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moke Spread

검색결과 124건 처리시간 0.021초

중규모 도로터널의 제연경계벽 설치에 따른 연기확산특성 (Study of the Characteristics of Smoke Spread by an Installing Smoke Barrier in Medium Length Road Tunnel)

  • 백두산;이승철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30권5호
    • /
    • pp.9-17
    • /
    • 2016
  • 중규모 도로터널의 경우 제연설비 설치가 의무화 되어있지 않기 때문에 화재가 발생할 경우 이용객들이 많은 피해를 입을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연장 1,000 m 2차로 일방통행방식의 도로터널을 대상으로 3차원 수치해석, 정량적 위험도 평가를 통해 제연경계벽이 설치되지 않을 때와 설치간격이 100, 150, 200, 250 m일 때 화재에 의하여 발생되는 연기류 등이 시간에 따른 확산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중규모 도로터널에 제연경계벽을 설치할 경우 설치하지 않은 경우보다 화재로부터 발생되는 고온의 공기와 독성가스의 확산이 지연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수치해석 대상 중에서 제연경계벽의 설치간격이 100 m인 경우 화재로 인해 발생된 고온의 공기와 독성가스의 확산이 다른 경우보다 많이 지연되어 터널 이용객이 피난하는데 가장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고층 공동주택의 승강로가압을 이용한 차압 및 방연풍속에 관한 연구 (A Study for Pressure Difference and Critical Velocity by Pressurization of Elevator Shaft at High Rise Apartment)

  • 박경환;윤명오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5권4호
    • /
    • pp.89-93
    • /
    • 2011
  • (초)고층건축물에서 승강로가 연기 확산의 주요 통로였기 때문에 승강기를 통해 피난하는 것은 권장되지 않았다. 하지만 북미에서는 승강로를 연기로부터 방호하기 위해, 승강로를 가압하는 방식을 사용하여 왔다. 이번 시험은 실제로 승강로 급기가압 방식을 이용해서 연기 전파를 차단할 수 있는지와 피난수단으로 승강기를 사용할 수 있는지를 검증하기 위해 고층 아파트에서 실시되었다. 시험 결과 승강로가압은 공기의 이동에 의한 마찰손실이 작았기 때문에 150 CMM의 풍량에서 승강장과 세대 사이에 50 Pa의 차압을 전층에 고르게 형성시켰다. 또한 1개층 세대 문과 승강기 문이 동시에 개방되었을 때, 180 CMM의 풍량으로 연기의 역류를 차단할 수 있는 방연풍속을 형성하였다. 그리고 승강로가압은 모든 문이 닫힌 상태에서 차압유지에 필요한 풍량과 1개층이 개방되었을 때 방연풍속을 유지하는데 필요한 풍량의 차가 작아서 과압의 우려가 낮을 것으로 예상되었다. 따라서 이번 시험을 통해 고층아파트의 화재 시에 승강로가압을 적용하면 일반인과 피난약자의 피난수단으로 승강기를 사용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고층 건축물 외장재의 화재 재현에 관한 연구 (해운대 우신골든스위트의 화재사례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Fire Reconstruction of Exterior on High-rise Building (Focus on Fire Case Including the Woosin Golden Suite in Haeundae))

  • 민세홍;이재문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7권2호
    • /
    • pp.25-30
    • /
    • 2013
  • 해운대 우신빌딩 화재는 고층건축물의 외장재 수직화재에 의해 4층에서 발생한 화재가 최상층인 38층까지 올라가서 펜트하우스까지 모두 전소시켰다. 이 화재를 계기로 초고층 건축물의 위험성이 크게 대두되었고, 이후 다양한 초고층 관련 법규들이 신설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화재 시뮬레이션용 CFD 프로그램 중 FDS를 사용하여 해운대 오피스텔 빌딩의 화재를 재현하였다. 화재 시뮬레이션은 상층부로의 화염 전파 시간 및 경로에 관하여 관련 기사와 화재 동영상을 통해 비교 조사하였다. 이 결과 최상층까지 확산하는 시간이 약 30분으로 실제 화재와 비슷한 결과가 나왔으며 확대되는 화재 성상도 유사함을 나타냈다. 그러나 최상부로 올라갈수록 실제 화재는 V자 형태를 넓게 보였지만 시뮬레이션 결과에서는 상부로 올라갈수록 수평으로 전파하는 범위가 작게 보였다. 이는 FDS가 격자 형태로 표현되고 얇은 외장재를 표현할 수 있는 한계와 바람 방향에 의한 불확실성 때문이라고 판단된다. 또한, 화재확산 영향요소를 평가하기 위해 무풍일 때와 쌍둥이 타워 사이의 외장재가 콘크리트일 때를 고려하여 시뮬레이션을 시행한 결과 실제 화재보다 수직화재가 크게 발생하는 않는 결론을 얻었다.

건축물 화재시 필요내화 시간 산정 및 간이식 도출 (Calculation of Fire-resisting Time and Extraction of Simple Transplants in the Event of a Building Fire)

  • 김윤성;한지우;김혜원;진승현;이병흔;권영진
    • 한국건축시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축시공학회 2020년도 가을 학술논문 발표대회
    • /
    • pp.59-60
    • /
    • 2020
  • Large fires continue to spread throughout the building, including the fire in Uijeongbu in 2015, the fire in Jecheon in 2017, and the fire in Miryang in 2018. According to the above fire case investigation, major problems were the fire resistance performance of compartment members such as fire doors, the fire spread due to damage to exterior wall openings, and smoke spread through vertical openings. However, in South Korea, only specification design is implemented for buildings that are not subject to performance design. In addition, the analysis of the fire resistance performance standards of building members in the specification design showed that fire doors were not specified in detail for 60 minutes of insulation performance and 60 minutes of fire resistance performance of E/V doors, limiting the prevention of fire spread.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prepare measures to prevent the spread of fire by presenting simple transplants for calculating the required fire time according to the architectural design conditions for the performance design of the components of the fire room according to the purpose of use of the front of the building.

  • PDF

압축공기에너지저장 시설에서 발생 가능한 압축공기 유출 및 화재 시나리오 분석 (Analyses of Scenarios Based on a Leakage of Highly Compressed Air and Fire Anticipated in CAES (Compressed Air Energy Storage) Facility)

  • 윤용균;주은혜
    • 터널과지하공간
    • /
    • 제25권6호
    • /
    • pp.568-576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압축공기에너지저장 설비를 운영함에 있어 위험성이 크다고 분석된 '내조시스템 파손에 따른 압축공기 유출'과 '접근갱도 내 화재 발생' 리스크를 대상으로 시나리오를 작성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Bernoulli 방정식과 운동량 방정식을 결합하여 압축공기 분출에 따른 충격력을 계산하기 위한 식을 유도하였다. 이 식을 바탕으로 시나리오를 작성하여 충격력을 계산한 결과 충격력은 균열 직경의 제곱 및 압축공기의 압력에 비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계절의 변화 및 화원의 위치에 따른 연기 확산 거동을 분석하기 위하여 4가지의 화재 시나리오를 작성하였다. 저장 공동 벽면 근처에서 화재가 발생한 경우는 10 m 떨어진 지점에서 화재가 발생한 경우보다 연기가 호흡한계선까지 하강하는 데 소요되는 시간이 더 짧은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연기 파선단 전파로 인해 발생한 것으로 예측된다. 갱내로의 공기 유동 방향에 따라 연기의 확산 거동이 달라지기 때문에 겨울에 화재가 발생한 경우는 여름에 발생한 경우보다 연기의 확산속도가 빠르고 더 멀리까지 연기가 퍼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피난 시뮬레이션 해석 결과 여름과 겨울 화재에서의 피난요구시간(RSET)은 각기 262, 670 s로 분석되었다.

부산 실내사격장 화재 I. 화재재현 (Fire at an Indoor Shooting Range in Busan I. Fire Reconstruction)

  • 박외철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4권2호
    • /
    • pp.114-119
    • /
    • 2010
  • 2009년 11월14일의 부산 실내사격장 화재에서 짧은 시간에 많은 인명피해가 발생한 원인을 조사하기 위해 화재 시뮬레이션용 전산유체역학 모델을 사용하여 화재를 재현하였다. 화재 시뮬레이션으로부터 얻은 화염과 연기의 확산 및 온도분포의 변화과정을 CCTV 녹화를 토대로 한 화재조사 결과와 비교하였다. 사격실 내에서 흡음재 연소가 급격히 이루어져 화염과 연기가 출입문을 통해 분출되기 시작한지 3초 내에 휴게실에 가득 차는 것으로 나타났고, 이 결과는 CCTV 녹화와 거의 일치하였다. 따라서 휴게실에 있던 사람들의 대피가능시간이 부족했음이 확인되었다. 또 사격실 출입문의 원형 손잡이의 온도가 거의 $1400^{\circ}C$까지 올라가는 것으로 나타나 원형 손잡이가 용융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Implementation of YOLOv5-based Forest Fire Smoke Monitoring Model with Increased Recognition of Unstructured Objects by Increasing Self-learning data

  • Gun-wo, Do;Minyoung, Kim;Si-woong, Jang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Culture Technology
    • /
    • 제10권4호
    • /
    • pp.536-546
    • /
    • 2022
  • A society will lose a lot of something in this field when the forest fire broke out. If a forest fire can be detected in advance, damage caused by the spread of forest fires can be prevented early. So, we studied how to detect forest fires using CCTV currently installed. In this paper, we present a deep learning-based model through efficient image data construction for monitoring forest fire smoke, which is unstructured data, based on the deep learning model YOLOv5. Through this study, we conducted a study to accurately detect forest fire smoke, one of the amorphous objects of various forms, in YOLOv5. In this paper, we introduce a method of self-learning by producing insufficient data on its own to increase accuracy for unstructured object recognition. The method presented in this paper constructs a dataset with a fixed labelling position for images containing objects that can be extracted from the original image, through the original image and a model that learned from it. In addition, by training the deep learning model, the performance(mAP) was improved, and the errors occurred by detecting objects other than the learning object were reduced, compared to the model in which only the original image was learned.

공동주택 및 오피스텔 지하층에 대한 피난 안전성 평가 (Evacuation Safety Evaluation for Apartment Complexes and Officetel under Floors)

  • 강현권;전용한
    • 대한안전경영과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67-72
    • /
    • 2023
  • Human and material damage can be reduced if the risk is evaluated by engineering analysis of fire combustion products, smoke concentration, and smoke movement speed in the event of a fire in apartment houses and officetels. In this study, a lot of research on related safety evaluation in the basement needs to be studied and reflected in design, so experimental research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flow of smoke through computer simulation and provide analysis data through evacuation safety evaluation. First of all, the five-story underground parking lot subject to simulation has a large floor area, which is advantageous for improving evacuation safety performance, but it uses temperature detectors to increase detection time and fire spread speed. Second, it was analyzed that the evacuation time at all evacuation ports did not exceed the evacuation time, and as the time from the start of evacuation to the evacuation time was 216.9% compared to the travel time, it was evaluated that the safety performance of the evacuation was secured. Third, the above simulation results are a comprehensive safety evaluation based on the non-operation of fire extinguishing facilities in the fire room to increase safety, which means that smoother evacuation safety performance can be secured by linking fire extinguishing facilities.

화재 시 승강기를 이용한 피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escape using elevators in fire emergency)

  • 정의수
    • 대한안전경영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안전경영과학회 2007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55-68
    • /
    • 2007
  • Because of not accepted on escape using elevators in fire emergency has some background. In the background elevator hoistway has turn into smoke spread route in fire. The escape that used an elevator was not able to make ends meet; of the big confusion is expected that cannot control the escape adequately, and do that elevator facilities breakdown possibility by the fire water, the escaper shut in car. Therefore ban on elevator service in fire time as a general rule. Recently, a few company promote super high-rise architecture in the country, a fire disaster prevention and human life safety measures preparation for PBD(A Performance Based Fire Protection Design) are studied concretely. And there is the escape example in fire time that used an elevator in the foreign country. You must promote it so that the escape measures that used enclosed stairway and an elevator in charge of a function of the mutual supplement. The result of this research can be used for establishing the standard and regulation for using elevators in fire emergency.

  • PDF

건물화재시 연기층의 형성에 관한 실험적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Formation of Smoke Layer of Compartment Fire)

  • 허만성
    • 한국안전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94-100
    • /
    • 1997
  •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is to study the formations of smoke layer in case of several furniture fires such as trashcan, carpet, mattress and wardrobe as a fire starter in a residential room by performing the experimental studies. The uniformly distributed fire in case of carpet showed that the ignition and the initial growth period were relatively short while the fully developed period was considerably long. The concentrated fires such as the trashcan, mattress and wardrobe showed that the ignitions and the initial growth periods were relatively long. The descending speed of the interface height was proportioned to the inflammability of the furniture and the spread of the fire. The time required to come down around 1m was within 1-3 minutes. The Interface heights for the furniture fires were around 1m as the steady state. However, at the time of the maximum temperature, the interface height was lowered to 0.25m-0.75m from the floor. The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reached the highest while the oxygen concentration was minimum.

  • PDF