    • 제8권10호
    • /
    • pp.37-45
    • /
    • 2021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and investigate: the direct impact of training on entrepreneurial performance and self-efficacy, the direct impact of leadership attitudes on entrepreneurial performance, and self-efficacy, the direct impact of self-efficacy on entrepreneurial performance, self-efficacy as a mediator of the effect of training on entrepreneurial performance, and self-efficacy as a mediator of the effect of leadership attitudes on entrepreneurial performance. This study purposively involved 131 entrepreneurs in Village-Owned Enterprises, Kuningan, Indonesia. The data was collected using a questionnaire. The data obtained was analyzed using Path Analysis with SPSS statistical software. This study has several findings. First, training has a significant effect on entrepreneurial performance and self-efficacy. Second, leadership attitudes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entrepreneurial performance and self-efficacy. Third, self-efficacy has a significant effect on entrepreneurial performance. Fourth, self-efficacy mediates the effect of training on entrepreneurial performance. Fifth, self-efficacy mediates the effect of leadership attitudes on entrepreneurial performance. The findings demonstrated that using self-efficacy-based training and leadership attitudes can enhance entrepreneurial self-confidence and assist them to improve their performance.

The Effect of Social Capital on Social Entrepreneurial Intention among Vietnamese Students

  • HA, Ngoc Thang;DOAN, Xuan Hau;VU, Trong Nghia;NGUYEN, Thi Phuong Linh;PHAN, Thanh Hoa;DUONG, Cong Doanh
    • The Journal of Asian Finance, Economics and Business
    • /
    • 제7권8호
    • /
    • pp.671-680
    • /
    • 2020
  • This study develops the model to estimate the links between social capital, social entrepreneurial self-efficacy, perceived desirability and social entrepreneurial intention. Besides exploring the direct impacts of social capital, social entrepreneurial self-efficacy, and perceived desirability on social entrepreneurial intention, this study also focus on discovering the mediating roles of perceived desirability and social entrepreneurial self-efficacy on this relationship. Throughout adopting measures from some previous studies, the authors design the questionnaires and distribute to students in Vietnam. The study presents some demographic information of 289 students, who are studying at university and colleges in Vietnam. Then,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scales are assessed using the value of Cronbach's alpha, Exploratory Factor Analysis (EFA)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CFA). In addition, by utilizing the structural modeling structure (SEM), the authors show that social capital plays the important role in shaping social entrepreneurial self-efficacy, perceived desirability, and social entrepreneurial intention. Interestingly, besides the direct effects on social entrepreneurial intention, perceived desirability and social entrepreneurial self-efficacy also mediate the correlation between social capital and social entrepreneurial intention. Also, with the interesting findings of the study, the authors propose several recommendations for policy-makers, educators and academics to promote the social entrepreneurship and innovation among Vietnamese students.

창업멘토링이 창업의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사회적지지, 창업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A Study on the Effect of Entrepreneurial Mentoring on Entrepreneurial Intention: Mediating Effects of Social Support and Entrepreneurial Self-Efficacy)

  • 조한준;최대수;성창수
    • 벤처창업연구
    • /
    • 제15권2호
    • /
    • pp.81-96
    • /
    • 2020
  • 본 연구는 대학생들의 창업에 대한 인식과 창업의도를 높이는 효과적인 지원 방안으로서 창업멘토링의 영향을 규명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에 창업멘토링이 창업의도에 미치는 영향관계에서 사회적지지, 창업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실증하였다. 분석결과 청년 예비창업자들의 창업의도를 높이고 사회적지지에 대한 창업자의 기대감을 높이는 영향요인으로서 창업멘토링의 긍정적인 역할을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창업멘토링은 창업의도, 사회적지지, 창업자기효능감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쳤다. 사회적지지는 창업자기효능감과 창업의도에 각각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고 창업멘토링과 창업의도의 관계를 부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창업자기효능감은 창업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쳤으며 창업자기효능감은 창업멘토링과 창업의도 사이를 완전매개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해 대학생들에게 창업전문가의 멘토링은 가까운 미래에 창업을 선택하려는 개인의 욕구를 나타내는 창업의도, 주변인이나 학교, 정부의 지원을 통하여 사회적인 도움을 제공받을 수 있다는 믿음을 나타내는 사회적지지, 그리고 창업가로서 수행해야 하는 역할과 과업을 계획하고 성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는 자신감과 신념을 나타내는 창업자기효능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임을 실증하였다. 또한 사회적지지가 창업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함으로써 사회적지원에 대한 믿음이나 활용을 높게 인식할 때 개인 스스로 자신에 대한 믿음과 효능감도 높아진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창업멘토링이 사회적지지에 정(+)의 영향을 미치고, 사회적지지는 창업멘토링과 창업의도를 매개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는 '창업멘토링 프로그램'이 창업지원 정책을 포함하는 사회적지지에 대한 창업자의 인식 개선과 창업의도를 높이는 효과적인 방안으로 활용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사회적기업 및 일반기업 예비 창업가의 창업효능감이 창업의도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The Impact of Entrepreneurial Self-Efficacy on the Entrepreneurial Intention of Preliminary Social Entrepreneurs and General Entrepreneurs: The Moder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 조영복;손진현;정기범;이나영
    • 벤처창업연구
    • /
    • 제13권1호
    • /
    • pp.89-104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사회적기업 및 일반기업 예비 창업가의 창업효능감과 창업의도의 관계를 규명하고, 사회적 관계를 통해 얻을 수 있는 사회적 지지가 창업효능감과 창업의도간의 관계에서 어떠한 영향이 있는지 분석하는데 있다. 또한 사회적기업과 일반기업을 비교분석하여 조직 특성에 따른 창업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해보고자 하였다. 일반 예비 창업가 102명, 사회적기업 예비 창업가 126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실증 분석 결과 일반기업과 사회적기업 예비 창업가 모두 창업효능감이 창업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침을 확인하였다. 한편 사회적 지지의 경우 일반기업 예비 창업가에게는 조절효과를 보이지 않았으나, 사회적기업 예비 창업가에 대하여 평가적 지지와 물질적 지지가 조절효과를 보였다. 본 연구는 창업효능감이 창업의도에 영향을 살펴봄으로써 창업과정이 실제로 구체화되기 위해서는 예비창업가의 성공에 대한 확신적 의지와 자신감 즉, 창업효능감의 중요성을 확인하였다. 또한 사회적 가치 창출과 사회적 성과를 우선시 하는 사회적기업의 경우, 일반 기업의 창업과정과 차이가 있을 것으로 예상하여, 조절변수로서 사회적 지지를 투입한 결과, 소속집단이나 사회로부터의 지지를 통해 축적된 사회적 자본이 사회적기업 창업에 완충작용을 하고 있음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창업지원 및 교육 현장에서 예비 창업가들의 창업효능감을 발현시키고, 향상시킬 수 있는 교육프로그램이나 지원제도, 활용 방안의 필요성이 제기되며, 특히 사회적기업 예비 창업가들은 사회적인 공감과 지지가 필요함을 강조할 수 있다. 끝으로 본 연구의 한계와 향후 연구방안을 제언하였다.

Institutions and Women Entrepreneurship: The Mediating Role of Women Entrepreneurial Self Efficacy and Ethical Decision Making

  • SALEEM, Faiza;LODHI, Saeed;ASIF, Muhammad
    • The Journal of Asian Finance, Economics and Business
    • /
    • 제9권6호
    • /
    • pp.33-44
    • /
    • 2022
  • Women entrepreneurs play a vital role in employment creation, economic development, and growth. Women entrepreneurship is deep-rooted in the social and cultural norms and values of society. Women's entrepreneurship contribution is still invisible and needs to be properly investigated. The current research study explores "how institutions affect women's entrepreneurial performance in Pakistan" by using institutional and social cognitive theories. Focusing on the Formal and informal institutions, this research examines how institutions are affecting women's entrepreneurial performance by taking the mediating role of women's entrepreneurial self-efficacy and ethical decision making. A 7-point Likert scale research questionnaire is used to collect primary data. Data on active entrepreneurs are collected from the Peshawar, Mardan, and Abbottabad divisions of KPK's Women Chambers of Commerce. The data is empirically tested through the path analysis technique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M) through SMART PLS 3. The results indicated that women's entrepreneurial self-efficacy and ethical decision-making strongly mediate both institutions and significantly affect women's entrepreneurial performance. The study suggests that government and concerned departments should pay due attention to determinants like informal institutions and social constraints to boost women's entrepreneurial performance.

사회적지지가 베이비부머의 창업기회역량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창업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A Study on Effect of Social support on Baby boomer's Entrepreneurial Opportunity Competence: Focusing on Mediating Effect of Entrepreneurial Self-Efficacy)

  • 김상수;임왕규
    • 벤처창업연구
    • /
    • 제12권5호
    • /
    • pp.101-115
    • /
    • 2017
  • 본 연구는 베이비부머 (1955-1963년생)를 대상으로 창업자기효능감을 매개 변수로 하여 사회적지지가 창업기회역량에 미치는 영향에 관하여 분석하였다. 창업정책과 교육은 청년창업사관학교 등의 제도를 통해 대부분 대학생 및 청장년층을 위주로 진행되고 있고, 또 이들을 대상으로 사회적지지나 제도적지원이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 등에 대한 연구는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 반면, 베이비부머에 대한 연구는 복지부문에 치우치고 있고 실제로 이들은 은퇴 후 생계를 위해 치밀한 준비없이 생계형 창업에 뛰어들고 있으나, 이 베이비부머를 대상으로 한 사회적지지가 기회형 창업 추진에 필요한 창업기회역량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는 거의 없다시피 하다. 이에 본 연구는 사회적지지가 베이비부머의 창업기회역량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주로 서울시와 경기도 일원에 거주하는 베이비붐 세대들로부터 수집한 설문지 387부를 실증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사회적지지가 창업기회역량의 기회인식과 기회평가 모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사회적지지가 창업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에서는 정서적, 물질적 지지만 자신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정서적지지와 평가적지지만 자기조절효능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정서적지지와 물질적지지만이 과업도전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창업자기효능감 중 자기조절효능감과 과업도전감 만이 창업기회인식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자신감, 자기조절효능감 및 과업도전감 모두가 기회평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사회적지지가 창업자기효능감을 매개하여 창업기회역량에 미치는 간접효과는 부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 PDF

The Effects of Entrepreneurial Self-Efficacy on Perceived Firm-Efficacy, Policy Satisfaction, and Managerial Performance in SMEs and Startups: Focusing on Government Support Policies for SMEs and Startups

  • Jong-Han Lee;Myung-Soo Kang;Jeong-Hoon Lee
    •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Applications and Management
    • /
    • 제30권6호
    • /
    • pp.31-52
    • /
    • 2023
  • The government's various support policies have helped Korea's SMEs and startups to grow from the beginning to the end, from domestic companies to exporters. In particular, direct business support policies such as financial support, R&D projects, and export support have been effective in helping a large number of entrepreneurs and startup companies to establish themselves in the market and have achieved tangible results every year since the establishment of the Ministry of SMEs and Startups. As such, the government is making significant efforts to create and promote various types of support policies and to help companies utilize them in their business. However,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factors that affect the satisfaction of government policies and the achievement of managerial performance from the companies' perspective and to suggest the purpose of government support policies and the direction companies should take. Specifically, this study categorizes entrepreneurial self-efficacy into marketing, innovation, management, risk-taking, and financial management, using the relationship model of self-efficacy and collective efficacy to ultimately lead to practical results for SMEs and startups support policies. It uses perceived firm efficacy as a variable to reveal the influence relationship. In addition, the direct and mediating effects of entrepreneurial self-efficacy and policy satisfaction on managerial performance were analyzed to determine what SMEs and startups support policies should do. The results showed that, first, among the five components of entrepreneurial self-efficacy, innovation, and risk-taking efficacy positively affected perceived firm efficacy. Second, the specific components of entrepreneurial self-efficacy, marketing, and financial management efficacy positively influenced policy satisfaction. Third, we found that perceived firm efficacy positively influenced policy satisfaction and managerial performance, which are factors of SMEs and startups' policy performance. Specifically, perceived firm efficacy positively influenced policy satisfaction managerial performance. Fourth, we found that policy satisfaction positively influenced managerial performance.

사회적 지지가 창업의도 및 창업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창업자기효능감과 창업의도의 매개효과 (A Study on the Effect of Social Support on Entrepreneurial Intentions and Entrepreneurial Behaviors: Mediating Effects of Entrepreneurial Self-Efficacy and Entrepreneurial Intentions)

  • 옥준우;현병환;장은실;양재민
    • 벤처창업연구
    • /
    • 제15권1호
    • /
    • pp.151-165
    • /
    • 2020
  • 최근 정부는 경제성장과 일자리 창출을 위한 주요 정책으로 창업기업의 지원에 많은 예산을 투입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세계기업가정신발전기구(GEDI)는 2018년 세계기업가정신지수(GEI)에서 한국의 창업생태계 세부영역에서 사회·문화적 지지 영역에 대하여 매우 낮은 평가를 내린 바 있어, 정부의 관심과는 달리 아직까지 우리 사회는 창업에 대한 인식이 긍정적이지 않다는 것을 보여준다. 본 연구는 예비창업자와 창업자 300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여 주변 인물들의 이들에 대한 사회적 지지가 창업의도, 창업행동에 어떠한 관련성이 있는지를 창업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사회적 지지가 창업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지는 확인할 수 없었지만 사회적 지지가 창업행동에 직접적으로 정(+)의 영향을 주거나 창업자기효능감을 매개로 창업행동에 정(+)의 영향을 미쳤으며, 창업자기효능감과 창업의도를 이중매개로 하여서도 창업행동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사회적 지지가 창업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라는 점과 창업자기효능감이 중요한 매개변수효과를 갖는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결과는 정부 및 창업지원기관은 사회로부터의 창업에 대한 지지를 도모하고 창업자의 창업자기효능감을 강화시킬 수 있는 창업지원프로그램을 창업지원사업에 반영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Influential Factors of Social Entrepreneurial Intention in Bangladesh

  • AKHTER, Ayeasha;HOSSAIN, Md. Uzzal;ASHEQ, Ahmed Al
    • The Journal of Asian Finance, Economics and Business
    • /
    • 제7권8호
    • /
    • pp.645-651
    • /
    • 2020
  • The concept of social entrepreneurship (SE) is gaining attention in developing economies for the purpose of greater societal welfare maximization. Still, findings in the field of SE studies have been riddled with conflicting results and counterstatement. Also, the determinants of developing SE are not robustly investigated in developing economies like Bangladesh. This context has mobilized the authors of this current study to focus on determining student's intention to pursue SE as their career choice. Hence, the study aims to examine the predictive determinants of social entrepreneurial intentions (SEI) among Bangladeshi students. The study has investigated the influence of entrepreneurial self-efficacy, social support, prior experience, and educational support on SEI. The survey was conducted from a public university of Bangladesh, and 231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study. Questionnaire items under each construct variable have been adopted from pre-tested research studies. Five-point Likert scale questionnaire was applied to measure the variables. SPSS version 23.0 has been used for statistical analysis through which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to measure the impact of the independent variables on SEI. Results exhibited that self-efficacy, social support, and educational support positively and significantly predicted SEI, while prior experience does not influence SEI.

창업가의 지각된 규범과 자기효능감이 창업의도에 미치는 영향 : 창업가적 탄력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The Effects of Entrepreneurs' Perceived Norm and Self-Efficacy on Entrepreneurial Intention : Focusing on the Mediated Effect of Entrepreneurial Resilience)

  • 김완기;서상혁
    • 기술혁신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1386-1410
    • /
    • 2018
  • 창업가적 탄력성은 청년 창업가가 지녀야 할 핵심 역량이다. 그러나 이의 중요성에 비해 관련 연구는 희소하며, 특히 국내에서는 찾아볼 수 없다. 이에 본 연구는 창업의도를 예측하는 기존 연구를 확장하여 창업가적 탄력성을 포함한 새로운 연구모형을 개발하여 실증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청년 창업가의 지각된 규범과 창업가 자기효능감 및 창업가적 탄력성이 창업의도에 미치는 직접적인 영향과, 지각된 규범 및 창업가 자기효능감과 창업의도의 관계에서, 창업가적 탄력성의 매개효과를 규명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잠재적 청년 창업가 443명으로부터 설문지법을 통해 분석대상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 분석 결과, 사회적 규범과 창업가 자기효능감은 창업가적 탄력성에 대하여 긍정적으로 관계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개인적 규범, 창업가 자기효능감, 창업가적 탄력성은 창업의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했다. 또한, 간접효과 검증 결과, 창업가적 탄력성은 사회적 규범 및 창업가 자기효능감과 창업의도 간의 관계를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청년 창업가의 창업의도에 미치는 창업가적 탄력성의 중요성을 확인한 연구 결과를 제시하고 있다는 점에서 연구 의의가 있다. 단, 표본이 일부 지역, 특정 대학으로 한정되어 연구 결과의 일반화에 한계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